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yth의 'Express Relay'에 대해 알아보자.
피스의 지연시간 없는 데이터 푸시(push) 서비스 Express Relay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왜 필요할까?
pull-based 오라클인 pyth의 경우, 사용자가 요청시 업데이트가 되지만 이 경우 필연적으로 약간의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정도의 지연시간도 아쉬운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즉 초를 쪼갠 ms 단위의 빠른 데이터가 필요한 고빈도 트레이딩, 파생상품, 옵션 거래등을 위해 나온 것이 바로 Pyth Express Relay.
✔️ Pyth Express Relay
Express Relay는 Pyth Network가 제공하는 데이터 푸시 서비스로, 전통적인 오라클 방식(풀/풀링 기반)과 달리, 데이터 소비자가 요청하지 않아도 미리 실시간 가격 데이터를 체인에 전송해줍니다.
✔️ 작동방식
1. Pyth 데이터 프로바이더들이 제공하는 실시간 가격 피드를 수신
2. Express Relay는 지원 체인에 자동으로 가격 데이터를 푸시
3. 항상 최신 가격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서 확인 가능
4. 이는 기존 Pyth의 pull 구조와 병행되어 작동
✔️ 쓰는 입장에서의 장점
따로 호출을 하지 않아도 원하는 오라클 데이터가 자동으로 푸쉬되며, 지연시간이 짧고 가스비 부담이 없음 (따로 요청 트렌젝션이 없이 항상 최신데이터 사용가능)
다만, 데이터가 푸시되는 타이밍에 의존해야하는 문제와, 신뢰성등의 이유로 Express Relay만 사용하기 보다는 기존 방식과 병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듯?
✔️ 현재 사용중인 체인 및 프로젝트는?
솔라나, 이더리움, 아비트럼등을 중심으로 지원을 늘려나가는 중.
EVM : Synthetix, Ionic, Zerolend, Synonym, Vela, Keom, Fulcrom, Jax Finance
SOL : Kamino Finance, Titan Exchange, Jupiter Exchange, Ranger Finance
:: Comment ::
PYTH 블로그를 보면 원래는 MEV 방지용으로 개발된거같은데, 방식 자체의 장점이 있어 점점 널리 쓰이고 있는 모양. 최근 xStocks등에도 도입되는등 점점 쓸모가 많아지고 있는 Pyth는 다른 오라클 대비 이런 경쟁력도 있었군요.
※ Pyth의 KOL로 활동중입니다.

527
51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