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5
8달 전
3월 13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분석 ETH, 가스 사용량 대비 지나치게 비싸] 이더리움(ETH)이 가스 수수료 수요에 맞춰 가격이 재조정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의 수석 애널리스트 체크메이트(Checkmate)는 X를 통해 가스 수요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ETH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 대부분 투자자들은 실제 가스 수수료 소비량보다 훨씬 많은 ETH를 보유하고 있다. 즉, 가스비 수요가 많다고 해서 ETH 가격이 상승하는 건 아니라는 얘기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적용하는 모든 레이어1 프로젝트들이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화폐로서의 프리미엄이 없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 비트코인이야말로 가장 큰 화폐로서의 프리미엄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BTC 보유 주소 수, 최다 기록 근접...5471만 개] 비트코인 보유 주소(0 BTC 초과 보유)가 5,471만 개를 돌파했다고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가 전했다. 이는 지난 1월 19일 기록한 역대 최다 기록인 5,472만 개와 근접한 수준이다. 샌티멘트는 BTC 고래 지갑이 분산되면서 전체 지갑 개수가 증가한 영향도 있다. 다만 이는 최근 8주간 시장 변동성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법원, 이정훈 전 빗썸 의장 무죄 확정] 대법원이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령 위반(사기) 등 혐의로 기소된 이정훈 전 빗썸 의장에 무죄를 확정했다고 디지털애셋이 전했다. 검찰은 2023년 11월 이 전 의장에 징역 8년을 구형했지만, 앞선 1심과 항소심은 모두 무죄를 선고했다. 이날 대법원도 무죄를 확정하면서 이 전 의장은 본인 재판 부담을 모두 벗게 됐다.   [우엑스, 모의 카피 트레이딩 기능 출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우엑스(WOO X)가 공식 채널을 통해 모의 카피 트레이딩 기능 데모 카피(Demo Copy)를 출시했다고 13일 발표했다. 해당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카피 트레이딩에 실제 자금을 투입하기 전 모의 환경에서 전략을 테스트하고, 거래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우엑스 측은 많은 트레이더들이 금전적 손실에 대한 우려로 카피 트레이딩 시작을 망설인다. 하지만 데모 카피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금전 손실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도, 카피 트레이딩을 시험해볼 수 있다. 이는 거래 접근성을 높이고 카피 트레이딩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춰 암호화폐 채택을 장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USDT 온체인 활동 급증, 강세 신호] 테더의 온체인 활동이 급증하면서 투자자들이 시장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복수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14.3만개 USDT 주소가 자금 이체를 했는데, 이는 6개월 만에 최다 기록이다. 이와 관련 크로노스리서치 최고투자책임자(CIO) 빈센트 리우는 트레이더들은 일반적으로 하락장에서 매수 타이밍을 잡기 위해 USDT를 축적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USDT 온체인 활동의 급증은 강세 지표로 볼 수 있다. 다만, 암호화폐 시장의 회복 여부는 거시 경제 상황, 규제 명확성, 투자자 신뢰와 같은 요소들이 좌우한다. 전일 발표된 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면서 암호화폐 매도 압력이 줄어들고 보다 우호적인 투자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비트겟, 2월 투명성 보고서 발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겟이 2월 투명성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글로벌뉴스와이어가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겟은 포브스의 신뢰할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 순위 8위를 기록했으며, 불가리아에서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VASP) 라이선스를 획득, 유럽연합의 미카(MiCA) 규제를 준수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비트겟 빌더(Builders) 프로그램을 출범해 커뮤니티 주도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비트겟은 보안·투명성·포용성을 핵심 가치로 삼아 앞으로 신뢰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증권법 위반 혐의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SEC 소송 취하할 것] 증권법 위반 혐의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소된 암호화폐 유튜버 이안 발리나가 SEC가 소송을 취하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디크립트에 따르면 그는 X를 통해 3년간 이어진 증권법 위반 혐의에 대한 긴 법적 싸움은 끝났다. 