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서비스들은 중앙화된 클라우드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 중앙화된 블록체인 서비스?
- 현재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대부분은 AWS·Azure·구글 클라우드 같은 중앙화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본 호스팅 환경으로 사용하고 있음
- 주요 지분증명(PoS) 네트워크의 검증자 노드 역시 자체 하드웨어가 아닌 상업용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서 운영되는 경우가 많음
⚙️중앙화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이유
- 많은 운영자들은 예측 가능한 성능, 간편한 환경 설정, 높은 가용성(업타임) 때문에 중앙화 클라우드를 선택한다고 함
- AWS, Azure 같은 플랫폼들은 복잡한 확장·운영을 크게 단순화해 주기 때문에 사실상 Web3 네트워크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음
- AWS 같은 대형 클라우드 업체들은 스타트업에게 초기 비용을 낮춰주는 각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때문에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춰줌
💬 무엇이 문제인가?
- 중앙화 클라우드 의존성은 평소에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AWS 같은 대형 플랫폼에 장애가 발생하는 순간 문제가 그대로 드러남
- 실제로 코인베이스도 AWS를 사용하고 있는데, 10월 20일 AWS 장애 당시 로그인 오류·거래 체결 불가·출금 지연 등 주요 기능이 모두 마비됨
- 로빈후드 역시 같은 날 주문 실행 지연, API 오류를 겪으며 서비스에 차질이 발생
💰 위기를 기회로
- 중앙화된 클라우드 인프라의 잦은 서비스 중단·용량 부족 문제는 분산형 인프라 프로젝트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음
- 투자자들 역시 분산형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찾아도 좋을듯
- 아직 분산형 인프라가 중앙화 클라우드의 절대적인 성능을 따라잡지는 못했지만, 동등하거나 이를 넘어서는 순간 대형 클라우드 의존도는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밖에 없음
- 완전히 AWS를 떠나지는 않겠지만, 스토리지부터 분산 인프라로 이전하고, 이후에는 AI·컴퓨팅 워크로드도 점진적으로 분산할 가능성이 높음
👀 주목해 볼 프로젝트?
- 아직 차트는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분산형 클라우드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프로젝트들은 분명 존재함
- Filecoin, Arweave: 전통적 클라우드 외부에서 데이터·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활용되고 있어 주목할 만함
- Akash, Render Network: 컴퓨팅 및 GPU 렌더링에 대한 탈중앙화 대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됨

563
4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