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달러 하락원인 분석
달러가 빠지는 속도가 심상치 않다.
최저점을 찍은 후 살짝 반등했는데, 4월 11일에 자산간 상관관계가 깨지는 이유 글을 쓰면서 모든 달러를 환전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저때 환전한 금액이 최고점이 된 셈.
그러나 빠지는 달러에 비해 달러 인덱스는 생각보다 평온하다.
장기적으로 더 빠질 순 있겠으나, 단기적으로 바닥을 친 모양새.
여러가지 각도에서 환율에 대해 접근해야 하지만, 몇가지 이야기를 넘버링해서 이야기해보자.
1. 외국에 투자를 할때는 두가지 방식을 가진다.
2. 그 나라의 통화로 환전해서 투자하는 방법.
3. 자국의 통화로 투자하는 방법.
4. 채권으로 따지면 외국채, 유로채 등도 비슷한 맥락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달러 표시 채권이니 패스.
5. 현재 달러약세의 문제로 거론된 것은 대만에서 발행된 생보사의 채권 환헷징이다.
6. 보통 장기적으로 그 나라에 투자할때, 환헷징은 잘 하지 않는다.
7. 이유는 환 헷징을 하는 비용보다, 장기적으로 헷징용 상품에 투자하는게 더 나은 선택이 되기 때문(내재적헤지). 게다가 장기적으로 갈수록 환 변동성은 투자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8. 위의 기사에서 볼 수 있듯이, 환 헷징을 하지 않은 기업들이 갑작스레 대만달러를 매입한 게 원인이라는 분석.
9. 일반적으로 원유를 수출한다고 가정 했을때, 보통 롤링헷징을 사용한다.
10. 물건을 판매해서 싣고 가는 동안 환율이 떨어지면, 수출을 하는 국가에서는 그만큼의 환차손이 생기기 때문이다.
11. 이런 롤링헷지로 파산한 대표적인 사건이, 메탈게젤샤프트 파산사건이다.
12. 현재 OPEC+은 감산요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증산을 선택했다.
13. 원유는 산업에 꼭 필요한 원자재로, 가격이 떨어지면 좋은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한다.
14. 코로나 빔이 나온 시절,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
-2번 계속
#국제

492
17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