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6
11달 전
9월 6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이더리움 연구원 스나크 활용 레이어1 EVM 확장 목표] 이더리움(ETH) 재단 소속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Justin Drake)가 이더리움 재단 주최 레딧 AMA에서 스나크(Snark, 영지식 증명 기술)를 활용해 이더리움 레이어1의 EVM 실행을 확장하는 것이 장기 목표라고 전했다. 그는 이 방법을 통해 밸리데이터는 EVM 거래를 다시 실행하지 않고 저렴한 스나크로 검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밸리데이터의 비용 부담이 덜어진다고 부연했다.   [BTC 대출 프로토콜 제스트,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 BTCz 출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 대출 프로토콜 제스트(Zest)가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 BTCz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BTCz 보유자는 BTC 스테이킹 프로토콜 바빌론(Babylon)을 통해 BTC 스테이킹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이더리움 재단 곧 재무보고서 발표 예정] 이더리움(ETH) 재단 소속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Justin Drake)가 이더리움 재단 주최 레딧 AMA에서 곧 이더리움 재무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다. 재단의 연간 지출은 1억 달러 상당이며, 재단은 약 6억5000만 달러 규모의 ETH 및 법정화폐 준비금을 보유 중이다. 다만 준비금 규모는 ETH 가격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외신 익명 투자자, 암호화폐 결제 업체 BCB그룹 인수 관심] 기관 전용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업체 BCB그룹이 익명의 투자자로부터 인수 제안을 받았다고 코인데스크가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BCB그룹이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진행하는 중 잠재적 구매자가 인수 의향을 밝혔다. 다만 이와 관련 협상은 진행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인수 규모도 알려지지 않았다. 앞서 4월 BCB그룹은 프랑스에서 전자화폐기관(EMI), 디지털자산 서비스 제공(DASP) 라이선스를 획득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이브디지털, 8월 112 BTC 채굴] 캐나다 소재 암호화폐 채굴업체 하이브디지털테크놀러지(Hive Digital Technologies)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8월 112 BTC를 채굴했다고 발표했다. 8월 말 기준 BTC 보유량은 2,533 개이며, 이는 7월 대비 1% 증가한 수치다. 하이브디지털은 채굴 용량 향상을 위해 비트메인의 신형 재굴기 S21 프로 앤트마이너 1000대를 구입했다고 밝혔다.   [바이비트, 9/20 캣티즌 CATI 현물 상장]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9월 20일(현지시간) 캣티즌의 CATI 토큰 현물 거래페어 상장을 예고했다. 구체적인 상장 시점을 공개되지 않았다. 인공지능(AI) 기반 텔레그램 고양이 양육 게임 캣티즌(CATI)은 최근 에어드롭 및 토큰 출시를 암시하는 카운트 다운을 게재한 바 있으며, OKX, 바이비트 등 거래소는 프리마켓에 CATI의 사전 거래를 지원한 바 있다. 또 캣티즌은 최근 일일 활성화 사용자 수가 400만 명을 돌파했다고 강조했다.   [텔레그램 톤 기반 USDT 보유자 수 100만 명 돌파] 텔레그램 디오픈네트워크(TON, 톤) 커뮤니티에 따르면, 톤 기반 USDT 보유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톤 커뮤니티는 해당 마일스톤은 톤 기반 USDT의 보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달러 접근성과 소유권을 제공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는 지난 4월 텔레그램 톤 기반 USDT를 출시한 바 있다.   [솜니아, KBW 플래그십 이벤트 Uniting Societies 성료] 메타버스 최적화 레이어1 블록체인 솜니아(Somnia)가 공식 채널을 통해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KBW2024) 기간 개최한 플래그십 사이드이벤트 Uniting Societies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솜니아의 이번 사이드이벤트에는 주요 프로젝트, 투자자, 미디어에서 100명 이상의 업계 종사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솜니아의 이번 행사는 코인니스, 엠스퀘어드, 임프로버블, 스파르탄그룹, 미라나벤처스, 웹3오스, 071랩스 등이 파트너사로 참여했다.   [모건 스탠리 산하 펀드, 블랙록 BTC 현물 ETF 및 MSTR 투자 사실 공개] 크립토브리핑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최근 산하 기관 펀드(Institutional Fund)를 통해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IBIT 및 단일 기업 기준 BTC 최다 보유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등에 포트폴리오를 할당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4일(현지시간) 모건 스탠리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자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해당 펀드의 순자산은 1,000만 달러 이상으로, 약 21.1만 달러 규모의 IBIT 주식, 40만 달러 상당의 MSTR 주식을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해당 펀드의 포트폴리오 중 IBIT, MSTR 등의 비중은 상위 10개 종목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코인니스는 지난 8월 기준 모건 스탠리는 약 1.87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현물 ETF를 보유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외신 미 재무장관, 오늘 연설서 미국 금리 인하 시점 미언급] 외신에 따르면 미국 재무장관 재닛 옐런(Janet Yellen)이 오늘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진행하는 연설에서 미국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소비 및 기업 투자 지표는 안정적이다. 미국 고용시장은 양호하고 건강하다. 더이상 고용 시장을 인플레이션을 야기하는 근원지로 볼 수 없다. 모기지 금리는 추가 인하 여지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美 BTC 현물 ETF, 전날 $2.11억 순유출...7거래일 연속] 금융정보 플랫폼 파사이드 인베스터(Farside Investors) 데이터에 따르면 5일(현지시간) 미국 BTC 현물 ETF에서 총 2.11억 달러가 순유출 된 것으로 집계됐다. 7거래일 연속 순유출이다. 피델리티 FBTC에서 1.49억 달러, 비트와이즈 BITB에서 3,00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2,32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비트코인 ETF(BTC)에서 84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블랙록 IBIT를 포함한 나머지 ETF에는 순유출입이 없었다.   [美 ETH 현물 ETF, 전날 소액 순유출] 금융정보 플랫폼 파사이드 인베스터(Farside Investors) 데이터에 따르면 5일(현지시간) 미국 ETH 현물 ETF에서 총 20만 달러가 순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그레이스케일 ETHE에서 740만 달러가 순유출됐지만, 그레이스케일 미니 이더리움 ETF(ETH)에 72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나머지 ETF에서는 유출입이 없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속보] 연준 9월 50bp 금리 인하 가능성 53.0...다음 - [상보] 美 8월 비농업일자리 14만 2000 개 증가...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속보] 대통령실 "엔비디아, SK·삼성 반도체 제공 논의 https://www.etoday.co.kr/news/view/2500192
viewCount3
43분 전
SBI 그룹, 체인링크와 손잡고 아시아 금융권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https://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753
viewCount3
59분 전
8월 26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나스닥 상장사 헤리티지 디스틸링, $2.2억 조달] 나스닥 상장사 헤리티지 디스틸링 홀딩스가 사모 발행(Private Placement)을 통해 2.2억 달러를 조달했다고 비즈니스와이어가 전했다. 이번 투자 유치는 9,500만 달러와 1억 2,880만 달러 규모의 IP로 이뤄졌으며 스토리재단, a16z 크립토, 앰버그룹, 애링턴캐피털, 다오5, 해시드, 미라나벤처스, 폴리체인캐피털 등 글로벌 주요 투자사들이 참여했다. 회사는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IP 중심의 재무 전략을 세계 최초로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비트코인 OG, 6일간 54만 ETH 매집·스테이킹] 익명의 BTC OG(초장기 홀더)가 13만 563 ETH(6.1억 달러) 규모 롱포지션을 정리하고 33,381 ETH(1.55억 달러)를 현물로 매수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이 주소는 최근 6일 동안 총 54만 4977 ETH를 매수했으며, 매수한 물량은 모두 스테이킹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오창펑 “BNB 전략 투자사 설립…이지랩스는 지원만”] 암호화폐 투자사 B 스트래티지가 BNB 전략 투자 회사를 설립한했다는 더블록의 보도에 대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설립자가 X를 통해 “이지랩스의 지원을 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주도권을 쥔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그었다. [씨티그룹 “스테이블코인 이자 지급, 은행 예금 유출 위험” 경고]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씨티그룹의 로닛 고세(Ronit Ghose) 디지털금융 총괄이 “만약 스테이블코인 보유자에게 이자를 지급한다면, 이는 1980년대 머니마켓펀드(MMF) 붐 당시 은행 예금 유출 현상과 유사한 흐름을 초래할 수 있다. 