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coinOS가 $BTC$BTC 를 브릿지 쓰지않고 카르다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데 성공함...
다들 알겠지만, 기존에 $BTC 를 다른체인으로 옮기려면 Wormhole, BitGo 중개 주체가 자산을 보증해야함.
근데 이 Wormhole같은 써드파티가 불필요하다는 것임...
완전한 trustless 전송이 가능해진 거임...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1.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BTC를 특정 조건(zk-verifiable script)이 걸린 주소에 락업함. 락업할 때 zk-proof를 만드는데, 이는 BTC를 보낸 사람만 가능함.
2. 락업 후 생성한 zk-proof를 Cardano의 특정 스마트 컨트랙트로 보냄.
3. Cardano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 proof를 검증하고 확인되면 Cardano에서 xBTC를 발행함.
4. 이제 xBTC는 Cardano 위에서 UTXO 자산처럼 쓸 수 있게됨. Cardano 지갑 키로 보내고, 받는 것도 가능함.
5. 다시 BTC로 바꾸고 싶으면, xBTC를 Cardano에서 소각하고 새로운 zk-proof 생성함. 이걸 Bitcoin 스크립트로 보내면 락업했던 BTC를 되돌려 받을 수 있음.
비트코인 x 카르다노 간의 최초의 'bridgeless'한 $BTC 전송을 성공적으로 시연함.
1) BOS 팀은 BitSNAR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Bitcoin L1에 1 BTC를 예치함. 그리고 이를 "xBTC"라는 새로운 unchained token으로 래핑함.
(xBTC는 업계 최초로 비보관형, 암호화형, 프로그래밍형으로 비트코인에 직접 연동)
2) BOS는 비트코인 지갑에서 1 xBTC를 Sundial의 Cardano 지갑으로 직접 보냄.
이 거래는 브릿지리스(bridgeless) 거래임. 어떤 종류의 커스터디안이나 볼트도 중개하지 않았음.
3) 이 시점에서 xBTC는 Cardano에서 UTXO로 존재하며 Cardano 개인 키로 사용가능함. 이를 증명하기 위해, Sundial의 Cardano 지갑에서 Handle의 Cardano 지갑으로 1 xBTC를 보냈음.
(여기서 Handle은 이더리움의 ENS 같은 카르다노 네임서비스를 의미)
4) 이 후, Handle의 Cardano 지갑에 있는 1 xBTC를 BOS의 Bitcoin 지갑으로 다시 보냄.
이 과정에서 브릿지가 필요하지 않았음
5) 결과적으로 BOS는 1 xBTC를 언래핑하여 1 BTC를 다시 회수했음.
이 과정에서 BitSNARK를 활용하여, 모든 xBTC는 안전하게 지원되고 상환 가능하며, trustless한 암호화 무결성으로 보호됨.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