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7380
4달 전
..
GMBLABS/11379/6280615275367874677
에테나 파운더가 직접 퍼드 및 우려에 대한 답변을 해주었습니다. 현재 시장 변동성에서는 이러한 현상이(디페깅) 꽤 일반적이며, 이미지에서 보시다시피 USDT와 USDC 역시 약간 페그 이하로 거래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장기 하락장이 시작되면 델타 헤지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펀딩피 수입은 다른 스테이블코인 이자와 스테이킹 을통한 이자를 상쇄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있습니까? - 네, 이것이 바로 USDtb를 도입한 이유입니다. 이 제품은 일반적인 법정화폐 스테이블코인이므로 포지션을 정리하고 여기에 머물 수 있습니다. 2. 누군가가 USDe를 시장에서 덤핑하면 사람들은 디페깅으로 인해 Terra의 UST를 떠올립니다. 이런 상황에 대한 페그 메커니즘이 있습니까? - 네, 실제로 이런 상황은 이미 발생하고 있으며, USDe를 매수한 차익거래자들이 이를 상환하고 일부 공급을 줄이고 있습니다. 지난 24시간 동안 트레이더들이 청산되면서 공급이 약 4천만 달러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링크 FUD에 속지 마세요:) #ENA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독일 규제당국 월드코인에 생체정보 삭제 명령 EU...다음 - 📣 하바 AMA 요약 (불개미 마음대로) 1. 하바...
GMBLABS/6091351266522413539
GMB LABS
@GMBLABS
Pegging the imbalance of information in Crypto World Chat : @GMBLABSCHAT Contact: @GMB_McCoy Web: https://gmb.vc/
최근포스팅
✅ 메N 길드 만들었습니다. 서버는 팡 길드명은 HEDGIES 이니깐 같이하실 분들 가입해주세요! GMB로 하려니깐,,안만들어짐
viewCount782
1시간 전
유의촉구지정 필요하겠지...
viewCount3123
14시간 전
새로운 소식: @CoinDesk 이 입수한 새로운 문서에 따르면, 트럼프의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지원하는 암호화폐 스타트업인 Movement Labs가 초기 내부자들에게 최대 10%의 토큰 공급량에 대한 접근을 조용히 약속했다고 합니다. 그 어떤 것도 투자자들에게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https://x.com/skesslr/status/1923025377246536111?s=46&t=6z8DCWAYLdEUUo9FHbOE_A #MOVE
viewCount3284
14시간 전
USDe 와 ENA의 가격하락이 나오면서 점점 또 퍼드들이 생겨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정확히 인지하고 가는것이 좋은 것 같네요. 

1. USDe 

USDe는 스테이블코인이 아닌 합성달러라고 표기합니다. USDe의 이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스테이킹 하여 나오는 이자와 해당 스테이킹된 자산에 대한 헷징(델타-헷징) 포지션에서 나오는 펀딩피 수익, 스테이블 코인의 이자를 통해 발생됩니다.

결국, USDe는 금리가 내리던 뭐 국채 금리가 -를 가던 상관이 없는 자산입니다. 최근 에테나에서 BUIDL을 담보로한 USDtb를 출시하였는데 이건 BUIDL 자체가 국채를 토큰화한것이기 때문에 국채이자가 낮아지면 당연히 영향을 받을 수 있죠. 하지만, USDe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2. 리스크

현재 sUSDe의 이자율이 20%대에서 10%대로 추락하면서 미세한 디페깅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자율이 20%대가 됐던것은 위에서 설명했던 이자를 만들어내는 방식중에 스테이블코인 이자, 델타-헷징 포지션의 펀딩피 수익이 컸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기본 펀딩비 혹은 그 이하 음수의 펀딩비도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이득이 축소 혹은 기존 다른 이자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감쇄시키기 때문에 이자율이 10% 근처로 산출되는 것 같습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USDe는 스테이킹 일드, 스테이블 코인 이자 보다 펀딩피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다른 뭐 금리인하고 경제가 박살나고 뭐 그런것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기
GMB LABS
USDe 와 ENA의 가격하락이 나오면서 점점 또 퍼드들이 생겨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정확히 인지하고 가는것이 좋은 것 같네요. 1. USDe USDe는 스테이블코인이 아닌 합성달러라고 표기합니다. USDe의 이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스테이킹 하여 나오는 이자와 해당 스테이킹된 자산에 대한 헷징(델타-헷징) 포지션에서 나오는 펀딩피 수익, 스테이블 코인의 이자를 통해 발생됩니다. 결국, USDe는 금리가 내리던 뭐 국채 금리가 -를 가던 상관이 없는 자산입니다. 최근 에테나에서 BUIDL을 담보로한 USDtb를 출시하였는데 이건 BUIDL 자체가 국채를 토큰화한것이기 때문에 국채이자가 낮아지면 당연히 영향을 받을 수 있죠. 하지만, USDe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2. 리스크 현재 sUSDe의 이자율이 20%대에서 10%대로 추락하면서 미세한 디페깅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자율이 20%대가 됐던것은 위에서 설명했던 이자를 만들어내는 방식중에 스테이블코인 이자, 델타-헷징 포지션의 펀딩피 수익이 컸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기본 펀딩비 혹은 그 이하 음수의 펀딩비도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의 이득이 축소 혹은 기존 다른 이자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감쇄시키기 때문에 이자율이 10% 근처로 산출되는 것 같습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USDe는 스테이킹 일드, 스테이블 코인 이자 보다 펀딩피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다른 뭐 금리인하고 경제가 박살나고 뭐 그런것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