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중립 관련 활용법 예시
계산하기 쉽게 BTC가 10만불이라 치고
1BTC를 들고 있는데 Fragmetric 에드작을 하고 싶다면
1BTC를 매도하고
5만불은 2배율 롱으로 델타 중립
5만불 중 2.5만불은 SOL 구입
2.5만불은 1배율 숏으로 헷징
SOL은 fragmetric에 스테이킹
이렇게 하면
비용은 10만불에 대한 펀비만 내고
7.5만불에 대한 22% 거래소 이자
2.5만불에 대한 10% SOL펀비 수익
2.5만불에 대한 SOL 스테이킹 수익
2.5만불에 대한 예치작 에어드랍 수익
이렇게 4중 파밍으로 세팅이 가능함
조각조각나고 여기저기 흩어기도 해서 머니레고라는 표현을 함
세팅은 따라하면 할 수는 있음
이해도가 동반되지 않으면 변수가 생길 때 대응하기가 어려움
잘 모르겠으면 안하는게 정답
펀비 변동, 거래소 이율 감소, BTC -50%하락
같은 것들이 변수라서 복잡할 수록 더 늘어남
💰남은 돈이 없다면 어떻게 갯수를 늘리나?
BTC를 이용한 머니레고
1. BTCfi 디파이 예치
채널을 쭉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주로 BTC를 활용한 디파이에 많이 참여해왔는데, 운이 좋았는지 모두 바이낸스에 연달아 상장해 수익을 볼 수 있었음
프로젝트를 여러개 참여해서 대박을 노리기 보단
제일 좋아보이는 우량 프로젝트만 골라서 하는 편인데 아직까진 큰 사고 없이 운영 중
기약 없는 TGE에 오랜기간 묶이고 수익률도 가늠하기가 어려운게 단점
2. 스테이블 파밍
BTC를 이용해서 대출하는 방식인데 한때 이율이 높아서 최대한 싸게 빌리는 방식을 많이 찾아 다녔음
TGE가 아직안된 프로젝트 위주로 에드작을 겸해서 대출 하면 이중으로 수익을 먹을 수도 있음(ex. ListaDAO, Avalon)
처음엔 스테이블 예치작을 했었는데
예치작 자금이 묶이는 것 보다
락업 없이 거래소에서 지급하는 이자에
김프 차익 먹는게 수익률이 넘사로 좋아서 스테이블 예치작은 안하게 됨
3. BTC 델타 중립 방식
USDT 기준으로 델타 중립 포지션으로 펀비를 채굴하는 방식이 USDe/ENA 덕분에 많이 알려졌는데
역으로 BTC에 델타 중립을 걸 수가 있음
현물 BTC를 팔고, USDT로 1배율 롱을 잡음
이렇게 되면 펀비를 연이율 10%정도 포지션 비용이 들어서 안좋은데
거래소에서 지급하는 프로모션 이율 먹기에 딱 좋음
Flipster 기준으로 +22% 이율을 먹고 있는데
이게 담보금에도 적용이 되는 점을 이용함
그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