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11월 11일 간밤의 주요소식
1️⃣ 정치 / 정책
🔹 미국 상원이 역대 최장 연방정부 셧다운을 끝내기 위한 잠정적 예산안 통과에 한 걸음 다가갔다.
🔹 이 흐름으로 공무원 급여·실업급여·지표 발표 등 정부 기능 복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주말 쯤에 합의 될 것이라 이야기했던 필리버스터 폐쇄가 일부 지연되며 월요일에 합의. 어쨋든 한걸음 다가선 것으로 인해 유동성 경제지표 정상화->위험자산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 상황.
그러나 아직 완전히 해결 된 것은 아니고 하원에서 수요일에 표결 진행, 금요일 정부가 재개될 것으로 예측 중이다.
2️⃣ 경제 / 매크로
🔹 지표 발표가 지연됐던 가운데, 셧다운 종료 기대감이 단기 유동성 회복 및 시장금리 상승.
🔹그로인해 브렌트유 약 64.08달러, WTI 약 60.23달러로 셧다운 종료 기대에 반응함.
-> 최대 복병은 인플레이션이라고 했는데 반응이 매우 빠르다. 게다가 특이하게 현재 정제유가 더 비싼 상황인데, 이는 정제하는 기업과 캐나다와의 관계가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3️⃣ 주식시장 / 금융시장
🔹 미국 주식선물 및 지수가 셧다운 해결 기대감에 반등. 나스닥 +2%대, S&P500 +1%대 상승
🔹 다만 기술주·AI 관련 섹터에선 밸류에이션 부담과 실적경고 신호도 여전함.
4️⃣ 트럼프 발언
🔹수입관세로 발생한 수익을 미국 국민에게 “$2,000 이상의 배당(dividend) 형태”로 돌려줄 수 있다는 구상을 공개.
🔹동시에 대법원이 그의 관세정책 권한을 제약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보도.
🔹그와 동시에 트럼프는 관세 반대 판결이 나오면 경제적*국가적 재앙이 될 것이라 경고. 자신의 관세정책의 법원판결을 단순히 정책이 아닌 "내 돈을 빼앗아 가는 나쁜 법원"의 프레임으로 몰아가는 중. 이는 정치적으로 매우 우수한 방법.
🔹셧다운 상태에서 의료회사 대신 ‘사람들에게 직접 돈을 지급하는 의료 서비스’ 방식을 원한다고 언급.
🔹50년 모기지 추진
✍️정리
비트코인이 반등하고 위험자산이 반등했다.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재개되면 악화된 유동성이 일시에 해소되며 위험자산에 긍정적이지만, 한국도 마찬가지로 돈을 푸는 정책을 계속하다보면 국채금리가 발작하기 시작한다.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인데, 이는 결국 인플레이션 자극이라는 방식으로 돌아오게 된다.(한국 지난달 CPI 2.4%예상치 큰 폭상회)
미국이 지표 발표가 재개되고 정부가 돌아가기 시작하면 당분간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제

4552
38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