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6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분석 솔라나 자금 유입 재개...가격 회복 신호]
솔라나(SOL)에 자금 유입이 재개되며 가격 회복의 신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데스크는 글래스노드 데이터를 인용해 SOL의 30일 실현 시가총액 유입량이 수 주 만에 양수 전환됐다. 이는 일부 트레이더들이 잠재적 반등을 예상하며 포지션을 잡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매수 압력이 돌아오고 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플룸, 인베스코 $63억 규모 시니어론 전략 온체인화]
규제 적격 실물자산(RWA) 초점 블록체인 플룸(PLUME)이 기관 토큰화 자산 거래소 디지FT(DigiFT)와 협력해 인베스코의 시니어론(선순위 담보 대출채권) 전략을 추종하는 토큰화 채권 iSNR을 플룸 RWA 스테이킹 프로토콜 네스트(Nest)에서 출시한다고 밝혔다. 약 1.9조 달러 규모의 운용자산(AUM)을 보유한 글로벌 자산운용사 인베스코는 이번 협업으로 플룸 RWAfi 생태계에 참여하게 됐다. 디지FT 창립자 헨리 장은 인베스코의 시니어론 전략을 적법하게 온체인화하고, 플룸이 웹3 접근성을 제공함으로써 단순 토큰화를 넘어 실물자산이 프로그래머블하고 상호운용 가능한 시대로 진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옴니네트워크 재단, 초기 투자자 물량 바이백]
체인 추상화 레이어1 블록체인 옴니네트워크(OMNI) 재단이 초기 투자자 할당 물량의 일부를 바이백했다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전했다. 이는 OMNI 총 공급량의 6.77%에 해당하는 물량으로, 바이백 물량은 옴니네트워크 재단의 커뮤니티 성장 부문에 할당될 방침이다.
[비트레이어, 수이에 비트VM 브릿지 구축]
비트코인 레이어2 네트워크 비트레이어가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와 파트너십을 통해 수이 네트워크에 비트VM 브릿지를 구축, 수이 디파이 프로토콜에서 비트코인 기반 토큰인 Peg-BTC(YBTC)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보유자는 비트VM 브릿지를 통해 수이 네트워크로 BTC를 전송할 수 있으며, YBTC는 수이 디파이 생태계에서 수익 창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에이셔, 5/22 체커 노드 바이백 예고]
탈중앙화 클라우드 GPU 네트워크 에이셔(ATH)가 오는 5월 22일(현지시간) 체커 노드 바이백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기존 체커 노드를 보유했던 투자자는 고정된 가격(eATH)에 체커 노드를 판매할 수 있으며, 에이셔와 아이겐레이어에서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바이백에 이용된 eATH는 1년 락업이 적용된다.
[지난 1시간 동안 9,151억원 상당 BTC 복수 선물 거래소 입금]
크립토퀀트 알람에 따르면, 지난 1시간 동안 6,268.78 BTC(9,151억원 상당)가 복수 선물 거래소로 입금됐다. 바이낸스에 5,847 BTC, 크라켄에 213 BTC, 바이비트에 92 BTC가 입금됐다. 크립토퀀트는 커스터디를 지원하는 거래소의 경우 대량 입금은 커스터디 고객의 입금일 확률이 있으므로 주의바란다고 설명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25...전일比 9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일보다 9포인트 내린 25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제트크래프트, 항공기 구매 옵션에 암호화폐 추가]
글로벌 항공기 판매 업체 제트크래프트가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 코인페이먼츠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크립토슬레이트가 전했다. 이에 따라 제트크래프트는 항공기 구매 옵션으로 암호화폐를 추가할 계획이다. 업체는 암호화폐를 보유한 고액 자산가들의 수요가 적지 않아 이처럼 옵션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라이도 팀 등 2개 주소, $1153만 LDO 거래소 입금]
라이도(LDO) 팀 소유 추정 주소를 포함한 2개 주소가 지난 3일 동안 1111만 LDO(1153만 달러)를 바이낸스, OKX, 바이비트, 게이트아이오에 입금했다. 엠버CN은 이 주소들은 5시간 전 1941만 LDO(1925만 달러)를 외부 이체했는데, 해당 물량은 조만간 주요 중앙화거래소(CEX)로 입금될 것으로 보인다. 마켓메이커 주소로 이체한 뒤 주요 CEX로 입금하는 패턴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ETH 현물 ETF 554억원 순유출]
파사이드 인베스터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3980만 달러(약 554억원)가 순유출됐다. 피델리티 FETH에서 316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ETHE에서 1660만 달러가 순유출됐으며, 블랙록 ETHA에는 84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2
1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