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709
7달 전
..
비탈릭이 이렇게까지 강한 어조로 이야기 하는건 처음 보네요 https://x.com/VitalikButerin/status/1881680518934384676 “개편 전까지 재단의 리더십의 방향성을 결정하는건 나다”
X (formerly Twitter)
vitalik.eth (@VitalikButerin) on X
No. This is not how this game works. The person deciding the new EF leadership team is me. One of the goals of the ongoing reform is to give the EF a "proper board", but until that happens it's me. If you "keep the pressure on", then you ar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is
moneybullkr/3290/5793189804995884846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Eesee, AI 에이전트 출시 소식 #kol ...다음 - 美 정부 효율성 부서(DOGE) 웹사이트, 밈코인 로고...
moneybullkr/6105065466465726923
David's Anecdote
@davidanecdotekr
부에 대한 이야기
최근포스팅
좀 늦긴 했는데 아이겐이 최근 구글이 발표한 AP2 (AI 에이전트가 자체적으로 거래를 하고 신뢰 할 수 있는 표준)에 파트너로 선정되었습니다. 파트너 명단에는 코인베이스, 페이팔, 아멕스, 알리바바 등 전통 기업들도 많습니다. 결국 AI 에이전트들이 많아지는 세상에서는 그들이 어떻게 활동하고 거래하는 바탕을 까는것도 중요하지만 이들을 검증하는 것 또한 중요한 부분이라 그 역할을 해당 표준에서 아이겐이 담당합니다. 예를 들면 에이전트가 내가 정한 투자 방식을 실행하기로 했는데 뭔가를 잘 못 했다면? 이를 검증하고 패너틸를 줄 수 있고 보상 받을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관련한 정보가 더 공개될 예정이니 나중에 집중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https://x.com/GoogleCloudTech/status/1967942818065768558
viewCount416
1일 전
텔레그램에서 리알로 이야기가 핫한데 저도 건너건너 예전에 들었던 이야기 중 가장 재미있는건 "체인의 컨센서스를 생태계의 다른 인프라애도 사용한다" 였습니다. 그러니까 보통 체인들은 체인 자체를 검증하는 컨센서스가 있고 그외에 오라클이나 브릿지 등은 또 분리된 검증 서비스가 필요했는데, 리알로는 이걸 그냥 하나로 묶어 버린겁니다. 이게 재미있던 포인트는 - 결국 L1으로써 벨리데이터가 검증하는 영역이 기존 다른 체인 보다 더 넓다. 즉 수익 또한 높을 수 있다. - 이는 토큰에 대한 더 높은 프리미엄을 창출해낼 수 있다. 기술적으로는 정보가 없는 것 같아서 못 봤는데 포필러스에서 리서치 해주실테니 전 나중에 냠냠 맛있게 읽어보겠습니다.
viewCount931
1일 전
거의 1년 전에 Lighter Dex를 소개했던것 같은데 프라이빗일때 해보고 팔로우업을 잘 못했네요. 요즘 핫한 것 같은데 혹시 아직도 코드가 있어야 참여할 수 있는 구조인가요? 그리고 관심을 받는 이유가 있을까요? 포인트가 매우 귀하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고수분들에게 여쭙숩니다 🤔
viewCount359
2일 전
Vitalic이 최근에 2일전에 올린 글이 국내에서도 핫하긴 했지만, 트위터 내에서는 여전히 이더리움 재단의 리더십에 관한 매우 격렬한 논의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이더리움의 가격이 오르지 않고 대중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이 쌓여서 동시에 폭발하여 매우 과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 물론 실제로 이더리움 쪽에 열심히 빌딩하고 있는 팀들도 격한 목소리를 내고 있긴 합니다. 재단 <> L2간의 소통이나 건설적인 제안에도 소통하기가 힘들다 라는 문제들이 분명 반복적으로 발생했다고 합니다.

- 다만 이게 자꾸 재단의 특정 사람들을 타겟하여 비판을 넘은 비난의 화살이 가능 경향이 보이고 있어 조금 안타까우면서도, 이 조차 명확한 소통 창구가 없다 보니 발생하는 문제인 것 같기도 하네요. 

- 비탈릭이 19일에 올린 글을 통해 어느정도 진화가 될 거라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현재 민심은 “명확한 변화” 그리고 “이에 맞는 방향성”을 달라 아니면 이에 대해 공개적으로라도 논의하자라는 쪽에 쏠려 있습니다.

- 이더리움 재단은 극도로 보수적인 운영과 중립성을 지키는 것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긴 했습니다. 

재단 운영을 하기 위해 이더리움을 스테이킹하여 수익을 창출하지 않고 오히려 이더리움을 매도하는 것도 결국 체인의 포크가 일어났을때의 중립성의 이슈 등으로 하지 않았기도 했고요. 

- 사실 어떤 결론이 나와도 모두가 만족할 수 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더리움의 분
David's Anecdote
Vitalic이 최근에 2일전에 올린 글이 국내에서도 핫하긴 했지만, 트위터 내에서는 여전히 이더리움 재단의 리더십에 관한 매우 격렬한 논의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이더리움의 가격이 오르지 않고 대중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이 쌓여서 동시에 폭발하여 매우 과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 물론 실제로 이더리움 쪽에 열심히 빌딩하고 있는 팀들도 격한 목소리를 내고 있긴 합니다. 재단 <> L2간의 소통이나 건설적인 제안에도 소통하기가 힘들다 라는 문제들이 분명 반복적으로 발생했다고 합니다. - 다만 이게 자꾸 재단의 특정 사람들을 타겟하여 비판을 넘은 비난의 화살이 가능 경향이 보이고 있어 조금 안타까우면서도, 이 조차 명확한 소통 창구가 없다 보니 발생하는 문제인 것 같기도 하네요. - 비탈릭이 19일에 올린 글을 통해 어느정도 진화가 될 거라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현재 민심은 “명확한 변화” 그리고 “이에 맞는 방향성”을 달라 아니면 이에 대해 공개적으로라도 논의하자라는 쪽에 쏠려 있습니다. - 이더리움 재단은 극도로 보수적인 운영과 중립성을 지키는 것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긴 했습니다. 재단 운영을 하기 위해 이더리움을 스테이킹하여 수익을 창출하지 않고 오히려 이더리움을 매도하는 것도 결국 체인의 포크가 일어났을때의 중립성의 이슈 등으로 하지 않았기도 했고요. - 사실 어떤 결론이 나와도 모두가 만족할 수 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더리움의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