이번 소송 취하는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암호화폐 업계 전체에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다만 이와 관련 아직 SEC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안 발리나는 개발 플랫폼 스파크스터(Sparkster)의 자체 토큰 SPRK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증권법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됐으며, 지난해 미국 법원은 그의 유죄를 인정한 바 있다.   [비트겟 CEO 스포츠 업계와 다양한 협업 지속 계획] 비트겟 CEO 그레이시 첸(Gracy Chen)이 비트겟은 스포츠 업계와의 다양한 협업에 대해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스페인 축구 리그 라리가, 튀르키예 레슬링, 복싱, 배구 선수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비트겟은 2023년 기준 2000만명이던 사용자 기반을 1억 명 이상으로 확대했다. 암호화폐 업계와 스포츠 업계의 시너지 효과가 증명된 셈이다. 비트겟은 이처럼 글로벌 스포츠 단체 및 선수와 협력을 통해 혁신을 지속하고 인지도를 높이는데 힘을 쏟을 계획이다. 이를 통해 스포츠 팬들은 새롭고 흥미로운 형식의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곧 출시 예정인 인앱 업데이트를 통해 라리가 팬들은 디지털 금융에 대한 새롭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비트 CEO 하이퍼리퀴드 청산 사태로 DEX도 리스크 관리해야] 바이비트 CEO 벤 저우(Ben Zhou)가 탈중앙화 거래소(DEX) 하이퍼리퀴드에서 발생한 대규모 ETH 청산 사태의 쟁점은 DEX가 중앙화거래소(CEX) 수준의 고레버리지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라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에서 한 고래는 하이퍼리퀴드의 청산 메커니즘을 활용해 효과적으로 포지션을 정리했다. 가령 50배 레버리지를 사용해 3억 달러 규모 ETH 롱 포지션을 오픈하고, 담보(증거금)로는 1,500만 달러를 투입했을 때, 시장가 주문을 내면 슬리피지가 너무 커져 손실이 발생한다. 대신 미실현 손익을 활용, 청산 가격을 의도적으로 올린 뒤 청산가에 도달했을 때 자동으로 포지션을 청산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면 하이퍼리퀴드 청산 엔진 메커니즘 영향으로 손실이 플랫폼에 전가된다. 이후 하이퍼리퀴드는 BTC, ETH 무기한 선물 최대 레버리지를 각각 40배·25배로 조정했다. 향후 DEX에서 비슷한 문제를 방지하려면 CEX 수준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최대 레버리지 비율을 더 낮춰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복수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일부 주소들이 하이퍼리퀴드의 유동성 풀(HLP) 및 청산 메커니즘을 악용, 대규모 포지션을 취한 뒤 플랫폼에 손실을 떠넘기는 방식으로 수익을 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분석 BTC, 상승 재개하려면 $89,000 위에서 주봉 마감해야] 비트코인이 상승 추세를 재개하려면 주봉을 89,000 달러 이상으로 마감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암호화폐 전문 애널리스트 매튜 하일랜드(Matthew Hyland)는 최근 영상에서 BTC는 지난 3월 7일 89,000 달러를 하회했는데, 이 가격대는 상승 추세를 지지하는 마지막 구간이었다. 만약 BTC가 이번 주 89,000 달러 위에서 주봉을 마무리하지 못한다면 69,000 달러~74,000 달러 구간을 테스트할 수 있다. 반면 89,000 달러 위에서 주봉을 마감한다면 앞서 나왔던 80,000 달러 하회 구간이 저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그너스, 인스타 사용자 600만명 확보...봇 방지 도입 계획]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웹3 인스타그램 앱 레이어 시그너스(Cygnus)가 개...다음 - Saros Finance, 한국 커뮤니티 런칭! Sa...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11월 13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日 거래소그룹, 암호화폐 비축 기업 규제 강화 추진] 일본 거래소그룹(JPX)이 암호화폐 비축(DAT)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 재팬이 전했다. 익명의 관계자에 따르면 JPX는 우회 상장 방지, 새로운 감사 의무화 등의 방안을 고려 중이다. JPX 측은 암호화폐 투자나 보유에 대한 일괄적인 규제는 없지만, 리스크나 거버넌스 측면에서 우려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점검을 계속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젠신, 분산형 코딩 학습 시스템 코드제로 공개] 인공지능(AI) 인프라 기업 젠신(Gensyn)이 분산형 강화학습 네트워크 RL-스웜(RL-Swarm)에 기반한 협력 코딩 시스템 ‘코드제로(CodeZero)’를 공개했다. 코드제로는 문제 생성자(Proposer), 문제 해결자(Solver), 평가자(Evaluator) 모델이 상호작용하며 코딩 문제를 해결하는 구조를 채택했다. 코드 구조와 논리를 실행 없이도 평가하는 모델 기반 보상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 핵심 특징이다. 젠신은 “코드제로는 모델들이 함께 배우고, 가르치고, 평가하며 발전하는 협력형 생태계를 지향한다. 장기적으로는 코드 생성 기능을 넘어 탈중앙 학습 네트워크로 확장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1.60억, 청산 비율: 롱 83.37% ETH 청산 규모: $1.31억, 청산 비율: 롱 75.98% POPCAT 청산 규모: $6432만, 청산 비율: 롱 96.5% [BTC 현물 ETF,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 전환...4,084억원] 12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 총 2억7800만 달러(약 4,084억원)가 순유출됐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순유입으로 전환된지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로 돌아왔다. 