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ssari가 말아주는 더그래프의 25년 2분기 성과 #kol
✅ 2분기 주요 성과
1️⃣ 데이터 쿼리량 사상 최고치
- 6.49B(64억 9천만) 건으로 4분기 연속 성장, 전 분기 대비 +5.8%
- 아비트럼 쿼리량 +46.2% QoQ로 가장 빠른 성장
- 이더리움 메인넷은 여전히 1위 수성
2️⃣ Subgraph 생성 급증
- 서브그래프 1,673개 신규생성 (+46.3% QoQ) 사상 최고치
- 총 활성 서브그래프 14,023개 (+13.1% QoQ)
3️⃣ Indexer 참여 반등
- 인덱서 참여 반등 (+5.3% QoQ)
- 활동 인덱서 73명 (+2.8% QoQ)
4️⃣ 수익 지표
- 이용 가격인하에도 분기 수익 $128,862 기록 (+6.4% QoQ)
- GraphTally 도입 등 효율화 효과
- 스테이킹 총액 $210.2M, 스테이킹 비율 20.01% 기록
5️⃣ 멀티체인 확장
- EVM에 이어 솔라나, 트론, 스텔라, Rootstock, Lens Chain 등 통합
- 아비트럼, 베이스, 솔라나 간 $GRT 전송 위한 Chainlink CCIP 통합
원문
✅ 더 그래프의 다음 목표, '분산형 지식그래프'
- 쉽게 생각해서 여러 데이터간의 연결 구조를 구조화해서 표현해주는 것
- 예를 들면 구글에 '이더리움'을 검색하면 비탈릭 부테린, 목표, 사건, 사고 등 여러 데이터가 하나의 연결망으로 표현
- 더 그래프는 이를 중앙 서버가 아닌 블록체인 위에 올려 누구나 기여, 검증이 가능한 검열저항성, 투명성, 보상구조를 가진 '분산형 지식그래프'를 구축하고자 함
- GRC-20 표준을 기반으로 발행, 관리되며 Geo Genesis를 통해 커뮤니티가 직접 이를 큐레이팅하고 구축함
- 블록체인 데이터 인덱싱에서 나아가 모든 공개 지식 데이터 인덱싱으로의 확장에서 큰 의미
더 그래프의 경우 토큰의 존재는 알지만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해서는 저를 비롯해서 많은 분들이 잘 모르고 계실거라 생각하는데요. 쉽게 말해서 온체인 데이터 표준을 만드는 프로젝트로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 산출, 분석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분산형 지식그래프는 데이터 인덱싱을 넘어서 Web2의 데이터까지 탈중앙화 기반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인데 향후 Web3, AI에 있어 구글 정도의 역할을 목표로 하고 있는 듯 하니 관심있게 지켜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24
1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