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
9달 전
..
jutrobedzielepsze/1794/6192777219865166113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늘보 모듈러 에어드랍은 진행 중🔥 1. 드디어 ...다음 - 😘 FourPillars : 크로미아 리서치 지난번...
jutrobedzielepsze/6332214381101823019
유트로의 크립토 서바이벌
@jutrobedzielepsze
블로그: https://blog.naver.com/jutrobedzielepsze 소통방: https://t.me/JutroChat 문의: @Jutro2
최근포스팅
✅ Lombard, KODA와 전략적 협업 발표 1. Lombard x KODA - Lombard : BTC LST 시장 점유율 57%를 차지하는 BTC LST 대장 프로젝트 - KODA : KB국민은행과 주요 블록체인 기업들이 지원하는 한국 최대 기관용 디지털 자산 수탁사 - 한국 시장에서 기관 대상 비트코인 수익상품 및 온체인 금융 서비스 확대를 목표로 협력 2. 협업 목표 및 의의 - 한국의 규제 환경 변화와 기관 수요 증가에 맞춘 전략적 파트너십 - 규정 준수형 비트코인 수익상품 개발 및 한국형 제도권 프레임워크 구축 - 롬바드는 한국 기관에도 안전하고 합법적인 BTC 수익·유동성 상품을 제공 ✍️온체인에서는 이미 1등을 찍어버린 롬바드는 그 외적으로도 영향력을 키워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LBTC 바이빗 상장도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였고 KODA 협업 역시도 중요하게 살펴볼만한 행보임. 이미 기존 디파이에서는 LBTC이 점유율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크립토에 관심있는 Web2 기업들까지 고객으로 확보한다면 다시 한 번 급성장이 가능할 것 같음. 👉관련 기사 #KOL
viewCount441
21시간 전
✅ The Graph, 엔터프라이즈 인프라 전환 1. 메이저로 변모 중인 크립토 시장 - 비트, 이더가 메이저 자산이 되고 나서 시장 자체도 수많은 빅플레이어들이 진입 중 - 다만 성능, 규제, 안정성에 있어서 이들을 받쳐줄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 - 더 그래프는 이런 면에서 최적의 플레이어 - 기존 중앙화 API 리스크 해결, 안정적 데이터 활용 가능 2️. 더 그래프 최근 성과 - 누적 1.2조+ 쿼리 처리 - 데이터 인쿼리 인프라 중 글로벌 최대 점유 - 금융, AI 기업을 위한 툴셋 존재 3. Clarity Act 규제 선도 - Clarity Act는 탈중앙화 인프라 법안 - 업계 표준 정립을위해 50+ 기관과 함께 법안 지원 중 - 규제 불확실성 해소된다면 대규모 기관 채택 가능 ✍️ 크립토 시장이 메이저가 되면서 여러 빅플레이어들이 진입하고 있음. 이런 빅플레이어들의 진입과 채택으로 수혜를 볼 수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가 더그래프. 더그래프는 데이터 인쿼리 인프라로 일등을 달리고 있고 기업들을 위한 툴셋도 여럿 준비해둠. 최근에는 탈중앙화 인프라 법안을 위해서 여러 기관들과 협업 중이라고 하는데 규제만 제대로 들어서면 1등 자리는 더욱 확고해질듯함. 👉관련 블로그 글 👉더 그래프 한국 커뮤니티 #KOL
viewCount513
23시간 전
📝 Camp Network 근황 체크 - 기존 온체인 쪽으로는 Billions, Gaib과 파트너십 - IP 의류 사업으로 Chalk line, Rematser와 파트너십 - FDV는 500M 정도 유지 중 ✍️ 근래 TGE를 했던 Camp는 그간 말해온 포부에 맞는 파트너십을 진행 중. AI 쪽으로는 Billions, Gaib과 깐부를 맺었고 IP 관련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도 체결함. FDV는 살짝 아쉬운 500M 정도 지키는 중인데 여기서 괜찮은 성과들이 나와준다면 좋을듯 👉관련 트윗
viewCount610
1일 전
📝 Celestine Sloth Society 대폭 할인 기념 정리글 

1. Celestia의 시작
- Celestia Labs의 CEO는 2019년도에 Lazy Ledger라는 이름으로 백서를 공개
- 그 당시 대부분의 체인과는 달리 DA에 한해서만 기능을 하는 블록체인을 설계했기에 Lazy Ledger라는 이름을 지음
- 하지만 Lazy Ledger라는 이름은 그다지 직관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추후 깨달음
- 2021년에 Celestia로 리브랜딩

2. Celestine Sloths의 등장
- 코스모스 OG 중 한명인 Zaki는 Lazy Ledger라는 작명을 좋아했음
- 여기에서 착안해 이후에 토큰 이름을 $SLOTH로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는 않음
- 대신 Bad Kids와 스타게이즈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Sloth NFT를 구상
- 티아 스테이커를 대상 1 티아 민팅가로 페어 런칭
- Sloth는 복잡한 모듈러 생태계에 유저들이 보다 재밌게 그리고 가볍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 중 ( Initia, Astria, Rollkit etc )

3. Celestine Sloth의 미래
- Zaki는 Celestine Sloth의 미래는 커뮤니티에 달려있다고 함
- Sloth Token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확정인 것은 없음
- 흥미롭게도 Celestia의 지난 번 해커톤에서 Lazy Chain이라는 프로젝트가 등장했음
- 어쩌면 Sloth 커뮤니티 기반의 체인이 보다 빨리 등장할 수도 있음

4. 모
유트로의 크립토 서바이벌
📝 Celestine Sloth Society 대폭 할인 기념 정리글 1. Celestia의 시작 - Celestia Labs의 CEO는 2019년도에 Lazy Ledger라는 이름으로 백서를 공개 - 그 당시 대부분의 체인과는 달리 DA에 한해서만 기능을 하는 블록체인을 설계했기에 Lazy Ledger라는 이름을 지음 - 하지만 Lazy Ledger라는 이름은 그다지 직관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추후 깨달음 - 2021년에 Celestia로 리브랜딩 2. Celestine Sloths의 등장 - 코스모스 OG 중 한명인 Zaki는 Lazy Ledger라는 작명을 좋아했음 - 여기에서 착안해 이후에 토큰 이름을 $SLOTH로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는 않음 - 대신 Bad Kids와 스타게이즈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Sloth NFT를 구상 - 티아 스테이커를 대상 1 티아 민팅가로 페어 런칭 - Sloth는 복잡한 모듈러 생태계에 유저들이 보다 재밌게 그리고 가볍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 중 ( Initia, Astria, Rollkit etc ) 3. Celestine Sloth의 미래 - Zaki는 Celestine Sloth의 미래는 커뮤니티에 달려있다고 함 - Sloth Token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확정인 것은 없음 - 흥미롭게도 Celestia의 지난 번 해커톤에서 Lazy Chain이라는 프로젝트가 등장했음 - 어쩌면 Sloth 커뮤니티 기반의 체인이 보다 빨리 등장할 수도 있음 4.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