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140
10달 전
minchoisfuture/13685/6321352572018999958
참, 지난번에 리서치했다가 까먹고 안올린 이야기. 솔라나의 이름은 우연히 같은게 아니라, 바로 이 솔라나비치에서 따온 이름이 맞다고 합니다. 아나톨리, 그렉, 스테판이 퀄컴에서 일할 시절 추억이 많은 곳이라서 그렇게 정했다고 하네요. (뜬금 솔라나 티셔츠같은거 연예인들이 입고 다니던 이유 찾아보다 알게 댐)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다음 - 어뷰징 방지를 위해 지금 시점에서 딱 스냅샷 찍은 명단...
minchoisfuture/6222198987088311224
㈜ 청년열정마라과즙벌꿀집민트초코손맛푸드
@minchoisfuture
본인의 개인적인 취향을 큐레이팅하는 채널. 꼭 필요한 연락 : @flarrs
최근포스팅
[사전지식 2편] 12. RP를 모르다보니, 'LORE'같은 개념도 필연적으로 모를 수 밖에 없다. 13. 그래서 옛날부터 서양 프로젝트들이 로어같은걸 요구하면 한국인들은 다들 어리둥절해하더라고.. 14. 로어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 스토리가 전개되어가는 세계관을 의미해. 15. 그 게임이 펼쳐지는 세계의 역사, 신화, 전설, 종족의 기원, 종교, 문화, 인물 이야기 등을 포함한 전체적인 '배경 지식'같은것들 있잖아? 16. 이런 설정이 풍부하고 정교할수록 그 게임이 더 흥미롭고 매력을 더하는 편이라.. 17. 소위 말하는 '설정놀음'이 대단히 발전하기도 좋은 토양인거야. 18. 설정이 얼마나 탄탄하냐면, 우리가 영화를 통해 접해서 잘 아는 '반지의제왕'같은 경우는, 거기에 나오는 종족들의 언어가 실제로 다 사용이 가능한 언어임. 엘프어, 오크어등등이 다 문법이나 문자, 어휘등이 존재함... 19. 에 또.. 우리가 가장 잘 아는 유우명한 TRPG 설정중에는 "던전 앤 드래곤즈"같은 설정이 있고.. 요런데서 파생되어 나온 게임이나 설정들도 또 엄청나게 많지. 20. 크립토 하다가도 매력적인 세계관을 짜고, 그 안에서 정해진 규칙대로 핍진성있게 플레이를 하는 이런 문화에 대해 피상적으로라도 알아야, 설명이나 이해가 가능한 부분들이 좀 많더라. 간략하게 설명해봤어
viewCount226
10분 전
[ 사전지식 1편 ] 1. 원래 컴퓨터가 개발되기 전에도 'RPG게임'이라는건 장르적으로 존재했으며, 인기도 꽤 있었어. 2. 컴퓨터도 없는데 그게 어떻게 가능했을까? 3. 옛날에는.. 다들 테이블에 둘러앉아서 이야기와 대화를 통해 게임을 했음. CPU가 할 연산은 사람(Game Master)이 대신했고, 그래픽이나 연출은 상상력으로 채울 수 있었어. 4. 이런 RPG 게임을 그냥 테이블에서 입털면서 게임한다고 해서 테이블 토크 알피지, 즉 TRPG라고 했음. / 그런데 이게 컴퓨터가 나왔다고 바로 사라진게 아니고 현재까지도 계속 존재하면서.. 5. 옛날부터 지금까지 쭈욱 여러 곳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바 있음. 6. 이 TRPG를 할 때의 묘미는, 각 개인이 원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아를 떠나서 자신이 해당 게임에서 맡고 있는 캐릭터를 완전히 연기하는 점인데, 7. 이걸 '롤 플레잉'(RP)라고 해. 8. 예를 들어서 '48세의, 강력하지만 살찌고 못생긴 오크 전사'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면, 실제로 현실에서는 훤칠한 미남일지라도 그 역할에 맞춘 플레이를 하고,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진지하게 그를 못생긴 오크로 대하며 플레이하는거지. 9. TRPG가 좀 더 보편화되어 있고, 역사가 깊은 서구권에선 많은 사람들에게 이 RP, '롤플레잉'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반면에, 10. 아무래도 게임을 컴퓨터 보급 이후에 접한 동양권에선 이 RP에 대한 개념이 없는 편이야. 11. 동양권에선 게임을 할때 따로 기믹잡고 플레이 하는게 아니라, 보통 그냥 자기가 가지고 있는 성격 그대로를 게임에 반영하는 편이고.
viewCount362
18분 전
😀 스토리의 디앱, [Emergence]에 대한 심층 설명. 이 사람이 누구고, 뭘 하는게 애드작이고.. 이런 설명도 좋지만... 이번 기회에 일단 가끔씩 나오는 이런 게임들은 왜 나오는지, 뭘 목표로 하는건지 등에 대해 가볍게 설명해보려고 함. 알면 좋잖아..? 이런 류의 긴 설명이 사실 수요가 별로 없는건 알지만, 일단 설명해봄. (그래도 누군간 읽으니깐 😝) - 이어짐
viewCount378
22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