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5
9달 전
2월 4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트럼프 WLFI,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토큰 스왑 파트너십 제안] 블록웍스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에 토큰 스왑 파트너십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제안에 따르면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10%의 수수료로 최소 1000만 달러 상당의 미출시 WLFI를 매수하고, WLFI 측은 동일 금액의 프로젝트 토큰을 매수하게 된다. 프로젝트 측이 1500만 달러 이상을 매수할 경우 WLFI로부터 우선 지원을 받게 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플랜비 XRP, ETH 안 좋아하는 이유? 중앙화 돼서] XRP와 ETH를 왜 좋아하지 않냐는 한 X 유저의 질문에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스톡 투 플로우(S2F) 모델을 고안한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ETH와 XRP는 모두 중앙화됐다. P2P 방식이 아니라 사실상 클라이언트-서버 데이터베이스다. 또한 두 코인 모두 사전 채굴되어 창립자들을 부유하게 만들었다(ETH는 70%, XRP는 100% 사전 채굴). 게다가 XRP 블록체인은 손상된 상태(첫 32000개 블록이 유실됨)여서 신뢰할 수 없는 데다 쓸모가 없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WLFI 보유 암호화폐 이동, 매도 아닌 자산 재배치 목적]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은 우리는 정기적인 재무 관리 일환으로 보유한 암호화폐를 이동시키고 있다. 수수료 및 비용 지불, 운영비 조달을 위함이다. 토큰을 매도하는 게 아니라 운영 목적에 따라 자산을 재배치하고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캐나다 정부 관계자 미국 관세 철회 가능성? 낙관적이지 않다] 한 캐나다 고위 정부 관계자는 뉴욕타임스에 캐나다가 멕시코처럼 실질적인 관세 철회 방안을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대통령과 합의해 관세 부과를 한 달 동안 보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상태다. 오늘 새벽 5시 트럼프와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의 전화통화가 예정돼 있다.   [미 재무장관, 임시 소비자금융보호국장 맡는다]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임시 책임자로 임명됐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CFPB는 소비자 금융 시장을 감독하는 기관으로, 수년에 걸쳐 암호화폐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규칙을 제안했다. 지난 달에는 암호화폐 거래 사기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해석 규칙을 내놓기도 했다.   [온도 넥서스 출시...토큰화 국채 발행자에 유동성 공급] 온도파이낸스(ONDO)는 토큰화 국채를 발행하는 제3자 발행자들에 즉각적인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한 온도 넥서스(Ondo Nexus) 출시를 발표했다. 온도 넥서스는 OUSG의 즉각적인 발행/상환 기능을 활용해 토큰화 국채의 유동성과 유틸리티를 높인다.   [미 정부, 디파이 프로토콜 통해 $6500만 탈취 캐나다인 기소] 캐나다 국적의 안데스인 메제도비치(Andean Medjedovic)가 두 개의 디파이 프로토콜을 통해 65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훔친 혐의로 기소됐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미국 법무부 발표에 따르면 그는 카이버스왑(KyberSwap) 및 인덱시드파이낸스(Indexed Finance) 유동성 풀의 스마트컨트랙트 취약점을 악용해 각각 약 4,880만 달러, 1,650만 달러를 탈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안데스인 메제도비치는 전신사기, 컴퓨터 해킹, 강탈 시도 및 자금세탁 혐의를 받고 있다.   [트럼프, 멕시코 이어 캐나다도 30일 관세 유예 합의]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뤼도가 미국과 관세 조치 30일 유예를 합의했다. 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좋은 대화를 나눴고, 이것이 미국과 캐나다 간 무역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멕시코 관세 부과 역시 한 달 유예가 결정된 바 있다.   [TD코웬 명확한 자금세탁 방지 규정 부재 시 은행 암호화폐 노출 제한 유지]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 TD코웬이 보고서를 발표, 은행들은 자금세탁 방지를 최우선 과제로 둘 것이다. 때문에 관련 리스크가 있을 경우 암호화폐 익스포저(노출)를 제한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업계는 암호화폐의 명확성이 높아지면 은행이 크립토 수탁기관(Custodians) 역할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금세탁, 테러자금조달, 제재회피에 따라 직면하게 될 책임을 고려할 때, 은행들은 계속해 법정 명확성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며 새로운 규제기관이 새로운 정책을 내세운다는 이유만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은행의 계좌 해지(Debanking) 논란은 끝나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美 정부 국부펀드 설립 추진에 BTC 매수하나 기대감 솔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부펀드 설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업계 일각에서 미국 정부가 BTC를 매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친암호화폐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는 X를 통해 이건 큰 건이다(This is a ₿ig deal)라고 포스팅하며 BTC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임을 암시했다. 블록체인 데이터 업체 티에리온 CEO 웨인 본(Wayne Vaughan)은 미국 국부펀드 설립은 상무장관으로 지명된 캔터 피츠제럴드 CEO 하워드 러트닉과 재무장관인 스콧 베센트가 이끌게 될 것이다. 