블랙록 IBIT에서 3691만 달러, 피델리티 FBTC에서 1억 3286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서 8518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에서 2305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이날 순유입을 기록한 ETF는 없었다. [텔코인, 네브래스카서 ‘디지털애셋 뱅크’ 설립 승인 획득 ]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기업 텔코인(TEL)이 미국 네스래스카에서 디지털 자산 수탁 기관 텔코인 디지털애셋 뱅크 설립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텔코인은 이를 통해 자체 스테이블코인 eUSD와 미국 은행 계좌를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미즈호 “제미니, 숨은 진주 같은 종목”] 글로벌 증권사 미즈호 증권이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에 대해 아웃퍼폼(시장 수익률 상회) 등급을 부여하고 목표주가를 30 달러로 제시했다. 제미니는 마지막 거래일 기준 13.8달러로 마감했는데, 이는 상장 이후 56.88% 하락한 수치다. 미즈호는 “제미니는 탈중앙 예측시장 등 신성장 동력을 마련하는데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숨은 진주 같은 종목이다. 경영진도 관련 라이선스 취득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CME·팬듀얼, 내달 중 예측시장 플랫폼 출시]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미국 스포츠 베팅 플랫폼 팬듀얼(FanDuel)이 합작해 예측시장 플랫폼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더블록이 전했다. 양사는 해당 플랫폼을 통해 스포츠, 암호화폐 가격, 벤치마크 자산에 대한 이벤트 계약을 제공할 계획이다. 매체는 “예측시장 분야는 현재 칼시(Kalshi)와 폴리마켓(Polymarket)이 주도하고 있으며, 두 회사 역시 대규모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시장 점유율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탈릭, ‘무신뢰 선언문’ 발표…”탈중앙화 포기 말아야”]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과 재단 연구원 요아브 바이스(Yoav Weiss)와 마리사 포즈너(Marissa Posner)가 무신뢰 선언문(The Trustless Manifesto)을 발표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 선언문은 이더리움 빌더들이 서비스 개발의 어려움을 이유로 탈중앙화나 무신뢰 시스템을 포기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선언문에는 “암호화폐 플랫폼이 호스팅 노드나 중앙화 릴레이를 적용하는 순간부터 무신뢰성을 잃게 된다. 무신뢰 시스템이 아니라면 효율성, 사용자 경험, 확장성 등 모든 요소는 취약한 시스템의 장식에 불과하다. 복잡성이 우리를 중앙화로 유혹할 때,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 편의를 위한 모든 코드가 추후 병목 지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고 강조했다. [자이온, 11/19 한국 커뮤니티 밋업 개최] 블록체인 추상화 솔루션 자이온(XION)이 오는 11월 19일 19시 강남에서 커뮤니티 밋업을 개최한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는 웹3 개발자, 프로젝트 팀, 투자자, 미디어, KOL 등과 함께하는 프라이빗 네트워킹을 위한 자리로, △자이온 팀 연설 △AMA △경품 추첨 등이 준비돼 있다. 코인니스는 이번 행사 미디어 파트너로 참여한다. [아이겐클라우드, 크로스체인 보안 모듈 ‘아이겐제로’ 출시]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인프라 아이겐클라우드(EigenCloud)는 인터체인 프로토콜 레이어제로(ZRO)와 협력해 차세대 크로스체인 보안 모듈 ‘아이겐제로(EigenZero)’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아이겐제로는 아이겐클라우드의 슬래싱 인프라를 기반으로 구축된 첫 크립토이코노믹 DVN(분산 검증 네트워크) 사례로, 500만 달러 규모의 ZRO 토큰이 슬래시 가능한 스테이킹 자산으로 예치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검증 실패나 악의적 행위가 발생할 경우 스테이킹 자산이 실제로 페널티를 받는 구조를 제공한다. 아이겐클라우드는 “아이겐제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검증자의 평판이 아닌, 온체인 상의 경제적 담보와 슬래싱 이력에 기반해 보안 수준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 $2.4억 BTC 크라켄 추가 입금]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 오웬 건던(Owen Gunden)이 3시간 전 크라켄에 2401 BTC를 추가 입금했다고 온체인렌즈가 전했다. 2억 4496만 달러 규모다. 오웬은 지난 8일과 11일 각각 500 BTC, 700 BTC를 크라켄에 입금한 바 있으며 현재 2499 BTC(2억 5858만 달러)를 보유 중이다. 거래소 입금은 통상 매도 목적으로 해석된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viewCount3
1시간 전
사진
viewCount1
1시간 전
사진
viewCount3
3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