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2
9달 전
9월 30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금감원, ‘가상자산 사기ㆍ불법도박’… 고3 학생 금융교육 실시] 금융감독원이 사회 진출을 앞둔 고3 학생을 대상으로 가상자산 투자사기와 불법도박 예방 등 금융교육에 나선다. 올해는 특히 가상자산 투자사기 등 신종 금융사기, 청소년 불법도박 예방 자료 등을 추가해 피해예방 교육에 힘쓴다. 금감원은 2019년부터 범금융권과 함께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주 주요 토큰 언락 일정...$1.08억 SUI 등] 토큰언락(TokenUnlocks)에 따르면, 이번 주(9/30~10/6)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SUI: 10/1 09:00, 약 6419만개 언락, $1.08억, 총 유통량의 2.4% ZETA: 10/1 09:00, 약 5389만개 언락, $4030만, 총 유통량의 13.43% DYDX: 10/1 09:00, 약 833만개 언락, $878만, 총 유통량의 1.32% MAV: 10/1 09:00, 약 3640만개 언락, $870만, 총 유통량의 9.56%   [호주 상장사 바이닐, 폴리곤 기반 NFT 플랫폼 세레나데 인수] 디크립트에 따르면 호주 상장 음반사 바이닐 그룹(Vinyl Group)이 폴리곤 기반 NFT 플랫폼 세레나데(Serenade)를 주식 교환 형태로 인수했다. 인수 규모는 160만 달러다. 거래 조건에 따라 바이닐은 주식으로 55만 달러를 선지급했으며, 수익 등에 따라 추가로 100만 달러의 주식을 지급한다. 이번 인수에 따라 세레나데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주요 임원들이 바이닐 그룹에 합류한다.   [청탁금지법 물품에 가상자산 포함 법안 발의] 조세일보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김영환 의원(경기 고양정, 기획재정위원회)은 지난 29일 가상자산과 미공개 정보를 제공하는 행위도 부정청탁의 범위에 포함하도록 하는 부정청탁금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현행 청탁금지법에는 부정청탁에 해당하는 금품 목록을 규정하며 금전, 유가증권, 부동산, 회원권 등 재산적 이익을 열거하고 있지만, 가상자산은 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비탈릭 관련 주소, 20시간 전 팍소스에 $172만 ETH 이체]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스팟온체인(Spot On Chain)이 X를 통해 이더리움(ETH)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관련 주소(0x556으로 시작)가 20시간 전 649 ETH(172만 달러 상당)를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팍소스(Paxos) 추정 주소로 이체했다고 전했다. 이어 해당 주소는 지난 19일 비탈릭 주소에서 7만 ETH를 받은 익명 주소(0xd04로 시작)로부터 1,300 ETH(321만 달러 상당)를 수령하기도 했다. 또 최근 11일 동안 ETH 가격이 회복되면서 평단가 2,581 달러에 1,300 ETH(335만 달러 상당)를 팍소스 추정 주소에 이체했다고 전했다.   [분석 BTC, 장기 목표가 $19.4만~35.2만] 암호화폐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가 X를 통해 현재 BTC 가격 움직임은 노이즈에 불과하다. BTC/USD 주봉차트에서 컵앤핸들 강세 패턴이 포착됐으며, 장기적 관점에서 패턴이 완성되면 목표가는 19.4만~35.2만 달러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美 CFTC, 암호화폐 사기 플랫폼 운영진 기소]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를 운영한 일당을 사기 및 자금 유용 혐의로 기소했다. CFTC에 따르면 이들은 법정화폐 및 디지털자산을 통해 상품 선물 거래를 한다고 속여 32명의 고객으로부터 최소 360만 달러를 받아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크립토퀀트 CEO 웹3, 적절한 규제 필요] 주기영 크립토퀀트 CEO가 X를 통해 탈중앙화 조직이 실패한 개념이라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 많은 탈중앙화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주된 이유는 초기 참여자는 상당한 수익을 올린 뒤 안주하는 반면 후기 참여자는 보상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규제와 이익 추구 사이의) 균형이 핵심이다. 적절한 규제가 있다면 유망한 팀들의 참여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반면 규제가 없다면 사기꾼이 판치고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은 묻히고 말 것이다. 