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4178
9달 전
enjoymyhobby/79839/6273989472270008487
나스닥도 장시작후 정신을 못차리는 분위기군요. #국제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1시간봉)다음 - 근데 그래도 나스닥보다 잘버틴다
enjoymyhobby/6206208557557332957
취미생활방📮
@enjoymyhobby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https://x.com/CryptoMyhobby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최근포스팅
📕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쉽게 읽는 경제(BBB 편) 이어서 머스크와 트럼프가 싸운 이유가 이 BBB 법안(정식 명칭: One Big Beautiful Bill Act)때문인데, 대체 무슨 내용인지 알아보자 하원 통과: 2025년 5월 22일, 찬성 215–214–1 상원 통과: 2025년 7월 1일, 51–50으로 부통령 J.D. Vance 캐스팅했으며 최종 수정본 채택 절차: 예산 조정법안(reconciliation)을 사용해 필리버스터 없이 과반으로 법안 통과시킴 🔍 핵심 내용 1. 세제·감세 2017년 세제감축 및 일자리 법(TCJA)의 주요 감세 조항 연장: 소득세, 표준공제 확대, 자녀세액공제 증액 등 팁·연장근로 소득 비과세 지속(~2028년) 은퇴자 공제 확대, 공장 지출(expensing) 지원 등 포함 2. 세금 공제 강화 SALT 공제 한도 상향: 기존 $10,000 → $40,000 (소득 < $500k) 기회구역(Opportunity Zones) 연장 및 기반시설(LIHTC 등) 투자 지원 확대 3. 복지·의료 메디케이드·SNAP 수급 자격 강화: 근로 요건 신설, 수혜자 수 감소 예상 CBO 추산 결과 메디케이드 자격 축소로 향후 1,090만 명 이상 보험 이탈 가능 4. 지출·국방·환경 $1500억 방위비 및 이민 집행 예산 포함 친환경 세제혜택 축소: 청정 에너지 세액공제 축소 5. 국가 부채·재정 영향 국채 한도 상향: $5조 증가 10년간 추가 부채 추정: $2.4조 → CBO 최신은 $2.8조 일부 추산은 $3.3조 이상 증가 전망 얼마 전 리서치에서 미국의 부채대비 관세 수입에 대해 언급했었는데, (관세 수입(약 213조 원)은 2025년 예상 재정적자(약 1,364조 원)의 약 15.6% 수준) 이 와중에 부채한도는 증가하고 친환경 보조금이 깎이니 마치 머스크를 저격한 듯한 법안이 된 것. 게다가 AI 주 규제 금지 조항은 삭제되었고, 일시적으로 8월 디폴트 우려가 해소되었으므로 이제 트럼프 정부는 자신들이 그렇게 욕하던 옐런이 하던 단기채 풍차돌리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여기에서 이제 파월의 연설의 숨은 의미랑 연결을 해보게 되는데, 트럼프는 시시때때로 파월은 멍청이라며 비난하고, 새로 의장을 뽑겠다고 으름장을 두고 있다. 파월의 임기는 내년 5월 까지이고, 이후 연준의원으로 활동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 다만 파월이 언급한 내용 중에 현재 미국 정부 재정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 부채의 레벨 자체는 관리 가능하지만, 재정적자 추세가 문제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라는 코멘트를 했는데, 이는 이 이후 벌어지는 모든 일에 대한 것을 '트럼프' 탓으로 넘기는 것. 여기에 더불어 "관세가 없었다면 진작에 금리인하를 더 했을 것" 까지 포함된다면 파월이 화가 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럼 적어도 파월을 강제로 끌어 내리는 것은 트럼프 입장에서 조기 레임덕이나 정책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고, 파월은 어차피 5월 이후 자신의 안위보존을 할 가능성이 없다면 과연 트럼프가 원하는 대로 돈을 풀게끔 움직여줄까? 