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a 생태탕이 원하는 방향?
지금 Berachain은 TVL기준 Arbitrum은 거의 잡았고
7일 이내로 Base도 추월할 가능성이 높아보임
Berachain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지금까지 있었던 여러가지 좋다는 디파이 요소들은 다 가져다붙인거 같은데
1. 커브-컨벡스 War
CRV War를 아는 사람은 많을듯
BGT를 이용해서 거버넌스 형태로 디앱들을 경쟁시켜서 가격 상승시키려고 함
2. FTM 폰지공학소
벌써부터 새롭게 보이는 HONEY, BYUSD를 보고 유사 스테이블들로 파머들을 유입시키려고 하는듯
FTM이 이걸로 많은 재미를 봤었는데 FTM 유저들의 상당수가 FTM를 매수하지 않고 파생 스테이블들을 가지고 놀았음
FTM에서 흥행했던 스테이블이나 솔리들리 같은 요소들을 붙이려고 하는듯
3. 스테이블 코인 구조
USDT, USDC 뿐만아니라 Frax 느낌도 받았는데, 스테이블의 불로소득에 가까운 고정 수익을 확보하려는 것 같음.
✍️Comment
팀에서 얼마나 이걸 제대로 운영할진 모르겠는데, 영원한건 없다고 생각함.
BGT 구조는 한번은 타오를 수 있지만
HONEY가 압도적으로 받쳐줘야지 오래 유지가 가능하고
중앙에서 얼마나 자기 몫을 챙기는지도 관건이될듯.
양심적으로 운영한다면 상당히 매력적인데, 양심적이라는 보장이 없는게 단점.
그리고 Billion 단위로 예치된 자산들에 대한 에어드랍도 아직 풀리기 전이라는 점도 주의해야함
#Bera #Honey
Infrared와 iBGT 개념
BGT는 뭔지 바로 이해가 될건데
iBGT가 특이한 부분임
Berachain의 TVL을 보면 1위에 Infrared라는 프로토콜이 있는데
말 그대로 인프라 관련 디앱이라고 보면 됨
BEX에서 주조한 LP를 BEX에 스테이킹하면
BGT를 받을 수 있는데
BEX가 아닌 Infrared에 LP 스테이킹을 하면
BGT가 아닌 iBGT를 받을 수 있음
BGT는 BERA로 redeem만 가능한데
iBGT는 일반 토큰 형태라 시세를 가질 수 있음
초기 거버넌스 확보가 중요하게 빌딩을 하려고 하는지
iBGT가 40%정도 프리미엄이 낀 상태임
즉 1.4 Bera로 매도할 수 있는 상태
매도 안하는 옵션도 있는데
iBGT를 안팔고 스테이킹하면 140%이율의 Honey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음
장기적으로 Bera를 모아갈 디앱이 아닌 이상
사실 Yield-Farming 목적일거라
BEX말고 Infrared를 사용해서
이자 40% Boosting 효과를 볼 수 있으니
Infrared를 필수적으로 쓸 수 밖에 없음
#Infrared #B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