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75
5달 전
doriworld/6715/6102524649712764524
Goodbye ChatGPT, Deepseek R1에 열광하는 13가지 사례 1. Build games from different languages 2. Extract JUST the reasoning from deepseek-reasoner 3. r1 thinks in realtime 4. DeepSeek is a side project 5. AGI at home 6. ChatGPT o1 Pro vs. DeepSeek R1: Implementing a rotating triangle with a red ball. 7. Crack complex math problems with ease 8. Building Perplexity clone in an hour without writing single line of code 9. DeepSeek R1 is 100% Opensource and 96.4% cheaper than OpenAI o1 while delivering similar performance. 10. RAG app using DeepSeek-R1 (100% local) 11. DeepSeek R1 1.5B runs locally in your browser at 60 tok/sec via WebGPU 12. A multi-agent YouTube video analyst, powered by DeepSeek-R1 (100% local) 13. DeepSeek-R1 provides OpenAI-o1 level intelligence at 90% less cost 출처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출처를 통해서 직접 시연 영상과 자료를 보는 것을 추천...다음 - 델리시움 코파운더들이 팔로우하고있어서 AI쪽으로는 전혀...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최근포스팅
재밌는 관점이네요 ㅎㅎ..
viewCount116
1시간 전
Bitcoin, Ethereum, Cardano, Solana 심층 분석 by Jonathan Strange - 이는 Ryan S. Adams의 '뱅크리스 네이션' 개념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각 블록체인을 '디지털 국가'로 보고 그 구조와 원칙, 안정성을 평가함. - 비트코인은 채굴 독과점의 영향을 받는 분산형 모델로 '중세 아이슬란드'에, 이더리움은 상향식 개발이 주도하지만 분산된 견제가 있는 '싱가포르'에 비유됨. - 반면 솔라나는 중앙화된 리더십으로 권위주의적 경향으로 UAE를, 카르다노는 온체인 투표를 기반으로 한 직접 민주주의 모델로 '스위스'와 같다고 평가함. - 민주주의와 안정성 측면에서 블록체인들을 비교 평가함. 특히 카르다노는 유일하게 온체인 투표를 지원하며 '민주주의 점수'에서 가장 앞서 나감. - 가동 시간 및 신뢰성 면에서도 카르다노와 비트코인은 출시 이후 주요 장애가 없었던 반면, 솔라나는 잦은 다운타임으로 안정성에 의문을 제기. - 다운타임은 '계엄령 기간'임. 즉, 국가가 며칠 동안 기능하지 않은 것을 의미. 다운타임이 길수록 체인의 규모와 대중화에 불리한데, 이는 신뢰할 수 없는 디지털 국가로 간주되기 때문임. - 미래 'Block War'의 승자는 결국 가장 분산되고 민주적이며 높은 유틸리티를 갖춘 체인이 될 것임. 이더리움과 카르다노를 핵심 경쟁자로 지목하며, 솔라나의 중앙화와 비트코인의 프로그래밍 불가능성은 한계가 있음. - 비트코인은 국가보다는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이 더 적합함. 출처
viewCount154
1시간 전
아쉽네..
viewCount225
1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