두 사람 모두 비트코인을 좋아한다. 미국은 BTC를 매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CFTC, 크립토닷컴·칼시에 파생상품 규제준수 여부 설명 요구]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크립토닷컴과 암호화폐 기반 예측마켓 칼시가 최근 출시한 슈퍼볼 이벤트 계약이 파생상품 규정을 어떻게 준수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크립토닷컴은 슈퍼볼 LIX 결과에 베팅 가능한 파생상품 플랫폼을 출시했으며, 칼시는 슈퍼볼 베팅 시장을 출시한 바 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지구1짱 아들이 쉴링해도 못살리는 코인다음 - 🥓 김프 6.5%권 도달! 현재 김프 : 6.77% ...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실시간 코인뉴스 1. 뉴욕멜론은행 "2030년 스테이블코인 시총 2000조원 전망" 2. 미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 "오늘밤 셧다운 종료될 것" 3. 미 상원 농업위, 암호화폐 시장구조법 초안 발표 4. 미 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5. 유니스왑랩스-재단, UNI 공급량 감축 제안
viewCount2
34분 전
[🟡 AI 뉴스 번역 알람 🟡] 속보: 미국 상원이 미국 정부 셧다운을 끝내기 위한 법안을 오늘 밤 통과할 예정입니다. ✅ 비트코인 가격 : 105576.00 ✅ 이더리움 가격 : 3547.55
viewCount2
36분 전
뉴스레터 뉴스레터 알림이 신청되었어요 매일 오전 시간에 만나요!  뉴스레터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코스피, 대내외 겹호재에 3% 반등 10일, 코스피가 미국 정부 셧다운 해제 기대감, 배당소득 분리과세 완화 추진 등 대내외 훈풍에 전장 대비 3.02% 오른 4,073.24에 장을 마쳤습니다.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552억 원, 1조 1,605억 원 순매도한 가운데 기관이 1조 3,084억 원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는데요. SK하이닉스는 4.48% 뛴 60만 6천 원에 거래를 마쳤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4.55%), 현대차(2.46%), 두산에너빌리티(2.18%)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이 상승했습니다.   구윤철, 배당 분리과세 완화시 1,900억 감세 효과 10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25%로 완화할 경우 최고 1,900억 원가량의 추가 감세 효과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배당소득 분리과세율 인하가 '부자 감세'라는 지적에는 "그런 측면이 있겠지만 전반적으로 배당이 보편화하면서 일반 투자자들이 배당받을 기회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달라”라고 말했는데요. 전날 정부와 여당은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을 정부안 35%에서 민주당 의원안인 25%로 추가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중국,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제재 1년 유예 중국이 미중 무역 전쟁 자제 합의에 따라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대한 제재를 향후 1년 동안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한화오션은 중국의 발표 직후 배포한 입장문에서 "중국 정부의 결정을 환영한다”라며 "이번 유예 조치를 계기로 중국 측 사업 파트너들과의 관계가 더욱 발전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는데요. 앞서 중국은 지난달 14일, 중국 해운-물류-조선업을 겨냥한 미국 무역대표부의 조사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필리조선소 등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을 중국 기업과 거래를 금지하는 제재 목록에 올렸습니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0.42개 10월 기준, 구직자 한 명당 일자리 수가 0.42개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추석 명절 등의 영향으로 구직 감소보다 구인 감소 폭이 커진 가운데,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명절이 되면 구직자들은 간헐적이나마 구직 활동을 하지만, 구인 기업들은 사실상 구인 활동을 멈춘다”라고 설명했는데요.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 지표를 기준으로 보면 제조업(5개월 연속 내림세)과 건설업(27개월 연속 내림세) 가입자 수의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산업계,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당혹감 사실상 확정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기존 정부안보다 상향 조정되자, 산업계가 당혹스러움을 표합니다. 이번에 의결된 안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53∼61% 감축하는 것으로, 기존 정부안(50~60% 감축 또는 53~60% 감축)보다 상한선이 높게 조정됐는데요. 이에 따라 산업계는 탄소 감축 기술 및 설비에 더 큰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신사업에 투자될 비용이 축소하면, 고용 축소와 기업 경쟁력 훼손으로 이어질 거라고 우려합니다.   LG생건, 3분기 매출 8% 감소 LG생활건강의 올해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한 1조 5,80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뷰티 사업부가 면세점을 중심으로 고강도 전통 채널 재정비 작업을 본격화하면서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감소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LG생활건강 관계자는 "뷰티 사업의 재정비는 새로운 도약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며 "새로운 리더십과 함께 사업 경쟁력 제고와 중장기 실적 회복에 힘쓰겠다”라고 말했습니다. by.BYTE
viewCount2
36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