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25.8.12 당신이 잠든 사이 뉴욕증시
1. 중국 관세 협상 90일 유예
트럼프, 145% 관세폭등 계획 일시 유예.
현행 세율: 미국→중국 10%, 중국→미국 30%(기본+펜타닐 관련).
위험 요인: 연장 종료 시 최소 80% 이상 인상 가능성.
기업·소비자 부담: 현재 소비자 부담률 22% → 향후 67%까지 확대 가능.
2. NVDA, AMD 매출 15% 미국 정부 지불 조건으로 중국 수출 허가 획득
3. 워싱턴 D.C. 경찰을 연방 통제하에 두고 800명의 주 방위군 배치.
이는 노숙자 캠프 및 워싱턴 D.C.의 치안 회복을 위한 것.
4. 미국증시 펀드 매니저의 91%가 주식이 과대평가 되었다고 응답.
S&P 500, Dow Jones, Nasdaq 지수는 모두 사상 최고치 부근에서 거래 중이며, 이번 주 발표될 **7월 CPI(소비자물가지수)**와 미·중 관세 합의 기한이 향후 시장 방향을 좌우할 주요 리스크로 꼽힘.
5. 금에 관세 부과되지 않음
6. 골드만 삭스의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부담 우려.
6월말 기준 미국 기업이 64%, 소비자는 22%, 해외 수출업체가 14%를 부담했으나 관세부과 연장으로 10월 소비자 부담은 67%까지 오를 것이라 보고.
이러한 변화는 인플레이션의 상승에 기여, 연말까지 핵심 PCE는 3.2%에 달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주장.
7. AI 도입에 따른 미국 노동시장의 디플레이션 압력
미국의 청년 실업 위기가 악화.
최근 3개월 동안 20~24세 대학 졸업자의 미국 평균 실업률은 8.1%
16~24세의 경우 10%에 달함. 이는 2021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
✍️정리
증시와 크립토 외 다른 곳으로 자금이 쏠리려고 할 때마다 트럼프가 행정명령 및 SNS로 억제하는 모습이 계속 보임
8월 12일 화요일에 발표되는 CPI는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반영할 수 있음
기업들의 실적을 바탕으로 증시가 랠리를 이어가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소비여력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모습이 보임
#국제

1043
45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