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217
11달 전
..
마침 대표 LRT들인 Swell / Puffer 토큰이 업비트 상장. https://upbit.com/service_center/notice?id=4695 특히 Swell은 시장 흐름 정말 잘 읽는 팀이라고 생각. 자체 L2에도 유동성이 많이 몰려 있어서 과연 Restaking 기반으로 불장에 어떤 괴물같은 구조를 만들지 기대 중.
업비트(Upbit)
업비트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NFT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 국내 거래량 1위 거래소 업비트에서 지금 확인해보세요. No.1 Digital Asset Exchange in Korea, Upbit. Trade various digital assets conveniently and securely including Bitcoin, Ethereum, Ripple, NFT etc.
moneybullkr/3097/5786101640078665886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비트코인 $103,000상회] $103,438다음 -
moneybullkr/6105065466465726923
David's Anecdote
@davidanecdotekr
부에 대한 이야기
최근포스팅
진짜 멋지네요 👍
viewCount301
12시간 전
근데 이들의 입장도 너무 공감이 되는게 저도 L2가 고객인 회사에 있을때는 진짜 누가 봐도 스캠인 L2가 나와도 트위터에서 아무말도 못하고 꾹 참고 있었던 경우가 많습니다. 이게 또 잠재적 고객이기도 하니... 리서치 회사들도 어느 정도 비슷한 딜레마를 마주하는게 아닐까 하네요.
viewCount383
1일 전
제가 개인적으로 정말 글 잘 쓴다고 생각하는 전 메사리 리서처였던 Kunal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왜 리서치 회사들이 시장에 메인 네러티브인 ZEC, MEGA ICO, MON과 같은 주제에 대한 리서치를 작성하지 않는가" 실제로 에전에는 시장에서 어떤 토픽이 올라오고 지속성이 있으면 리서치 회사들에서 관련한 리서치를 발행하고 목소리를 내곤 했었습니다. 근데 이게 요즘 안보이는 이유는 사실상 많은 리서치 회사들이 수익 구조 자체가 Paid Research 그러니까 돈을 받고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글을 써주는 형태로 집중되어서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에는 좀 더 리서쳐들이 자유롭게 시장을 폭 넓게 다루고 인사이트 높은 글을 써내서 구독료를 받는게 메인 구조였다면 지금은 차라리 프로젝트에게 돈을 받고 관련 리서치를 퍼블리싱 하는게 더 직관적인 수익 구조로 자리 잡은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회사에서 입장에서는 시장에서 핫한 네러티브에 인력을 배분할 리소스가 매우 적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게 아닐까요? 그리고 리서치 회사 또는 미디어 펌들이 특정 대형 생태계와 독점 계약을 맺는 경우도 많아 보니 다양한 주제에 대해 예전 처럼 객관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쉽지 않은 것도 현실이고요. 당연 이 구조가 "나쁜건 전혀 아닙니다". 오히려 이 시장이 아직은 구독료를 내고 리서치를 구독할만큼의 충분한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 단계라고 본다면 리서치 회사들도 생존을 위한 선택을 한게 아닐까 합니다. (사실 메사리 / 델파이 같은 대형 리서치 펌도 구독료로는 적자일 것 같다고 예상해봅니다) 이는 시장 전체 파이가 더 커지면 자연스럽게 해소되는 현상일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예전처럼 리서처들끼리 치고박는 모습이 덜 보여서 아쉽기는 합니다.
viewCount2031
1일 전
Eigenalyer 쪽에서 보상 관련해서 새로운 프로포절을 제시했는데, 기존 보상 체계에서 AVS 관점에서는 좀 더 유동적이고 검증자 입장에서는 좀 더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갈려는 듯 함.  https://forum.eigenlayer.xyz/t/elip-001-rewards-v2/14196

Restaking 쪽에서도 Eigen, Symbiotic, 그리고 Native BTC Restaking하는 Satlayer등 점점 구조가 잡혀가는 느낌인데, 2025년에 중요한건 해당 생태계에 참여하는 AVS들이 얼마나 늘어나느가 그리고 그들이 과연 지속 가능하게 돈을 벌어갈 수 있는 기존 구조가 형성되냐 일 듯. 

AVS들은 대부분 자체 토큰을 찍을건데, 돈 못 벌거나 제대로 된 보상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약간 코스모스 L1쪽에서 인플레이션 감당 못해서 검증자들이 돈 못 벌어가는 현상을 맞이하게 됨. 

이번 불장에서는 토큰 보상으로 어떻게든 버티겠지만…. 그 다음에는?

해당 프로포절은 주말에 더 자세히 읽어볼 예정.
David's Anecdote
Eigenalyer 쪽에서 보상 관련해서 새로운 프로포절을 제시했는데, 기존 보상 체계에서 AVS 관점에서는 좀 더 유동적이고 검증자 입장에서는 좀 더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갈려는 듯 함. https://forum.eigenlayer.xyz/t/elip-001-rewards-v2/14196 Restaking 쪽에서도 Eigen, Symbiotic, 그리고 Native BTC Restaking하는 Satlayer등 점점 구조가 잡혀가는 느낌인데, 2025년에 중요한건 해당 생태계에 참여하는 AVS들이 얼마나 늘어나느가 그리고 그들이 과연 지속 가능하게 돈을 벌어갈 수 있는 기존 구조가 형성되냐 일 듯. AVS들은 대부분 자체 토큰을 찍을건데, 돈 못 벌거나 제대로 된 보상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약간 코스모스 L1쪽에서 인플레이션 감당 못해서 검증자들이 돈 못 벌어가는 현상을 맞이하게 됨. 이번 불장에서는 토큰 보상으로 어떻게든 버티겠지만…. 그 다음에는? 해당 프로포절은 주말에 더 자세히 읽어볼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