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지식 2편]
12. RP를 모르다보니, 'LORE'같은 개념도 필연적으로 모를 수 밖에 없다.
13. 그래서 옛날부터 서양 프로젝트들이 로어같은걸 요구하면 한국인들은 다들 어리둥절해하더라고..
14. 로어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 스토리가 전개되어가는 세계관을 의미해.
15. 그 게임이 펼쳐지는 세계의 역사, 신화, 전설, 종족의 기원, 종교, 문화, 인물 이야기 등을 포함한 전체적인 '배경 지식'같은것들 있잖아?
16. 이런 설정이 풍부하고 정교할수록 그 게임이 더 흥미롭고 매력을 더하는 편이라..
17. 소위 말하는 '설정놀음'이 대단히 발전하기도 좋은 토양인거야.
18. 설정이 얼마나 탄탄하냐면, 우리가 영화를 통해 접해서 잘 아는 '반지의제왕'같은 경우는, 거기에 나오는 종족들의 언어가 실제로 다 사용이 가능한 언어임. 엘프어, 오크어등등이 다 문법이나 문자, 어휘등이 존재함...
19. 에 또.. 우리가 가장 잘 아는 유우명한 TRPG 설정중에는 "던전 앤 드래곤즈"같은 설정이 있고.. 요런데서 파생되어 나온 게임이나 설정들도 또 엄청나게 많지.
20. 크립토 하다가도 매력적인 세계관을 짜고, 그 안에서 정해진 규칙대로 핍진성있게 플레이를 하는 이런 문화에 대해 피상적으로라도 알아야, 설명이나 이해가 가능한 부분들이 좀 많더라.
간략하게 설명해봤어

199
9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