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4
8달 전
1월 19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금융당국, 업비트에 임직원 중징계도 검토] 뉴시스에 따르면 고객확인제도(KYC)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업비트와 관련해, 금융정보분석원(FIU)이 기관제재 뿐 아니라 임직원 등 신분(인적) 제재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자금세탁 방지 체계를 제대로 수립하지 않았거나, 관련 교육 및 연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담당 임직원들이 제재 대상이다. 앞서 FIU는 업비트에 KYC 위반을 근거로 제재수위를 사전 통보한 상태다. 여기에는 일부 영업정지에 해당하는 기관제재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테더 CEO 트럼프 취임 후 미국 사업 확장 추진]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USDT) 최고경영자(CEO)인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 이후 규제 명확성이 확보되면 미국 사업 확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USDT 시가총액은 1,370억 달러 상당이며, USDT의 담보 자산 대부분은 미국 국채로 알려졌다. 테더는 지난해 3분기부터 미국 정계 로비 지출액도 크게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아르도이노는 최근 발표한 테더의 엘살바도르 내 글로벌 본사 설립과 관련 직원을 추가 채용할 것이며, 테더의 모회사인 아이파이넥스(iFinex)도 엘살바도르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美 기업인 단체, 소비자금융보호국 고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기술 기업인 단체가 미국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CFPB가 지난해 12월 디지털 결제 앱, 월렛 등을 은행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감독 권한을 확대하겠다는 규정을 내놨는데, 이같은 규정이 미국 기술 발전을 저해하고 소비자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해당 규정은 암호화폐 월렛을 명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디지털 월렛, 비은행 금융서비스 제공자 등을 대상으로 한다.   [유엑스링크, 소셜 중심 체인 유엑스링크 원체인 출시]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X를 통해 세계 최초 소셜 네이티브 및 성장 중심 체인 유엑스링크 원체인(ONE Chain)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테스트넷이 공개된 상태다. 유엑스링크 원체인은 소셜 성장 레이어(Social Growth Layer)의 핵심 요소로, 옵티미스틱 롤업을 기반으로 구축됐다. 포괄적인 소셜 계정 추상화와 네이티브 크로스체인 프레임워크와 같은 혁신적인 솔루션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을 구현하며, 다양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댑(DApp)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지원한다. UXLINK 토큰은 유엑스링크 원체인에서 유일하게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한 토큰으로 역할을 하게 된다.   [엠블, 日 법인 대상 차량 리스 투자상품 제공] PR타임스에 따르면 블록체인 모빌리티 플랫폼 엠블(MVL)이 블록체인 모빌리티 파이낸스 플랫폼 무스비(MUSUBI)를 출범, 일본 법인을 대상으로 차량 리스 투자 상품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블랙록 CEO “비트코인, 금 뛰어넘을 수 있다”] 코인리퍼블릭에 따르면 래리 핑크 블랙록 CEO가 CNBC에 출연해 “비트코인은 금보다 더 큰(Bigger) 투자 자산으로, 점점 더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안전한 자산 피난처 역할을 할 수 있다. 우리가 BTC 현물 ETF를 출시한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비트코인은 금에 버금가는 자산이며 심지어는 이를 뛰어넘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블랙록 트럼프 취임으로 2025년은 비트코인 원년 될 것”] 블랙록 ETF 최고투자책임자(CIO) 사마라 코헨(Samara Cohen)이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과 이에 따른 암호화폐 시장 규제 완화로 또 다른 역사적인 한 해를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암호화폐를 증권이 아닌 상품으로 분류하자는 내용의 21세기 금융혁신 및 기술법(FIT21)과 스테이블코인 법안 진전이 있을 것이다. 다만 BTC는 위험자산인 만큼 투자자들은 변동성을 염두해야 한다. BTC 가격은 장기적으로 채택 수준, 속도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김프 4.5%권 도달! 현재 김프 : 4.56% ...다음 -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업비트 미라 퀴즈 정답 환각과 편향 정밀도와 정확도 블록체인 기반 집단 AI 검증자 네트워크 주장 단위 암호학적 인증서 변환 접근법 pow + pos 스테이킹 자산 삭감 mira 10억개
