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9월 넷째주 이슈정리
1️⃣ 연준 금리 인하 & 내부 분열
🟢9월 17일, 연준이 0.25% 인하 발표.
🟢그러나 위원 간 이견 뚜렷 : 인플레 지속 우려 vs 고용 약화 리스크 강조 분화됨.
🟢시장에선 “앞으로 얼마나 더 인하 가능할까?”가 최대 관전 포인트가 됨.
2️⃣ 2분기 GDP 상향 조정 & 성장 강세
🟢GDP 성장률 연율 기준 **3.84%**로 상향 조정됨.
🟢소비 지출 강세 지속됨.
🟢다만 고용 지표가 약한 게 매치 안 됐다는 지적 많음.
3️⃣ 달러 강세 반등 & 금리 기대 변화
🟢GDP 발표 후 달러가 상승세 보임.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고, 채권 수익률이 같이 오름세 탔음.
🟢시장은 “인플레 잔존 + 성장 강세”라는 난제 사이에서 혼돈 중.
4️⃣ 노동시장 약세 신호: 고용 둔화 & 실업률 상승
🟢8월 신규 고용은 22,000명 증가에 그침.
🟢실업률 4.3%로 상승.
🟢임금 압박 완화 조짐 + 기업 채용 기조 점검해야 함.
5️⃣ 무역 적자 확대 & 경상수지 개선 흐름
🟢7월 상품+서비스 무역 적자 급증함.
🟢반면, 2분기 경상수지 적자는 축소됨 (−$2513억) → 이전보다 부담 완화된 면 있음.
🟢무역·환율 리스크 같이 봐야 함.
6️⃣ 트럼프의 새 관세 발표 & 무역정책 강화
🟢10월 1일부터 제약, 가구, 중장비 등에 고관세 부과 발표됨 (예: 제약 100%)
🟢관세 불확실성이 기업 투자 판단과 공급망 재구축 움직임 자극 중.
7️⃣ 포틀랜드 군대 파견 명령 & 내정 충돌
🟢트럼프가 포틀랜드에 군대 파견 허가, “전면 대응(full force)” 허용 발표.
🟢도시·주 당국 반발 강함. 정치적 분쟁 격화 가능성 높음.
8️⃣ 미국-우크라이나 연대 강화 & 대러 메시지
🟢트럼프가 유엔 연설에서 우크라이나에 “잃어버린 영토 되찾아야 한다”고 강한 지지 표명.
🟢러시아 향한 비판 수위 높아짐. 지정학 리스크 요소 지속됨.
9️⃣ 미국-베네수엘라 마약 조직 타격 가능성 확대
🟢미국이 베네수엘라 내부 마약 조직 타격을 위한 드론 공격 가능성 검토 중이라는 보도 나옴.
🟢이미 해상 타격도 이뤄진 상태임.
🟢중남미 리스크 + 대통령 권한 행사 확대 관련해서 주목됨.
🔟 트럼프의 중국 정책 U-턴 조짐
🟢이전 강경 일변도였던 대중 정책에서 방향성 일부 수정 움직임 보임 (“지역 우선” 쪽으로 전략 재조정)
🟢미국이 아시아보다는 서반구 중심 전략 강조 가능성 시사됨.
✍️정리
배팅사이트에서 현재 미국 정부 셧다운 가능성은 82%.
미국의 견고한 경제지표가 일부 침체지표들을 상쇄하고 금리인하를 긍정적으로 만들고 있는 상황.
다만 트럼프라는 인물을 분석해보면, 미국이 정말 경기침체가 온다면 뚜렷한 징후 없이 "누군가의 책임"으로 돌릴 수 있을 때 그사람 탓으로 돌리고 경기침체에 밀어 넣은 뒤 부양책을 통해 내년 선거에서 승리를 유도할 가능성이 큼.
한국은 개별적으로 시끄러운 이슈가 많은 상황인데, 논란의 여지가 될 것 같아 따로 언급은 안하겠음. 다만 1350원~1380원대에 모든 현금은 테더와 달러로 바꿔 놓았음.
#국제

1628
2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