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
8달 전
enjoymyhobby/86924/6248920787545342658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캬ㅑㅑㅑㅑㅑ 뽕찬다 마치 집가다가 일찐한테 잘못걸려서 ...다음 - 📕 고배 사냥을 하기 위한 스쿼드모집으로 인한 상승?...
enjoymyhobby/6206208557557332957
취미생활방📮
@enjoymyhobby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https://x.com/CryptoMyhobby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최근포스팅
📕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11월 26일 간밤의 주요소식 1️⃣ 매크로 🛍 소매판매 (Retail Sales, 9월) 전월 대비 +0.2% → 사실상 정체 수준 😐 전년 대비 +4.3% 자동차 제외 소매: +0.1% 온라인 판매(Nonstore): 전년 대비 +7% 증가 음식·외식업: 전년 대비 +5%대 증가 미국 소비는 여전히 강하지만 속도는 확실하게 꺾이는 중 🏭 생산자물가지수 (PPI, 9월) 전월 대비 +0.3% 상품 가격: +0.9% (상승 주도) 서비스 물가: 거의 보합 수준 휘발유 가격: +11.8% 급등 🔥 근원 PPI(식품·에너지 제외): +0.1% → 안정적 물가가 뛴 원인은 휘발유. 근원 물가는 안정적인 상황. 필수 소비는 여전하나 내구재와 고가 소비의 둔화 조짐이 보임. 우려하는 K자형 침체시그널. 이후 국채금리는 하락했으나 12월 금리인하 확률은 거의 변동 없음. 9월 데이터라 유의미한 영향을 주기에는 너무 늦은 모습. 이 이후 미국의 주요 GDP 발표와 지표 발표 등을 12월로 모두 늦춤. 미국 10월 재정적자 수준이 2840억 달러로 컨센 상회. 전년 동월 대비 +10.5% 증가. 셧다운을 하던 와중에도 재정적자가 계속해서 증가했다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이는 모습. 2️⃣ 정치 정책 🔹우크라이나와 관련해 ‘미국안 기반 28개 항목’ 평화안 조정·논의 진행중. 👉외교적 진전 기대감이 있으나 핵심 쟁점(영토·안보보장)은 미해결 — 시장은 정치적 리스크 완화·불확실성 동시 반응. 🔹 연준·FDIC·OCC 등 규제기관이 커뮤니티뱅크 관련 자본·업무 개선안(서비스 확대 지원 제안)을 발표. 👉 규제 변경은 은행별 자본·리스크 관리 방식에 따라 호불호 갈림. 대형은행·시장 전반에는 제한적 영향, 지역 금융권에 구조적 영향 💡 정리 9월 지표는 시장에 영향을 주기에는 너무 오래전 데이터였다. 재정적자는 인플레이션 외에는 해결할 방법이 없고, 시장은 방향을 찾기위해 애쓰고 있는 모습으로 보인다. #국제
viewCount1446
2시간 전
🥺 GAIB _ AI는 왜 독립적으로 움직여야 하나? ✅ AI가 진짜 가치를 만들려면 사람의 지시 없이 스스로 의사결정·실행·보상 정산까지 해야 합니다. GAIB는 이걸 가능하게 하는 최초의 AI 인프라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왜 독립이 중요한가? 🟢지연 없는 의사결정 (Human bottleneck 제거) 🟢24시간 자동 실행 🟢비용 효율 극대화 📂GAIB의 핵심 구조 🟢AI가 자체적으로 리소스를 요청 🟢작업 완료 후 결과와 보상 자동 정산 🟢AI-투-AI(Agent-to-Agent) 상호작용 지원 ✍ 인간 노동이 줄어든 시대, AI가 거래하고 AI가 비용을 지불하는 경제가 열립니다. GAIB는 그 첫 실험실입니다. 이 글은 취생방 인턴(MyHobby_Intern)이 작성했습니다. #GAIB #AI자동화 #Agent2Agent #미래경제 #Storyteller
viewCount1
11시간 전
🐹온체인 데이터는 왜 더 이상 ‘정적 저장’으로는 부족할까? 오늘은 IRYS 기술 자체보다 "왜 온체인 데이터가 변화해야 하는가" 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다뤄봅니다. 데이터는 저장하는 순간이 아니라 업데이트·검증·활용되는 과정 전체가 신뢰를 만듭니다. 📂기존 온체인 데이터의 한계 🟢대부분의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고정된 기록"으로 취급합니다 🟢수정·갱신이 어렵고, 새로운 버전을 만들면 연결이 끊깁니다 🟢데이터의 의미·맥락·변경 사유가 남지 않습니다 🟢결국 현재 상태만 있을 뿐, ‘과정’이 사라지는 저장 방식 이런 방식은 단순 원장(ledger) 로서는 충분하지만 AI·에이전트·자동화 시스템에서는 한계가 됩니다 📂IRYS가 보는 ‘데이터 생명주기’ 관점 🟢데이터는 저장 순간이 아니라 변화 과정 전체가 자산 🟢버전, 조건, 실행 규칙을 자체적으로 품어야 함 🟢 "불러오는 데이터"가 아니라 "동작하는 데이터" 🟢서비스가 아니라 데이터가 트리거가 되는 구조 이 때문에 IRYS는 Programmable Data + Mutable References + L1 Execution 조합을 통해 데이터를 정적 기록이 아니라 '살아있는 객체'로 취급합니다. 단순히 저장하는 체인은 많습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스스로 증명하고, 실행을 유도하고, 과거 맥락까지 보존하는 체인은 거의 없습니다. IRYS가 만드는 것은 "데이터가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 환경"그리고 그 위에 구축될 AI·에이전트 기반 Web3의 기반 레이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은 취생방 인턴(MyHobby_Intern)이 작성했습니다. #IRYS #Datachain #OnchainData #Web3 #Storyteller #ProgrammableData
viewCount3255
15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