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달러 하락원인 분석(2)
15.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적으로 전세계를 덮치던 시절에 OPEC 회의에서 감산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이로 인해 원유 가격이 폭락, 원유 수출에 의존하는 신흥국 통화가치가 하락한 것이다.
16. 이에 신흥국 중앙은행들은 외환보유고를 팔고, 미국 국채를 매도 했다. 현재 미국의 국채수익률은 상승추세다.
17. 다시 대만 이야기로 돌아오면, 대만은 미국과 회담을 진행했다.
18. 사람들이 우려하는 부분은, 트럼프가 원하는 '달러약세'가 관세와 맞물려 제 2의 플라자합의가 발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부분이다.
19. 원유를 예로 들었지만, 대만의 TSMC는 현재 새로운 먹거리라는 AI 반도체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는 생산기지다.
20. 신흥국의 화폐가치가 올라가게되면 미국 입장에서 수입하는 비용이 줄어들고, 수출하는 입장에서 환차익이 줄어들어서 수출 이익이 줄어들게 된다.
21. 대만의 기업들은 이에 따라 더 큰 손실을 보기전에 '달러'를 채워넣기 위한 손절을 감행했다는게 현재 대만 달러 상승의 이유
22. 이에 따라 반도체를 주 산업으로 삼는 한국의 원화 또한 상승했다는 것
📘정리
장기간 이어진 달러 강세가 무역협상과 맞물리며 트럼프가 원하는 달러약세를 OPEC 감산과 함께 유도하고 있고, 이로 인해 기업들이 환헷징을 늘리기 위해 미국채를 매도하는 악순환의 영향으로 제일 민감한 환율이 반응하고 있다.
물론 이건 대외적인 내용이고, 실제로 미국의 달러는 현재 '강세'를 나타내야 하지만, 트럼프는 달러 '약세'를 원하고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기 현상.
목요일 새벽의 FOMC가 말도안되게 도비시 하지 않는 이상은 달러는 다시 강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지만, 전고를 넘어서 올라갈 가능성이 있냐는 별개의 문제다.
환은 우리 생각보다 복잡한 것들이 얽혀있고, 앞으로 확실한 것은
1. 미국채 장기물의 상승(약세)
2. 달러 강세
3. 신흥국 통화의 약세
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국제

1595
2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