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분석 2021년 이후 발행된 토큰 절반 증발]
2021년 이후 발행된 토큰 중 절반 이상이 사라졌으며, 특히 올해 1분기에만 180만 개 상당 토큰이 거래 중단됐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매체는 코인게코는 보고서를 인용, 2021년 이후 발행된 토큰은 700만 개 상당이다. 이중 절반이 넘는 370만 개가 거래 중단됐다. 특히 올해 1분기에만 180만 개 토큰이 사라졌다. 단일 분기 기준 가장 많은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코인게코 애널리스트 션 폴 리는 토큰 수가 급증하는 동시에 실패한 토큰이 늘어난 배경엔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이 있다. 지난해 펌프닷펀 출시 이후 수많은 밈코인과 저품질 프로젝트가 시장에 쏟아져 나왔다고 밝혔다.
[무브먼트랩스, 무브드롭 일정 연기]
무브(Move) 언어 기반 블록체인 개발사 무브먼트랩스가 예기치 못한 보안 및 거버넌스 이슈로 무브드롭 일정을 연기했다고 밝혔다. 무브먼트랩스는 X를 통해 마켓메이커의 비정상 행위, 거버넌스 변경, 시빌(다계정) 공격 등 복합적인 이유로 무브드롭 일정을 연기하게 됐다. 시빌 공격으로 유출된 토큰은 대부분 회수했으며, 해당 물량은 향후 무브드롭 이후 커뮤니티와 생태계에 재분배할 예정이다. 이번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거버넌스 구조를 개편 중이며, 진행 상황을 계속 공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리머 파이낸스 솔라나, RWA 친화적 인프라 체인]
솔라나(SOL) 기반 실물자산(RWA) 토큰화 프로젝트 글리머 파이낸스(Glimmer Finance)가 공식 채널을 통해 솔라나는 빠른 속도, 낮은 수수료, 지속 가능성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으로서, RWA 분야에 친화적인 인프라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글리머 측은 이더리움(ETH) 생태계에는 RWA 선구자들이 존재하며, 솔라나는 RWA 인프라 부문의 유력한 경쟁 체인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글리머 파이낸스는 구조화된 온보딩 프레임워크, 토큰화를 위한 AI 모델 최적화 등에 강점을 갖고 있으며, 이는 솔라나 체인 상에서 구현된다. 향후 2~5년 내 RWA 테마는 암호화폐 경제의 중심에 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
[美 암호화폐 로비단체, SEC에 스테이킹 규제 명확화 공식 요청]
미국 암호화폐 혁신위원회(Crypto Council for Innovation, CCI)가 이끄는 30 여개 암호화페 로비단체가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스테이킹과 관련한 명확한 규제를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들은 헤스터 피어스 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팀장에게 제출한 서한을 통해 스테이킹은 투자 행위가 아닌 기술적 프로세스인 점을 강조했다. 또, 스테이킹이 하위 테스트(Howey Test, 증권법 적용을 위한 테스트)에 부합하지 않으며, SEC가 기존 작업증명(PoW) 채굴에 대한 원칙 기반 가이드라인을 마련한 것처럼 지분증명(PoS)에도 명확한 규제 해석을 제공할 것을 촉구했다.
[BTC 현물 ETF 806억원 순유출]
파사이드 인베스터에 따르면 4월 30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BTC) 현물 ETF에서 5,630만 달러(806억원)가 순유출됐다. 8거래일 연속 순유입에서 9거래일 만에 순유출로 전환했다. 블랙록 IBIT에 2억 6,700만 달러가 순유입된 반면, 피델리티 FBTC에서 1억 3,750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서 1억 3,08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GBTC와 비트와이즈 BITB에서 각각 3,200만 달러, 2,300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시그너스, 모포와 협력해 wcgUSD 모듈화 추진]
웹3·인스타그램 앱 레이어 시그너스(Cygnus)가 X를 통해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모포(Morpho)와 협력해 wcgUSD를 모듈식으로 변경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그너스는 “현재 wcgUSD를 모포 프라임 볼트로 다각화 해 더 안전하고 유연한 기관급 수익 전략을 실현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한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모포와 함께 저위험 디파이 전략을 고심 중에 있다. 모포 프라임 볼트는 wstETH, cbETH, wBTC와 같은 블루칩 자산만을 담보로 취급하고 보안성이 뛰어나다는 점을 높게 평가해 활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에테나, 톤 재단과 파트너십…tsUSDe 발행]
스테이블코인 USDe 발행사 에테나(ENA)랩스와 에테나 재단이 텔레그램 디오픈네트워크(TON, 톤) 재단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이에 따라 텔레그램은 자체 생태계에 USDe와 sUSDe를 도입해 tsUSDe를 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톤 기반 월렛에서도 에테나의 제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벅스코인 창립자 유행 쫓는 밈코인 결국 멸종할 것”]
웹3 기반 금융 교육 플랫폼 벅스코인(BGSC) 설립자 인범이 “올해 1분기에만 무려 180만 개 이상의 암호화폐 토큰 프로젝트가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계 역사상 전례 없는 규모로, 시장 내 무분별한 토큰 발행과 유행성 ‘밈 코인’의 급증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단순히 인기나 유행을 쫓아 발행되는 ‘밈 코인’은 올해를 끝으로 생명력을 잃게 될 것이다. 투자자들도 보다 신중해지고 있으며, 밈코인 규제로 인해 향후 중앙화 거래소에 상장되는 것도 어려워질 것이다. 이미 상장된 밈 코인 역시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15...전일比 3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일보다 3포인트 내린 15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2
33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