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898
6달 전
<상위 거래소가 채택한 기술> 위 글에 이어서 https://t.me/DannyCryptoWorld/2072 거래소별 체인들이 선택한 기술도 한번 봅시다! 1. 바이낸스 거래소 -> 코스모스 엔진 사용해서 Layer1 구축, EVM 호환성 있게 만들어서 최종 사용자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환경으로 사용 가능 2. 바이비트 거래소 -> 조금 애매하긴 하지만 맨틀이 바이비트의 체인이라고 봐도 무방함, 맨틀은 레이어2이면서 이더리움 호환성 있음, 이더리움 체인으로 봐도 됨 3. 코인베이스 -> 레이어2를 자체 체인으로 구축-> Base체인, 이더리움의 기술력의 영향력 받음 4. OKX -> OKX에도 레이어1 체인이 있습니다. -> 코스모스 엔진 사용함 결론 1. 바이낸스, OKX는 자유롭게 구축 가능한 코스모스 엔진 사용 2. 바이비트, 코인베이스는 가장 안정적인 이더리움 엔진 사용 * 장기 투자에 좋은 인사이트를 얻으면 좋겠습니다.
대니월드(크립토 세상)
<탈중앙화된 코스모스 생태계?> 제가 크립토 투자에 입문해서 처음으로 돈을 벌어본 생태계가 코스모스 생태계입니다. 그래서 약간 애증의 관계가 있지만 최근에는 스펙트럼을 많이 넓혀가고 있습니다. 그래도 이 크립토 시장에서 코스모스 생태계는 여전히 힘이 있습니다. 다만 생태계가 완전히 탈중앙화된 느낌이 있습니다. ATOM의 설계가 ATOM 없이도 생태계를 키울수 있기 때문에 그렇긴 한데요..그래도 이 시쯤에 시총 100위권에 있는 코스모스 생태계 영향을 받는 코인들을 한번 정리해봅니다. 5위 바이낸스 코인 - 엔진을 코스모스 텐더민트 사용함, IBC 연결은 안되어 있음 7위 USDC - 코스모스 생태계에서 주로 쓰는 스테이블 코인(Noble chain) 26위 Mantra - 계속 오르는중, 최근 가장 성적 좋음, IBC 연결됨 60위 ATOM - 코스모스 엔진 만든 첫번째 코인, IBC연결, 최근 하드 포크된 아톰 있음(atomone) 65위 TIA - 이더리움 생태계 DA - IBC 연결됨 71위 INJ - DeFi - IBC 연결됨 73위 Story(IP) - IP 프로토콜, IBC 연결은 안되어 있음 87위 Sei - 최초의 병렬 EVM - IBC 연결됨 100위 Bera - 유동성 합의 프로토콜(?), DeFi 중심의 체인 - IBC 연결 안됨 * 정리해보면 1. IBC 생태계 연결된 코스모스 생태계는 USDC, Mantra, ATOM, TIA, INJ, Sei 2. IBC 연결없이 엔진만 사용한 생태계는 BNB, Story, Bera 입니다. IBC 연결이 안되어 있는 체인은 언제든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엔진이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완전히 분리되었다기 보다는 서로 도움을 주고 받고 있습니다. IBC 생태계 확인 https://mapofzones.com/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