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
7달 전
shampoo1004/79969/6170045882112787191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다음 - 🗞 아크인베 “트럼프 시대, USDC 발행사 서클 I...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한은 총재 "원화 스테이블코인 비은행권에 허용하면 여러 문제 발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다수 비은행 기관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면 19세기 민간 화폐 발행에 따른 혼선이 다시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이어 "그런 상황에서는 통화정책을 하기 어렵고, 중앙은행 체제로 돌아오는 과정을 다시 거쳐야 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마구 허용하면 외환 자유화 정책과 충돌할 수 있다"며 "지급결제 업무를 비은행에 허용하면 은행 수익구조도 많이 바뀌게 된다. 한강 프로젝트(한은의 CBDC 프로젝트)는 안전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의 첫 단계"라고 덧붙였다. coinness https://www.fnnews.com/news/202507100952167718
viewCount1
3분 전
[속보] 한은총재 "집값 상승 속도, 작년 8월보다 빠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1099547
viewCount1
4분 전
7월 10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미 상원의원 CLARITY 법안, 비암호화폐 기업 SEC 규제 회피 길 열어줘] 암호화폐 산업을 오랫동안 비판해 온 엘리자베스 워런 미국 상원의원은 디지털 자산 시장 구조 법안(CLARITY) 청문회에서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비암호화폐 기업이 SEC(증권거래위원회)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자산을 토큰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메타, 테슬라 같은 상장사가 블록체인에 주식을 올리기만 하면 바로 SEC의 모든 규제를 피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CEO도 청문회에 참석해 5500만명이 넘는 미국인이 암호화폐 경제에 참여하고 있으며 암호화폐 시장 구조에 대한 현명한 규제 체계는 필수적이고 이미 오래 전에 마련됐어야 했다고 말했다. [미 SEC 위원 토큰 증권도 증권...증권법 준수해야] SEC(증권거래위원회) 암호화폐 태스크포스(TF) 팀장을 겸임하고 있는 헤스터 피어스 위원이 X에 증권 토큰화에 대한 생각을 공유했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는 이 글의 핵심은 블록체인 기술이 아무리 강력하더라도 기초 자산의 본질을 바꿀 수 있는 마법 같은 능력은 없다는 것이다. 토큰 증권도 여전히 증권이다. 따라서 시장 참여자들은 이러한 증권을 거래할 때 연방 증권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외신 서클, 바이비트와 수익 분배 계약 체결] USDC 발행사 서클이 바이비트 거래소와 수익 분배 계약을 맺었다고 코인데스크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서클은 이미 코인베이스와 준비금 수익의 50%를 공유하고 있다. 바이낸스도 서클로부터 6025만 달러 선불 수수료를 받았으며 거래소 USDC 잔고에 따라 매달 인센티브를 받고 있다. 소식통은 서클이 이미 여러 거래소와 수익 분배 계약을 맺었다며 USDC를 상당량 보유하고 있는 거래소라면 이미 계약을 맺은 상태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주니어, 암호화폐 비축 썸즈업 미디어 주식 35만주 매입]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600만 달러 사모 발행을 통해 썸즈업 미디어(Thumzup Media) 주식 35만주를 매입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썸즈업 미디어는 200만 달러 이상의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추가로 6종의 암호화폐를 매수할 계획이다. [美 FOMC 6월 의사록: 대다수 위원 관세, 지속적으로 인플레 자극 가능] 미국 연준이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2025년 6월 의사록을 코인니스가 요약했다. -모든 위원들은 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데 동의했다 -일부 위원은 현 연방기금금리가 중립금리보다 크게 높지 않을 수 있다는 매파적인 의견을 냈다 -일부 위원은 데이터가 예상대로 나온다면 7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검토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대다수 위원은 올해 적절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다수 위원은 관세가 지속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일부 위원은 가장 가능성 높은 적절한 정책 경로는 2025년에도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XRP 고래, 잔액 증가세] 샌티멘트는 XRP가 5월 23일 이후 처음으로 2.39달러를 넘어서며 7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소 100만 XRP를 보유한 고래 수와 잔액이 증가하고 있다. 100만 XRP 이상 보유 지갑 수는 2742개로 전날 역대 최대치인 2743개보다 1개 줄었다. 이 지갑들은 총 473.2억 XRP를 보유하며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고 있다고 전했다. [분석 이더리움, 내러티브 변화로 최고가 도달할 것] 이더리움(ETH)을 둘러싼 거시적 상황이 의미 있게 변하면서 사상 최고가를 경신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약 87만 명의 X 팔로워를 보유한 익명의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펜토시(Pentoshi)가 현재 ETH에 대한 내러티브가 변하고 있다. 투자자 대부분 ETH에 냉소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기업들이 머지 이후 생성된 ETH 물량을 전부 상쇄할 만큼 매수에 나설 것이다. 현재 ETH는 BTC의 시가총액의 9분의 1에 불과하다. 훨씬 적은 자본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ETH로 유입되기 시작한 자본이 큰 움직임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펀드스트랫(Fundstrat) 설립자 톰 리(Tom Lee)는 스테이블코인 채택 증가로 이더리움이 부활할 것이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으며, 중요한 것 서클(USDC)이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스테이블코인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 이더리움도 크게 반등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8개국에 추가 관세 통보...브라질엔 50%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루스 소셜을 통해 8개국 정상에게 보낸 관세 부과 서한을 잇달아 공개했다. 해당 국가는 브라질, 필리핀, 브루나이, 몰도바, 알제리, 이라크, 리비아, 스리랑카다. 트럼프는 브라질에 대해 5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으며, 리비아, 이라크, 알제리, 스리랑카는 30%, 브루나이와 몰도바는 25%, 필리핀은 20%의 관세가 적용된다. 트럼프는 지금까지 총 22개국에 관세 부과 서한을 보냈다. [美 SEC, 블랙록 ETHA 현물 환매 허용 심사 연장]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블랙록 이더리움 현물 ETF(ETHA)의 현물 환매를 허용해 달라는 나스닥의 제안에 대해 심사 기한을 연장했다고 크립토브리핑이 보도했다. [미 상원의원,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임 촉구]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가 제롬 파월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이끌 자격이 없다며 즉각적인 사임을 요구했다고 왓처구루가 전했다. [美 의회, 암호화폐 규제 두고 입장차] 미국 상원의 주요 위원회가 암호화폐 규제 초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가운데, 공화당은 완화된 접근을 요구했지만 민주당은 법안의 허점과 이해 충돌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상원 은행위원회는 최근 청문회를 열고, 오는 9월 30일까지 암호화폐 시장 구조 관련 법안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갔으며, 하원은 별도로 다음 주 자체 법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팀 스콧 미국 상원 은행·주택·도시위원회 위원장은 투자자를 보호하고, 책임 있는 혁신이 가능하도록 명확하고 완화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상원의원 라파엘 워녹은 암호화폐 관련 법안이 행정부의 이해 충돌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 이런 구조는 공정한 시장도, 자유시장도 아닌 것처럼 보인다고 언급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viewCount1
26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