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투자자들의 이더리움 온체인 여정기 ( 25년 1분기)
✅ 타이거리서치에서 약 6만개의 한국 유저 지갑을 대상으로 이더리움 생태계의 온체인 행태를 분석한 자료를 공유하였습니다.
📂 분석대상
🟢약 60,000개의 한국인으로 추정이되는 이더리움 지갑 주소
🟢업비트/빗썸의 핫월렛에서 출금된 지갑 중심으로 필터링
🟢Arkham, Dune, Artemis 등에서 라벨링 및 스코어링 추가 적용
1️⃣중앙화 > 온체인으로의 전환
🟢기존 CEX 중심에서, 온체인 투자로 빠르게 확장중
🟢국내보다 해외쪽의 투자기회가 많아지고, 국내 규제 강화, 계엄령으로 인한 CEX 마비사태, 원화 자산의 불신등이 원인
🟢글로벌 거래소 온체인 환경으로 투자자들이 이동하며, 런치패드, 디파이, 온체인 밈코인등으로 투자처가 확대됨
2️⃣ 이더리움 온체인 활동 분석
🟢전체 거래량은 감소, 다만 소액 리테일 유저는 증가세
🟢24년 12월 거래량 최고치를 기록(런치패드 인기영향)
🟢25년 1분기 고액 투자자들의 활동이 급감 ( 리스크 회피 )
🟢$1000 미만의 소액 거래는 오히려 증가 > 리테일 진입은 꾸준함 ( 밈코인도 영향 )
3️⃣ 한국 유저들의 온체인 활동 특성
🟢글로벌 거래소 | 디파이로의 이동이 주 목적
🟢스왑은 Metamask 내장기능 > Uniswap > 1inch > OKX SWAP 순으로 사용함
🟢전체 유저 중 6% 만이 NFT 관련 활동
🟢OpenSEa, Azuki 등의 에어드랍에 대한 기대심리가 한몫함
🟢USDT 사용률이 USDC 보다 1.8배 높음
💬 타이거리서치를 통해 확인할수있는 점은 더 많은 한국 유저들이 한국의 CEX 보다, 해외거래소 + 온체인으로 투자처를 확장한다는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특히 시장이 힘든상황속에서도, 리테일 투자자들은 오히려 소액으로 꾸준히 온체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는점이었네요. ( 에어드랍 작업 or 밈코인 트레이딩)
그리고 Metamask 내장기능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는점은 몰랏던 사실중 하나였네요. 이제 더 이상 "해외 서비스니까 어렵다" 라는 말은 옛말인듯 합니다.
#리서치

960
15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