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섹터, 어느걸 눈여겨 봐야할까?
@Defi0xJeff가 작성한 Where the AI Agent Space Stands Right Now PT. 17의 한국어 요약본
✅ AI에이전트 섹터 최강자 'virtuals'의 독주
- Virtuals은 지난 34주간 AI 에이전트 분야에서 1520% 이상 마인드셰어를 차지하며 독보적인 1위 유지
- Genesis Launch 방식 (고정 FDV $200K + 포인트 기반 참여)이 성공 요인
- 다른 내러티브들은 자금 흐름이 멈췄고, 대부분 Virtuals 및 일부 대형 에이전트로 집중
✅ DeFAI 섹터 하락세
- 한때 인기 있던 DeFAI, 알파/애널리틱스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프로젝트들은 제품이 미성숙하다는 인식과 함께 가격 하락
- 이는 누구의 잘못이라기보다, 크립토 특유의 “하입 → 제품” 순서 때문
✅ DeAI 생태계 주요 혁신 프로젝트
- PrimeIntellect: 32B 파라미터 모델을 글로벌 분산형 RL로 오픈소싱하는 프로젝트
- NousResearch: Solana 기반의 Psyche 플랫폼, DeepHermes-3 등으로 $1B 밸류에이션으로 Paradigm에서 $50M 시리즈 A 투자 유치
- Opentensor: Bittensor 생태계에서 다양한 유망 서브넷들 성장 중 (rayon_labs, chutes_ai, taohash, webuildscore, ReadyAI 등)
✅ Bittensor (TAO) 생태계 성장
- 퍼블릭 투자 가능성 높은 DeAI 인프라로 자리매김 중
- KaitoAI, flock_io, CreatorBid 등 서브넷 확장 중
✅ Onchain AI 정체 현상
- DeFi 연동 에이전트나 혁신적인 워크플로우는 2월 @askbillybet 이후 눈에 띄는 진전 없음.
- 다만 BasisOS, gizatechxyz, Cod3xOrg 등은 자율 금융 에이전트 인프라에 집중하며 장기적으로 의미 있는 구축 진행 중
✅ Virtuals의 제약 구조
- 토크노믹스 문제: 37.5% 토큰이 퍼블릭 세일, 12.5% 유동성 제공으로 팀이 VC 유치 어려움
- 고퀄리티 인프라 프로젝트 부족하지만, 단기 수익률은 타 생태계 압도 (10~100x 수익 자주 발생)
✅ 마인드셰어 가속 레이어
- KaitoAI: 스테이킹 토큰 $KAITO → 프로젝트에서 에어드랍 수익 + Virtuals 포인트 획득 가능.
- cookiedotfun: Cookie 1.0 "SNAPs"로 유저 인게이지먼트 및 고급 분석 제공.
- "Yapper"들에게 최고의 시대
✅ 다음 흐름은?
- Virtuals는 AI 에이전트 런칭/토큰화/거래 중심 네트워크로 입지 강화
- Kaito + Cookie는 양질의 에이전트 프로젝트의 빠른 초기 커뮤니티 형성 가속 예상
- DeAI 인프라 기반의 에이전트 워크플로우 확대 → 실제 유저 시나리오 강화
✅ 투자 전략
- (1) 성공 가능성 높은 프로젝트 유형: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 + 마인드셰어 확보
- (2) 실제 수익 창출 구조 보유
- 또는 둘 다
- 현재는 Virtuals이 1번을 잘 보여주는 대표 사례
- 2번은 SaaS 기반 수익모델 보유한 인프라/데이터 API 제공팀들
- FDV $1M~10M 사이의 숨겨진 팀들 탐색 중, Substack “After Hour” 및 “NO BS AI”에서 종종 소개
원문

109
4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