웹3에는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샌티멘트 소셜 미디어 투심 강세 편향... 시장엔 부정적] 코인텔레그래프가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Santiment) 데이터를 인용, 소셜 미디어 및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비트코인 강세를 기대하는 투자자 심리가 강해지고 있다. 이는 통상 실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소셜 미디어에서 BTC 강세를 기대하는 게시글 수와 약세 예측 게시글 수 비율은 1.8:1로, 강세 비중이 크다. 이에 대해 샌티멘트는 역사적으로 시장은 대중의 기대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였다. BTC가 사상 최고점을 경신하려면 대중 기대치가 낮아질 때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코발런트, EWM 라이트 클라이언트 테스트넷 출시] 인공지능(AI)을 위한 모듈형 블록체인 데이터 인프라 코발런트(CXT)가 공식 채널을 통해 자체 개발 이더리움 웨이백 머신(EWM) 라이트 클라이언트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이니셔티브는 이더리움의 탈중앙화 구조를 보호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확장에 따른 과거 데이터 저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됐다. EWM 라이트 클라이언트를 통해 사용자는 일반적인 노트북정도의 사양으로도 이더리움의 과거 데이터를 검증하고 보존하는 데 참여할 수 있다. 코발런트는 해당 테스트넷 참여자에게 독점 보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최대 20~25%의 연환산 수익률이 적용되는 메인넷 우선 접근 권한을 부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코발런트는 순차적으로 EWM 테스트넷 검증 참여자들에게 연락이 갈 예정이다. 대기자 명단에 등록된 참여자들은 이메일을 통해 후속 절차를 확인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빗썸 대불장 뭐임 ㄷㄷㄷㄷㄷㄷㄷㄷㄷ다음 - 🗞 망고마켓, MNGO 토큰 폐기 합의 SEC와 70...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7월 15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베라체인, BERA 스테이킹 도입 거버넌스 제안]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베라체인(BERA)이 유동성 기반 합의 메커니즘(PoL) v2 거버넌스 제안을 공개했다. 이번 제안의 핵심은 베라체인 거버넌스 토큰인 BGT에 지급되던 PoL 인센티브의 33%를 BERA 토큰 스테이커를 위한 네이티브 수익 모듈로 재분배하는 것이다. 복잡한 베라체인 생태계에 참여할 필요 없이, 온체인 및 거래소 사용자의 BERA 토큰 수요와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향후 일주일간의 의견 수렴 기간을 거쳐 해당 제안을 메인넷에 적용할 예정이다. [코인베이스 BTC 담보대출 담보액 $10억 돌파] 코인베이스이 제공하는 비트코인 담보대출의 총 담보 규모가 1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워처구루가 전했다. 코인베이스는 올해부터 미국 이용자들에게 BTC 담보대출 서비스를 재개했으며, 지난 5월에는 대출 한도를 기존 10만 달러에서 100만 달러까지 상향했다. [베트남 블록체인 위크 GM 베트남 2025 하노이서 개최] 베트남 최대 증권사 SSI 디지털 자산 부문 SSID와 키로스 벤처스가 8월 1일부터 이틀간 하노이 국립컨벤션센터에서 베트남 블록체인 위크 GM 베트남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GM 베트남 2025에는 50개 이상 후원사와 150여 개 전략 파트너사, 200개 미디어 등이 참여한다. 또 200명 이상의 연사가 디파이, 게임파이, 실물자산(RWA), AI, 블록체인 인프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이밖에 블록체인 위크에서는 블록체인, AI 등 활용 사례를 소개하는 인터랙티브 부스와 함께 투자자 매칭 세션, 애프터파티 등 네트워킹 공간이 마련된다. [갤럭시디지털, 260 BTC 거래소 입금] 아캄에 따르면 갤럭시디지털이 지난 30분 동안 중앙화거래소(CEX)로 260 BTC를 입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갤럭시디지털은 두 개의 외부 주소에 각각 280 BTC, 250 BTC를 이체했다. 