라는 의문을 품게 되는 것이다. ✍️ 정리 BBB 법안은 한마디로 돈을 더 풀기 위한 트럼프의 빌드업 중 하나인데, 지니어스 법안하고 맞물리면 하드데이터의 손상을 보지 않는 상태에서 포뮬리즘을 하기 위한 방안들로 미국이 가득 채워지고 있다. 비단 미국 뿐만 아니라 이는 한국이나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결국 돈의 가치라는 것은 수요 공급의 원칙을 너무도 크게 반영한다. 요즘들어 레버리지를 당길 수 있는만큼 당겨서 자산을 사야한다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는데, 파월 VS 트럼프와 머스크 신당창당 VS 트럼프의 새로운 갈등구조가 나타날 모양이다. #국제
viewCount809
51분 전
📉 고용 동향 6월 민간 고용: 33,000명 감소 ▪️팬데믹 이후 드문 고용 감소 기록 ▪️해고는 여전히 드물지만, 신규 채용 회피와 이직자 미보충으로 감소 발생 📊 산업별 고용 변화 ✅ 증가한 부문 제조업: +15,000명 건설업: +9,000명 천연자원/광업: +8,000명 레저/접객업: +32,000명 ❌ 감소한 부문 전문/비즈니스 서비스: -56,000명 교육/보건 서비스: -52,000명 금융 활동: -14,000명 🏢 사업체 규모별 고용 변화 소규모 (1~49인): -47,000명 중규모 (50~499인): -15,000명 대규모 (500인 이상): +30,000명 📝 기타 정보 5월 고용 수치: 기존 +37,000명 → 수정 후 +29,000명 ✍️ 정리 채용 둔화가 실질적으로 고용 축소로 이어졌으며, 소규모 기업의 타격이 가장 큼 임금 상승세는 유지 중, 특히 이직자는 여전히 높은 상승률 노동시장 냉각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연준의 금리 정책에 대한 관측에 영향을 줄 수 있음 #국제
viewCount2503
2시간 전
📕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쉽게 읽는 경제(지니어스 법안편 1) 어제 상원에서 트럼프가 밀어붙이던 BBB법안이 통과되면서, 머스크와 트럼프간의 불화가 나와 증시가 흔들렸다. 머스크는 신당창당이 목적인 듯 하고, 트럼프입장에서는 머스크가 DOGE에서 활동할때부터 이야기 했던 것처럼 쓰고 버리기 좋은 패로 보여진다. 그런데 머스크는는 오늘 입장을 바꾼듯한 모습으로 "그래도 트럼프는 전세계의 많은 분쟁을 해결했다." 라는 글을 올리며 정신을 차린듯한 모습. 일단 오늘은 지니어스 법안부터 한번 정리를 해보자. 1️⃣ 지니어스 법안이란? 정식 명칭: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 of 2025 (S.394) 디지털 자산 분야, 특히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발행과 유통에 대한 규제 체계를 설정하는 상·하원 양당 합의 초당적 법안. 📌발행자 자격 요건 ▪️허가된 발행자(발행 자격자)만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 ▪️허가된 발행자 유형: ▲예금보험기관 자회사 ▲연방 승인 비은행 발행자 ▲州 기준 준수 발행자(발행량 100억 달러 이하) ▪️1대1 지급준비금 확보 ▪️달러나 유동 자산으로 1:1 준비금 비축 의무 ▪️발행 정책·준비금 내역 월별 공개 ▪️파산 시 우선권 보장 ▪️스테이블코인 보유자는 파산 시 채권자보다 우선적 청구권 보유 ▪️AML·제재 규제 적용 ▪️Bank Secrecy Act 등 반(反)자금세탁 및 테러자금 차단 규제 적용 ▪️증권규제로부터 제외, 국제협력 요구 ▪️우선 스테이블코인은 증권법 적용 면제 ▪️연준이 외국 규제당국과 협력하도록 규정 뭐 이런 내용인데, 각설하고 모든 스테이블 코인의 최대 목적은 "채권"이라고 생각. 한국 중앙은행은 진행하던 CBDC 프로젝트 "한강"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면서, 솔직히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다는 언급을 했다. 코인의 최대 목적이 결제를 위한 '가상화폐'말고, 접근을 조금 다르게 해보자. #국제
viewCount1915
2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