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07
7달 전
..
- 이더리움은 가장 안정적이고 생태계가 큰 PoS 체인임 그러나 스테이킹 측면에서는 아쉬운 부분이 있음. - 무엇보다 개인이 스테이킹하기 어려움. 최소 32 ETH가 필요하고, 인프라 기술도 요구됨. 사실상 일반인은 스테이킹이 불가능하다고 봄. - 그래서 대부분 Lido와 Rocketpool 같은 LSD(Liquid Staking Derivatives)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LSD 프로젝트에 스테이킹이 집중됨. - 더구나 $stETH 같은 유동화 토큰이 없으면 스테이킹된 $ETH는 잠기고, 슬래싱 리스크도 있음. - 심지어 비탈릭도 자신의 $ETH를 모두 스테이킹하지 않음. - 비탈릭은 Solo Staker를 늘리고 중앙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레인보우 스테이킹(Rainbow Staking)’이라는 개념을 제안했음. (관련 자료 https://ethresear.ch/t/unbundling-staking-towards-rainbow-staking/18683) - 간단히 말하면, 노드 오퍼레이터와 위임자를 구분 짓는 구조임. - 일반인이 LSD를 사용하지 않고 노드를 운영하지 않아도, 소액의 $ETH를 노드 오퍼레이터에게 위임할 수 있는 것임. 더구나 위임자는 슬래싱 리스크가 없는 구조임. - 사실 이 구조는 이미 카르다노에서 사용되고 있음.
Ethereum Research
Unbundling staking: Towards rainbow staking
Many thanks to @fradamt, @casparschwa, @vbuterin, @hxrts, @Julian, @aelowsson, @sachayves, @mikeneuder, @DrewVanderWerff, @diego, @Pintail, @soispoke, @0xkydo, @uri-bloXroute, @cwgoes, @quintuskilbourn for their comments on the text (comments ≠ endorsements, and reviewers may or may not share equal conviction in the ideas presented here). We present rainbow staking, a conceptual framework allowing protocol service providers, whether “solo” or “professional”, to maximally participate in a diffe...
doriworld/6626/5941411638936711932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깜빡 실수’로 1조 비트코인 쓰레기통에 버린 英...다음 - [주간베스트] 글로벌 로봇 대장주는? https://w...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최근포스팅
3년간 1조 3915억원... 직원 1인당 매출액 엄청날듯...
viewCount294
2일 전
tradingview에 전인구 지표도 도입해야할 것 같음...
viewCount266
2일 전
기발하네요..
viewCount335
3일 전
- 이유는 대부분의 체인에서 100여 개의 노드만 블록 생성에 참여하도록 제한되기 때문임. (더 많을 수 있지만 비슷한 수준임)

- 초기 재단 물량을 위임받지 않으면 100위 안에 진입하기 어렵고, 재단 물량아니면 직접 코인을 매입해야 하는데 비용이 엄청날 것임.

- 그래서 이 업계는 코인을 발행한 재단이 갑 of 갑임. 재단이 프로토콜 개발, 운영, 위임, 노드 선택 권한을 모두 쥐고 있음.

- 이와 달리 이런 구조에 속하지 않는 체인은 내가 알기론 이더리움과 카르다노임. (더있을지 모름…)
도리의 코인메모
- 이유는 대부분의 체인에서 100여 개의 노드만 블록 생성에 참여하도록 제한되기 때문임. (더 많을 수 있지만 비슷한 수준임) - 초기 재단 물량을 위임받지 않으면 100위 안에 진입하기 어렵고, 재단 물량아니면 직접 코인을 매입해야 하는데 비용이 엄청날 것임. - 그래서 이 업계는 코인을 발행한 재단이 갑 of 갑임. 재단이 프로토콜 개발, 운영, 위임, 노드 선택 권한을 모두 쥐고 있음. - 이와 달리 이런 구조에 속하지 않는 체인은 내가 알기론 이더리움과 카르다노임. (더있을지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