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2307
9달 전
enjoymyhobby/81539/6131824353965359154
BlackRock 이 현재 보유중인 비트코인 수량은 429,185 BTC 입니다. ETF 때문에 비트는오르는거같은데... #BTC #ETF #BLACKROCK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2008년에 비트코인 구매자.jpg 엄청난 선구안을 ...다음 - 비트가 수렴을 해서 그러는건지, 알트가 힘을못쓰네요. ...
enjoymyhobby/6206208557557332957
취미생활방📮
@enjoymyhobby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https://x.com/CryptoMyhobby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최근포스팅
📕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8월 마지막주 이슈정리 1️⃣ 관세 위헌 판결 ⚖️ ▪️미 연방 항소법원, 트럼프 전 대통령이 IEEPA 근거로 부과한 글로벌 관세를 위헌·불법으로 판결. ▪️단, 10월 14일까지 효력 유지, 이후 대법원 판단 대기. ▪️법원 논리: 관세 권한은 의회에 속함, 긴급경제법은 제재·수출통제용이지 관세 부과 법적 근거 아님. 📌무역정책 불확실성 확대 → 공급망 비용·물가 압박 요인 지속. 2️⃣ 외국 원조 49억 달러 중단 💸 ▪️트럼프, 의회 승인된 외국원조 약 $49억 지출을 집행 거부. ▪️유엔 지원금 약 $10억 이상 포함. ▪️‘포켓 리스션’ 기법 활용, 헌법 위반 논란 촉발. 📌외교 신뢰 훼손 가능성, 의회-행정부 권한 충돌 심화. 3️⃣ 연준·통화정책 🏦 ▪️최근 연준 위원 발언 요약: ▪️일부 위원, 성급한 금리 인하 경계. ▪️그러나 소비 둔화·고용 지표 약화로 9월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 📌 금리 인하 기대가 달러 약세·신흥시장 자금 유입 압력. 4️⃣ 경제 지표 발표 📉 ▪️PCE 물가 (7월): 전년 대비 2.6% (시장 예상치 부합). ▪️GDP 2Q 수정치: 연율 2.1% →3.3% 📌 연준 금리 인하 압력 유지되나, 물가 둔화 속도는 점진적. 5️⃣ 주식시장 동향 📈 ▪️엔비디아, 실적 호조 + AI 수요 전망 강화로 사상 최고가 재돌파. 그러나 그후 알리바바 이슈 등으로 하락 📌 기술주 중심 강세, 경기민감주는 부진. 6️⃣ 트럼프 리스크 🗣 ▪️무역·외교 정책 혼선 외에도, ▪️외국원조 중단 ▪️관세 판결 불확실성 → 정치·시장 불안정 요인 확대. 📌 시사점: 대선 전까지 정책 리스크 프리미엄이 금융시장에 반영될 가능성↑. 👉정리 ▪️관세 위헌 판결은 통상정책 불확실성 확대. ▪️연준은 점진적 금리 인하로 기울고 있음. ▪️증시는 AI·기술주 랠리 vs 전통산업 둔화. ▪️정치 리스크(트럼프 정책, 외국 원조 중단) → 달러 변동성 확대 요인. #국제
viewCount2505
9시간 전
어디선가 제 DB 가 팔렸나보군요ㄷㄷ #PI
viewCount5121
15시간 전
📕 7월 PCE 인플레이션 리포트 요약 (발표: 2025년 8월 29일, BEA) 1️⃣ 인플레이션 지표 헤드라인 PCE: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 +2.6% 코어 PCE(식료품·에너지 제외):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9% 👉 연준 목표치(2%)를 여전히 웃돌며, 특히 코어 인플레가 끈적하게 유지되는 모습 2️⃣ 소득·소비 동향 개인소득: +0.4% m/m 가처분소득(DPI): +0.4% m/m 명목 PCE(소비지출): +0.5% m/m 실질 PCE: +0.3% m/m 저축률: 4.4% (6월 4.3%에서 소폭 상승) 👉 소득과 소비 모두 플러스 흐름, 소비 여력은 아직 유지되고 있음 3️⃣ 소비 항목별 구성 서비스 지출: +602억 달러 (금융서비스, 보험, 주거비 중심) 상품 지출: +487억 달러 (자동차, 내구재, 휘발유 중심) 👉 소비가 서비스와 상품 양쪽에서 균형 있게 증가 4️⃣ 시장 인사이트 코어 PCE 2.9% → 인플레 둔화가 생각보다 더딤 소비는 여전히 견조해 경기 침체 신호는 제한적 9월 FOMC 앞두고 연준 금리인하 기대는 커지지만, 인플레 경직성 때문에 ‘속도 조절론’ 부각 가능 5️⃣ 다음 발표 일정 다음 발표: 2025년 9월 26일 (8월 PCE) 관심 포인트: 서비스 가격과 임금 상승세, 연준의 실제 금리 인하 경 💬 정리하면, 이번 7월 PCE는 “소비는 여전히 탄탄, 인플레는 천천히 내려오고 있다”라는 그림. 시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80% 이상 반영 중이지만, 연준의 속도조절 가능성도 무시 못할 상황 #국제
viewCount6957
1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