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6
1년 전
9월 6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이더리움 연구원 스나크 활용 레이어1 EVM 확장 목표] 이더리움(ETH) 재단 소속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Justin Drake)가 이더리움 재단 주최 레딧 AMA에서 스나크(Snark, 영지식 증명 기술)를 활용해 이더리움 레이어1의 EVM 실행을 확장하는 것이 장기 목표라고 전했다. 그는 이 방법을 통해 밸리데이터는 EVM 거래를 다시 실행하지 않고 저렴한 스나크로 검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밸리데이터의 비용 부담이 덜어진다고 부연했다.   [BTC 대출 프로토콜 제스트,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 BTCz 출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 대출 프로토콜 제스트(Zest)가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 BTCz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BTCz 보유자는 BTC 스테이킹 프로토콜 바빌론(Babylon)을 통해 BTC 스테이킹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이더리움 재단 곧 재무보고서 발표 예정] 이더리움(ETH) 재단 소속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Justin Drake)가 이더리움 재단 주최 레딧 AMA에서 곧 이더리움 재무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다. 재단의 연간 지출은 1억 달러 상당이며, 재단은 약 6억5000만 달러 규모의 ETH 및 법정화폐 준비금을 보유 중이다. 다만 준비금 규모는 ETH 가격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외신 익명 투자자, 암호화폐 결제 업체 BCB그룹 인수 관심] 기관 전용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업체 BCB그룹이 익명의 투자자로부터 인수 제안을 받았다고 코인데스크가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BCB그룹이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진행하는 중 잠재적 구매자가 인수 의향을 밝혔다. 다만 이와 관련 협상은 진행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인수 규모도 알려지지 않았다. 앞서 4월 BCB그룹은 프랑스에서 전자화폐기관(EMI), 디지털자산 서비스 제공(DASP) 라이선스를 획득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이브디지털, 8월 112 BTC 채굴] 캐나다 소재 암호화폐 채굴업체 하이브디지털테크놀러지(Hive Digital Technologies)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8월 112 BTC를 채굴했다고 발표했다. 8월 말 기준 BTC 보유량은 2,533 개이며, 이는 7월 대비 1% 증가한 수치다. 하이브디지털은 채굴 용량 향상을 위해 비트메인의 신형 재굴기 S21 프로 앤트마이너 1000대를 구입했다고 밝혔다.   [바이비트, 9/20 캣티즌 CATI 현물 상장]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9월 20일(현지시간) 캣티즌의 CATI 토큰 현물 거래페어 상장을 예고했다. 구체적인 상장 시점을 공개되지 않았다. 인공지능(AI) 기반 텔레그램 고양이 양육 게임 캣티즌(CATI)은 최근 에어드롭 및 토큰 출시를 암시하는 카운트 다운을 게재한 바 있으며, OKX, 바이비트 등 거래소는 프리마켓에 CATI의 사전 거래를 지원한 바 있다. 또 캣티즌은 최근 일일 활성화 사용자 수가 400만 명을 돌파했다고 강조했다.   [텔레그램 톤 기반 USDT 보유자 수 100만 명 돌파] 텔레그램 디오픈네트워크(TON, 톤) 커뮤니티에 따르면, 톤 기반 USDT 보유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톤 커뮤니티는 해당 마일스톤은 톤 기반 USDT의 보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달러 접근성과 소유권을 제공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는 지난 4월 텔레그램 톤 기반 USDT를 출시한 바 있다.   [솜니아, KBW 플래그십 이벤트 Uniting Societies 성료] 메타버스 최적화 레이어1 블록체인 솜니아(Somnia)가 공식 채널을 통해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KBW2024) 기간 개최한 플래그십 사이드이벤트 Uniting Societies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솜니아의 이번 사이드이벤트에는 주요 프로젝트, 투자자, 미디어에서 100명 이상의 업계 종사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솜니아의 이번 행사는 코인니스, 엠스퀘어드, 임프로버블, 스파르탄그룹, 미라나벤처스, 웹3오스, 071랩스 등이 파트너사로 참여했다.   [모건 스탠리 산하 펀드, 블랙록 BTC 현물 ETF 및 MSTR 투자 사실 공개] 크립토브리핑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최근 산하 기관 펀드(Institutional Fund)를 통해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IBIT 및 단일 기업 기준 BTC 최다 보유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등에 포트폴리오를 할당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4일(현지시간) 모건 스탠리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자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해당 펀드의 순자산은 1,000만 달러 이상으로, 약 21.1만 달러 규모의 IBIT 주식, 40만 달러 상당의 MSTR 주식을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해당 펀드의 포트폴리오 중 IBIT, MSTR 등의 비중은 상위 10개 종목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코인니스는 지난 8월 기준 모건 스탠리는 약 1.87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현물 ETF를 보유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외신 미 재무장관, 오늘 연설서 미국 금리 인하 시점 미언급] 외신에 따르면 미국 재무장관 재닛 옐런(Janet Yellen)이 오늘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진행하는 연설에서 미국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소비 및 기업 투자 지표는 안정적이다. 미국 고용시장은 양호하고 건강하다. 더이상 고용 시장을 인플레이션을 야기하는 근원지로 볼 수 없다. 모기지 금리는 추가 인하 여지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美 BTC 현물 ETF, 전날 $2.11억 순유출...7거래일 연속] 금융정보 플랫폼 파사이드 인베스터(Farside Investors) 데이터에 따르면 5일(현지시간) 미국 BTC 현물 ETF에서 총 2.11억 달러가 순유출 된 것으로 집계됐다. 7거래일 연속 순유출이다. 피델리티 FBTC에서 1.49억 달러, 비트와이즈 BITB에서 3,00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2,32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비트코인 ETF(BTC)에서 84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블랙록 IBIT를 포함한 나머지 ETF에는 순유출입이 없었다.   [美 ETH 현물 ETF, 전날 소액 순유출] 금융정보 플랫폼 파사이드 인베스터(Farside Investors) 데이터에 따르면 5일(현지시간) 미국 ETH 현물 ETF에서 총 20만 달러가 순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그레이스케일 ETHE에서 740만 달러가 순유출됐지만, 그레이스케일 미니 이더리움 ETF(ETH)에 72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나머지 ETF에서는 유출입이 없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