viewCount5
2시간 전
9월 26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스테이블코인 시총 사상 첫 $3000억 돌파] 코인마켓캡 기준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3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구체적으로는 24시간 동안 0.13% 증가한 3077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 중 테더(USDT)가 1,730억 3,000만 달러로 1위를 차지했고, USDC는 741억 9,000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미 오하이오주, 암호화폐 통한 세금 납부 업체 승인] 미국 오하이오주 예금위원회가 암호화폐를 통한 세금 납부를 제공하는 업체를 공식 승인했다고 비트코인매거진이 전했다. 이에 따라 오하이오주 주민들은 법인세, 면허 수수료, 각종 행정 서비스 비용을 암호화폐로 지불할 수 있게 된다. [구글, BTC 채굴업체 사이퍼마이닝 지분 5.4% 우선권 확보] 구글이 나스닥 상장 비트코인 채굴업체 사이퍼 마이닝(Cipher Mining, 티커: CIFR)의 지분 5.4%를 매수할 수 있는 우선권을 확보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이는 인공지능(AI) 컴퓨팅 스타트업 플루이드스택(Fluidstack)이 사이퍼 마이닝의 데이터센터를 10년 동안 사용하는 내용의 계약(30억 달러 규모)을 체결하면서 구글이 이를 위한 보증 계약을 체결한 것이라고 매체는 설명했다. [美 CFTC 차기 위원장 최종 후보에 친암호화폐 인사] 미 백악관이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후보로 전 CFTC 위원 질 서머스(Jill Sommers)와 전국신용협동조합관리국(NCUA) 국장 카일 홉트만(Kyle Hauptman)을 고려 중이라고 크립토인아메리카 진행자 엘리노어 테렛이 전했다. 이들은 모두 친암호화폐 성향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테렛은 “질 서머스 전 위원은 폴 앳킨스 현 SEC 위원장과도 매우 가까운 사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카일 홉트만은 NCUA에 몸담고 있던 지난해 “암호화폐와 인공지능(AI)이 야기할 수 있는 문제와 단점은 있을 수 있지만, 모든 신기술에는 단점이 존재한다. 자동차가 발명되기 전까지는 교통사고가 없었다. 범죄자들이 불법적인 활동에 암호화폐를 악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현금을 악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아울러 스테이블코인은 미국의 결제 시스템을 변화시켰다고 생각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비트코인OS, 휴면 BTC 활용 프로토콜 출시] 비트코인 확장성 강화 프로젝트인 비트코인OS(BOS)가 휴면 상태의 비트코인을 활용한 수익 프로토콜 그레일 프로(Grail Pro)를 출시했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그레일 프로는 수탁 기관들이 보유한 휴면 상태의 비트코인을 거래, 대출 또는 수익 창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플라즈마 스테이킹 올인 고래, 570억원 상당 수령] 지난 6월 플라즈마(XPL) 스테이킹에 보유하고 있던 5000만 USDC와 270만 USDT를 올인했던 한 주소(0x790으로 시작)가 보상으로 54,081,783.66 XPL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약 4,056만 달러 규모로, 한화로는 570억원 상당이다. [앵커리지디지털, 스테이블코인 인력 2배 확충 방침] 미국 연방은행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커스터디 및 뱅킹 업체 앵커리지디지털(Anchorage Digital)이 내년에 스테이블코인 담당 부서 인력을 2배 확충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앵커리지는 “디지털 달러(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호황과 새로운 법안들이 속속 나오면서 관련 인력과 서비스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클, USDC에 가역성 메커니즘 적용 검토...중앙화 리스크 우려] 우블록체인은 서클 사장 히스 타버트는 사기, 해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SDC 거래에 가역성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 밝혔는데 이는 암호화폐의 비가역성 원칙과 상충된다. 그는 이러한 메커니즘이 기존 금융 시장 내 스테이블코인 보급을 촉진할 수 있지만 중앙화 리스크 우려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인터폴 $9700만 암호화폐 압수] 인터폴이 대대적 단속으로 범죄와 연루된 9700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압수했다고 디크립트가 보도했다. 6만8000개 이상의 은행 계좌를 차단하고 약 400개 암호화폐 지갑을 동결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viewCount5
2시간 전
https://youtu.be/c168cbbRa8E?si=k2nb0FtgCUOnvO54
viewCount3
4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