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1
6달 전
1월 18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금융위원회 업비트 제재, 확정된 바 없다] 금융위원회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업비트에 대한 제재 관련 사항은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앞서 국내 한 매체는 금융당국이 업비트에 영업 정지 처분을 내렸으며, 이 처분이 확정되는 경우 최장 6개월 동안 신규 고객 관련 영업을 제한받게 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업비트 측도 앞서 현재는 제재 결과가 확정된 것이 아니며, 제재 심의 위원회 등 향후 절차를 통해 충실히 소명할 것이라는 입장을 낸 바 있다.   [美 국세청, 암호화폐 거래 보고 제도 올해부터 시행] CNN에 따르면 미국 국세청(IRS)이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제3자 보고 요건(거래 정보를 국세청에 보고함)이 올해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적용 대상은 수탁형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운영자, 특정 암호화폐 호스팅 월렛 제공업체, 암호화폐 키오스크, 암호화폐 결제 처리업체 등이며, 오는 2026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다만 유니스왑, 스시스왑 등 DEX의 경우 2027년 이전까지 적용이 면제될 방침이다.   [온톨로지 공동 설립자, $1,565만 ETH 바이낸스 입금]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EmberCN)이 X를 통해 온톨로지(ONT) 공동 설립자 앤디 지로 라벨링된 주소가 암호화폐 스테이킹 플랫폼 라이도(LDO)에서 4,669 ETH(1,565만 달러 상당)를 언스테이킹하고 20분 전 바이낸스에 입금했다고 전했다. 해당 물량은 약 45일 전 평단가 3,708 달러에 바이낸스에서 출금됐으며, 추정 손실은 162만 달러다.   [親 암호화폐 미국 상원의원, 연방보안관 BTC 매도설 관련 조사 착수] Aggr News에 따르면, 암호화폐에 친화적인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가 미국 연방 보안관(U.S. Marshals Service)의 보유 비트코인 매도설과 관련 조사에 착수했다고 미국 유력 정치 전문지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지난 1월 9일 미국 법원이 연방보안관이 관리 중인 65억 달러 상당 다크웹 실크로드 비트코인 물량의 매각을 허가한 것과 연관된 것으로 예상된다. 루미스는 대통령 교체 시기에 발생한 이런 의혹은 차기 BTC 전략적 준비자산 채택과 관련한 차기 행정부 정책 목표와 정면으로 모순된다. 만약 연방 보안관이 BTC를 매도했다면, 미국 납세자들에게 185억 달러 이상의 미실현 손실이 발생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 美 이용자 대상 BTC 온체인 대출 기능 제공] 코인베이스가 미국 이용자들에게 비트코인 대출 기능 제공을 재개했다고 DL뉴스가 전했다. 뉴욕주를 제외한 곳에서 BTC 대출이 가능하며, 이전과 달리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모포(MORPHO)를 통해 대출이 이뤄진다는 설명이다. 코인베이스는 과거에도 보유 BTC의 30%가량을 대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왔지만,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경고에 따라 2023년 7월 기능 제공을 중단한 바 있다.   [플루터스 렌딩, 美 SEC과 $165만 벌금 지불 합의] 크라우드펀드인사이더에 따르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대출업체 플루터스 렌딩(Plutus Lending)과 민사 벌금 165만 달러 지불에 합의했다. SEC에 따르면 암호화폐 브로커리지 플랫폼 아브라(Abra)로 사업을 영위 중인 플루투스는 개인 투자자 암호화폐 대출 상품인 아브라 언(Abra Earn) 서비스를 미등록 제공한 혐의를 받는다.   [스위스 국영은행, 이더리움 스테이킹 지원] 블룸버그에 따르면, 스위스 국영은행 포스트파이낸스AG(PostFinance AG)가 이더리움(ETH) 스테이킹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포스트파이낸스AG는 지난해 암호화폐 트레이딩 및 커스터디 사업을 시작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다른 암호화폐 스테이킹 지원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