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10월 22일 주요경제이슈
1. 연준. 올해 두차례 금리 인하 전망.
- 연준은 올해 남은 기간에 두 차례(10월과 12월) 기준금리를 각각 25bp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 다만 2026년 이후 금리 경로는 매우 불확실하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10월 24일에 발표될 CPI가 10월 기준금리 인하의 힘을 더욱 실어주게 될 전망입니다.(지연 발표)
2.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 연방정부가 10월 1일부로 예산 법안 합의 지연으로 셧다운 된 이후로, 셧다운이 장기화 되고 있습니다.
- 미국의 셧다운이 장기화 되면 연방정부의 재정집행이 불가능하며, 트럼프는 군인들 급여를 우선적으로 지급하겠다고 이야기한 바가 있습니다.
- 셧다운으로 매주 최대 150억 달러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베센트 재무 장관이 언급했으나, 이번 주 내에 해제가 될 수 있다고 백악관은 발표해서 미국 경제 방향에 매우 중요한 한주가 될 것입니다.
3. 미국 기업 실적 호조 & 소비자 지출 양극화 뚜렷
- S&P글로벌 500기업 중 약 87%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으며, 그 중 대형 소비재와 자동차 기업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다만 소비 중심이 고소득층 위주라는 지적이 나오며, K 자형 회복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이와 동시에 자동차 모기지에 관한 위험이 도드라지기 시작하며 미국 투자자들을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4. 주택시장 지표
- NAHB의 주택자재업체, 건설지표가 6개월 만에 최고치로 반등했습니다.
- 그러나 지표값은 여전히 50 아래선을 밑돌고 있습니다.
5. 미국 주식 시장(상승 모멘텀 둔화 + 금값 급락)
미국 증시는 기업실적 기대감으로 상승했으나, 어제 금이 급락하였습니다.
셧다운 리스크 해제로 인한 하락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금은 9월부터 계속 과매수 상태였습니다.
6. 온라인 홀리데이 판매성장 둔화 전망
Adobe Analytics는 2025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 온라인 판매가 5.3% 증가로 예상되며, 2024년 8.7%에 비해 둔화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소비자들이 할인과 이커머스 활용을 늘리고 있지만, 성장률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7. 주요 경제지표 발표 지연
- 지난주에 발표되었어야 하는 CPI가 이번주에 발표되는 등, 여러 경제 지표들의 발표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 이는 연준이 방향성을 정하고 경제를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미국의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미국 경제방향의 불확실성이 커질 전망입니다.
✍️정리
계속되는 셧다운, 금융 리스크, 트럼프의 오락가락 등으로 미국 증시의 움직임(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금리 인하 2회가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불확실성으로 인한 우려가 가중되기 시작하면 매크로 환경이 Bad is Good 에서 Bad is Bad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습니다.
#국제

1041
38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