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6946
6달 전
enjoymyhobby/87868/6057410171501659472
중국과 좋은 거래를 할것 추가로 무역협정에 대한 발표를 할 예정이지만, 서두르지 않을 예정 #국제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Unchained X Walrus | 미디어 콘텐츠...다음 - 트럼프 갑자기 기분좋아져서 호의적인 이유 오늘 오전 ...
enjoymyhobby/6206208557557332957
취미생활방📮
@enjoymyhobby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https://x.com/CryptoMyhobby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최근포스팅
🙃 맨틀 월간 타운홀 시리즈: 맨틀 스테이트 오브 마인드 3화 ✅ 이번 맨틀 월간 타운홀은 리스본 CCCC(The Crypto Content Creator Campus) 에서 현장 생중계로 진행됩니다. 📂 주요내용 🟢일정 : 11월 16일 오후 10시 (KST) 🟢맨틀 공식 X에서 청취가능(루마 등록 필요) 🟢맨틀 네트워크의 성장 및 RWA 등 다양한 소식 공유 예정 💬  맨틀의 3번째 월간 타운홀이 16일 오후 10시에 실시됩니다. 이번엔 리스본 행사장에서 다양한 게스트 분들과 직접 생중계될 예정인데요. 맨틀 홀더분들은 신청하셔서 현재 진행중인 맨틀의 다양한 소식들 들어보시면 좋겠네요. 트위터|루마신청하기 #MNT
viewCount5
2분 전
😞 Billions 토크노믹스 발표 ✅ Billions가 토크노믹스를 발표했습니다. 📂 $BILL 토큰분배 🟢총 공급량 : 100억개 고정 🟢초기 유통량: TGE 시 23% (23억 개) 🟢커뮤니티 : 32% : 보상, 스테이킹, 해커톤 등 🟢핵심 기여자 : 25% 🟢재단준비금 : 18% 🟢투자자  : 15% 🟢생태계 펀드 : 10% 📂 $BILL 경제모델 🟢수익 : 인간 및 AI 에이전트 인증 수수료 등으로 수익발생 🟢수수료 수익을 통한 정기적인 바이백(수익 증가시 유통량 감소를 통한 선순환구조) 🟢스테이킹 : 토큰 스테이킹을 통한 신용도 증명 🟢지속가능한 플랫폼을 지향하는 토크노믹스 ✍ Billions에서 토크노믹스를 공개했습니다. '재사용 가능한 신원 인증(reusable credentials)'이라는 인증모델을 사용하면서 인증하는 것 자체도 경제시스템의 일부가 되도록 설계한 시스템인데요. 잘만 돌아간다면 지속적인 바이백효과가 나타날 것 같네요.  AI시대의 신원인증이 블록체인을 통해 어떻게 문제해결에 기여할지 기대되네요. 트위터 #BILLIONS
viewCount4728
53분 전
📕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11월 둘째주 주요이슈 ① 유동성 경고 신호 🔍 🔹 Federal Reserve(연준) 산하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뉴욕연준)이 이번주 은행 및 ‘프라이머리 딜러’들과 비공식 회담을 가졌다는 보도가 나왔음. 🔹 이 회담 주제는 단기 자금시장(레포·역레포) 내 유동성 긴장 및 연준의 유동성 수단인 Standing Repo Facility(SRF)을 어떻게 활용할지였음. 👉 금융 시스템 내부 ‘배관(plumbing)’ 쪽에서 흐름이 꼬이기 시작했다는 신호. 단순 거시지표보다 먼저 나오는 위험이다. ② 정책적 반응 – 연준의 유동성 도구 언급 🔹 뉴욕연준장 John C. Williams가 “조만간 연준이 자산 매입을 재개할 수 있다”라며 밸런스시트 확장 가능성을 언급. 🔹 연준 마켓운영책임자 Roberto Perli가 “SRF를 필요할 때 이용하라. 대규모 이용도 문제 없다”라고 공개 발언했음. 👉 지금은 정책 스탠스(금리·인플레이션)가 아니라 유동성·시스템 리스크 쪽이 연준의 우선순위로 떠올랐다는 의미. ③ 금융시장 반응 – 시장금리·채권·리스크프리미엄 🔹 단기 자금시장 금리(Repo·SOFR)가 오르고, 은행들이 SRF에 의존하는 횟수가 증가했다는 보도. 👉자금 조달 비용 상승은 기업·금융기관의 레버리지에 부담 → 위험자산 전체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④ 투자자 관점 – 위험 ON/OFF 전환 가능성 🔹 지금까지는 ‘금리 인하 기대’ → 위험자산 선호 흐름이었음. 하지만 유동성 긴장·정책 불확실성 확대되면서 위험 회피로 전환되는 흐름이 나올 수 있음. 👉 따라서 성장주·레버리지 많은 기업에 대한 포지션은 다시 점검할 필요. ⑤ 일반인 체감 – 대출·금융비용 영향 가능성 🔹 은행·금융기관 자금조달 부담이 커지면 대출 금리·모기지 금리 상승 가능성. 👉 금융기관이 리스크를 회피하면 신용공급이 느려지고, 이는 소비·투자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⑥ 정치/정책 리스크 – 재정·금융결속 약화 🔹 유동성 문제가 금융기관 내부 이슈만이 아니라 중앙은행·재무부·정책결정권력 사이의 대응 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 👉 특히 정부 재정적자 확대, 셧다운 복구, 채권발행 증가 등이 자금시장 압력을 강화하고 있음. ⑦ 공간적 비교 –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징후 🔹 유동성 경색은 과거 2019년 말·2020년 초 레포시장 쇼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조처럼 작용했던 적 있음. 👉현재는 완전 위기 국면은 아니지만 ‘조금 늦은 경고등’ 수준이라는 점이 중요. ⑧ 체크포인트 🔹금융주·채권금리·유동성 지표(Repo금리·SRF 이용량) 주시해야 함. ✍️정리 금리·물가만 신경쓸 때가 아니다. 지금은 유동성 흐름이 바뀌는가가 핵심. 은행·시장 내부에서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 위험자산은 빠르게 흔들릴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매우 좋은 매수 기회를 줄 수 있다. 유동성 파티를 시작할 것이라는 건 당장 단기적으로 시장의 반등요인이 될 수 있으나, 실현되기까지 시간이 제법 걸릴 것이다. #국제
viewCount6701
17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