이 경우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이 높아지고 그 결과 기업과 가계 대출 금리가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분석 “잭슨홀 전후 시장 급변…ETF 자금 흐름이 핵심 변수”] 지난주 파월의 잭슨홀 연설 이후 암호화폐 시장의 분위기가 급격히 바뀌었다고 비트파이넥스가 주간 분석 보고서인 비트파이넥스 알파를 통해 진단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은 인플레이션 지표 악화와 ETF 자금 유출 속에 한때 고점 대비 10% 가까이 하락했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완화적 발언 이후 강한 숏 스퀴즈가 발생하며 주요 암호화폐들이 반등했다. 다만 ETF 흐름은 여전히 핵심 변수로 꼽힌다. 미국 현물 ETF에서는 지난주 비트코인 ETF에서 11억 8,000만 달러, 이더리움 ETF에서는 하루 1억 9,700만 달러 순유출이 발생하며 4월 이후 최대 순유출을 기록했다. 이에 비트코인은 단기적으로 박스권 내에서 머무를 가능성이 크며 알트코인은 기관 자금이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전까지는 제한된 움직임에 머물 것”이라고 설명했다. [WLFI, USD1 포인트 프로그램 출시] 트럼프 일가의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이 USD1 포인트 프로그램을 공식 론칭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WLFI는 “이번 프로그램은 WLFI가 구축하는 금융 서비스 생태계의 일부로, USD1 단위 포인트 적립 및 활용 체계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첫 적용 거래소는 게이트아이오로, 해당 플랫폼 이용자들이 가장 먼저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고 전했다. [분석업체 “리브라 설립자, YZY 스나이핑 해 1200만 수익 챙겨”]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연루된 밈코인 리브라(LIBRA) 공동설립자 헤이든 데이비스가 칸예 웨스트가 발행한 토큰 YZY를 스나이핑 해 1200만 달러를 챙긴 것으로 의심된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스나이핑은 특정 토큰이 거래소에 상장되자마자 초기에 잡아내는 자동 매매 기법을 말한다.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버블맵스는 YZY 출시 전날 중앙화 거래소에서 자금이 유입된 여러 주소를 발견했다. 이를 추가로 추적한 결과, YZY를 스나이핑 하려고 준비하고 있는 집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주소들은 모두 헤이든 데이비스 주소와 연결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세계거래소연맹 “토큰화주식 규제 강화해야…투자자 위험 노출”] 세계거래소연맹(WFE)이 미국, 유럽 등에 토큰화 주식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달라는 내용의 서한을 발송했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서한을 받은 곳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유럽 증권시장감독청(ESMA), 세계증권감독기구(IOSCO) 등 3곳이다. WFE는 “토큰화된 주식을 판매하거나 판매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브로커와 암호화폐 거래소가 넘쳐나고 있다. 이같은 상품은 주식과 같은 것으로 취급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이는 많은 투자자들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테렛 “미 CFTC 위원장 대행, 문페이 이적 계획”]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대행 캐롤라인 팸이 대행직을 끝내면 암호화폐 결제업체 문페이로 갈 것이라는 소문이 나오고 있다고 크립토인아메리카 진행자 엘레노어 테렛이 전했다. 문페이 측은 이에 대한 사실확인을 거부했으나 CFTC 대변인실은 기업을 언급하지 않고 “팸 대행이 민간 사업체로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치프리미엄 2.1% 기록] BTC 김치프리미엄 2.1% 기록. 업비트 = 155,872,000 원 바이낸스 = 152,650,867 원 USDT = 1,420 원 차액 = 3,221,133 원 [반도체 개발사 시퀀스, BTC 매입 위해 최대 $2억 조달 계획] 나스닥 상장사인 반도체 기업 시퀀스커뮤니케이션(Sequans Communications)이 BTC 매입을 위해 시장 내 주식 발행 프로그램(ATM offering·신주 또는 자사주를 점진적으로 판매해 자금 조달하는 방식)을 출시, 최대 2억 달러를 조달한다고 비즈니스인사이더가 밝혔다. 시퀀스는 지난 7월 기준 3072 BTC를 보유 중이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viewCount3
1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