앞서 14년 이상 휴면 상태였던 비트코인 고래(bc1qq8q로 시작) 주소가 갤럭시디지털 추정 주소로 9,000 BTC(10.6억 달러 상당)를 이체한 바 있다. [8만 BTC 고래, 갤럭시디지털로 $9.27억 BTC 추가 이체] 8만 BTC를 보유한 고래 주소가 갤럭시디지털 추정 주소로 7,843 BTC(9.27억 달러)를 추가 이체했으며, 이에 따라 갤럭시디지털로 이체된 물량이 총 16,843 BTC(20억 달러)에 달한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한편 갤럭시디지털은 해당 물량 중 일부를 중앙화 거래소(CEX)로 입금하기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바이비트 및 바이낸스로 총 2,000 BTC(2.36억 달러)를 입금했다. [BTC 20배 롱 고래, 1000 BTC 포지션 정리] 14년 휴면 고래의 BTC 대규모 이체로 가격 변동성이 커지자, BTC 20배 롱포지션을 보유 중이던 하이퍼리퀴드 고래 아귈러트레이즈(AguilaTrades)가 TWAP(시간 가중 평균 가격)로 1000 BTC를 분할 정리했다고 온체인 분석가 ai_9684xtpa가 전했다. 이로 인해 잔여 포지션은 4억달러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평균 매수가는 111,713.4 달러, 청산가는 112,090 달러다. 앞서 14년 이상 휴면 상태였던 비트코인 고래가 오늘 갤럭시디지털에 총 16,843 BTC(20억 달러)를 이체한 바 있다. [서학개미 테슬라 팔고 코인株 탑승…서클·코인베이스 인기] 뉴시스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 1개월간 미국 증시에서 USDC 발행사 서클을 6억914달러(약 8436억원) 사들였다. 국내 투자자 순매수 기준 1위다. 코인베이스도 2억 달러가량 사들이며 개별 종목 중 2위를 차지했다. 반면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등 대형 기술주는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더블록체인그룹, $700만 자금 조달 추진...BTC 매입할 듯] 프랑스 블록체인 전문 기업 더블록체인그룹(ALTBG)이 비트코인 전략 비축안 강화를 위해 700만 달러 규모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조달은 유상 증자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며, 모금액은 BTC 매입에 사용될 전망이다. 더블록체인그룹은 14일 기준 1,933 BTC를 보유 중이다. [코인베이스 프로로 9,861억원 상당 BTC 입금] 크립토퀀트 알람에 따르면, 6,287.61 BTC(9,861억원)가 익명 주소에서 코인베이스 프로로 입금됐다. 3,010.37 BTC, 3,157.24 BTC로 두 차례 나눠 입금됐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입금은 물량 매도 목적으로, 출금은 보유 목적으로 해석된다. 단, 거래소 입금이 반드시 물량 매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8만 BTC 보유 고래, $9.57억 BTC 갤럭시디지털 추가 이체] 8만 BTC를 보유한 고래가 지난 1시간 동안 8,157 BTC(9.57억 달러)를 갤럭시디지털로 추가 이체했다고 앰버CN이 전했다. 그는 해당 고래는 전날 40,010 BTC를 이동시켰으며, 현재까지 총 26,500 BTC(31.29억 달러)를 갤럭시디지털로 이체했다. 이 같은 흐름을 볼 때, 40,010 BTC 전량을 매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8.37% / 숏 51.63% 1.바이낸스: 롱 48.18% / 숏 51.82% 2.바이비트: 롱 47.91% / 숏 52.09% 3.게이트아이오: 롱 43.89% / 숏 56.11%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viewCount1
4분 전
#속보 스탠다드차타드는 기관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거래를 제공하는 최초의 글로벌 은행이 되었습니다. Standard Chartered becomes first global bank to offer institutional Bitcoin and Ethereum trading.
viewCount2
1시간 전
😇 [단독]'과태료 7조' 현실화되나…업비트 제재 17일 결론 - source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71513585835746) 1. FIU, 7월 17일 업비트 과태료 수위 결정 예정 - 업비트 KYC 위반 약 70만건 → 업계 일각선 수천억~7조원 추산 - 한빗코 사례(197건 위반에 19.9억원 과태료)가 비교 기준으로 활용됨 2. 타 거래소 제재 수위에도 직접적 영향 - 빗썸·코인원 등 종합검사 결과 대기 중 → 업비트 처분이 가이드라인 역할 - 과태료는 재무상 대규모 손실로 직결 → 영세 거래소에 ‘생존 위협’ 가능성
viewCount4
3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