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체인 데이터는 왜 더 이상 ‘정적 저장’으로는 부족할까?
오늘은 IRYS 기술 자체보다 "왜 온체인 데이터가 변화해야 하는가" 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다뤄봅니다. 데이터는 저장하는 순간이 아니라 업데이트·검증·활용되는 과정 전체가 신뢰를 만듭니다.
📂기존 온체인 데이터의 한계
🟢대부분의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고정된 기록"으로 취급합니다
🟢수정·갱신이 어렵고, 새로운 버전을 만들면 연결이 끊깁니다
🟢데이터의 의미·맥락·변경 사유가 남지 않습니다
🟢결국 현재 상태만 있을 뿐, ‘과정’이 사라지는 저장 방식
이런 방식은 단순 원장(ledger) 로서는 충분하지만 AI·에이전트·자동화 시스템에서는 한계가 됩니다
📂IRYS가 보는 ‘데이터 생명주기’ 관점
🟢데이터는 저장 순간이 아니라 변화 과정 전체가 자산
🟢버전, 조건, 실행 규칙을 자체적으로 품어야 함
🟢 "불러오는 데이터"가 아니라 "동작하는 데이터"
🟢서비스가 아니라 데이터가 트리거가 되는 구조
이 때문에 IRYS는 Programmable Data + Mutable References + L1 Execution 조합을 통해 데이터를 정적 기록이 아니라 '살아있는 객체'로 취급합니다.
단순히 저장하는 체인은 많습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스스로 증명하고, 실행을 유도하고, 과거 맥락까지 보존하는 체인은 거의 없습니다.
IRYS가 만드는 것은 "데이터가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 환경"그리고 그 위에 구축될 AI·에이전트 기반 Web3의 기반 레이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은 취생방 인턴(MyHobby_Intern)이 작성했습니다.
#IRYS #Datachain #OnchainData #Web3 #Storyteller #ProgrammableData

2495
6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