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994
12시간 전
marshallog/15668/6131823099834909500
✍️ Sign CTO Jack과의 AMA 리캡 🔽누르면 펼쳐집니다🔽 1. TGE 이후에 Sign 팀은 어떤 일들을 하는 중? > 커뮤니티와 Tokentable은 당연하고, 최근엔 3개 국가와 협업을 논의 중에 있다. 어떤 국가인지는 말할 수 없지만, 이와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 Sign 솔루션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백서도 쓰고 있다. 향후 3개월 간 이 나라들을 방문해 더욱 상세한 얘기를 나눌 예정이다. 또한 곧 슈퍼앱이 출시될 것이고, 해당 슈퍼앱이 앞으로의 Sign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2. $SIGN 토큰의 유틸리티 > 오렌지 왕조가 한 국가라 생각하고, $SIGN 은 해당 국가에서 사용될 통화가 될 것이다. 또한 슈퍼앱에서 리워드 형태로 사용될 예정이고, 이외에도 SBT도 아직 남아있기에, 커뮤니티 중심으로 리워드 목적으로 계속 사용될 예정이다. 3. 커뮤니티에서 Sign 제품 개발 등에 더 깊이 관여할 수 있도록하는 계획은 없는지? > Sign이 국가들과 일을 하려고 하기 때문에, 다양한 국가의 커뮤니티원이 필요하다. 로컬 측면에서 도움이나 인사이트가 필요한 경우에 커뮤니티원이 굉장히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다양한 아이디어나 피드백이 있으면 언제든지 알려줬으면 좋겠다. 모든 아이디어가 귀중하기에, 최대한 많이 들여다 볼 것이고 그에 대한 보상은 명확히 지급할 예정이다. 4. CTO로서 Sign에 대해 설명해주고 싶은 내용이나, 개발하면서 어려웠던 이야기들이 있는지? > 토큰테이블 서비스 중에 자꾸 마지막에 토큰 분배 관련해서 말을 바꾸는 프로젝트들이 있었다. 약관 상 TGE 48시간 전에는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어쩔 수 없이 팀원과 함께 야근하며 수정하곤 했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똑같은 사람이다. 실수를 할 수 있다. 나 또한 특별한 것 없이 보통 사람1이다. 그래서 그냥 그런 마인드를 가지고 일에 임하고 있다. 과거에 토큰테이블의 언락과 관련해 혼자 컨트랙트를 쓰던게 어려웠다. 유연하고 좋은 코드를 쓰려는 욕심이 있어서 고생했고, 그 과정에 가스비로 돈도 많이 들었다. 정부 차원에서 협업하면서 소통의 어려움이 있지만, Sign 팀은 물론이고 BNB 체인 등 훌륭한 팀들과 협업해 개발을 이어나가고 있어 각 국가와 정부에 맞추어 개발해나가고 있다. 5. 한국 시장에 진출할 계획은 없는지, 있다면 한국에 어떤 맞춤형 확장 전략이 있는지? > 각 국가의 커뮤니티의 역할이 중요할 것 같다. 각 국가마다 기술의 차이도 있고, 문화의 차이도 있기에, 우리는 그런 것들에 대해서 잘 모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각 국가의 커뮤니티원들이 도와준다면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더 나아갈 수 있을 것 같다. 한국 정부와도 같이 일하고 싶다. 삼성과 협력하는 미래가 있다면 좋을 것 같다. 6. 출시를 앞둔 Sign 슈퍼앱에선 어떤 활동을 기대할 수 있는지? > 데일리 체크인이나 미션 등이 있다. SNS에서 Proof of Shilling 활동 시 사인 슈퍼앱에서 이를 감지하고 검증해 보상을 받게 된다. 미래엔 신분증이나 ID를 앱과 바인딩, 국가 차원에서 효력이 있는 앱이 될 것이다. 7. 현 시점에서 유저들이 Sign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 > 이전과 특별히 다른 점은 없다. 8. Sign의 기술들이 일상 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예시를 들어줄 수 있나요? > sign이 국가들에게 웹3 인프라를 만들게 되면, 각 국가마다 스테이블코인 지갑을 만들수 있고 계좌 자체가 하나의 신분증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국가에 가도 환전이 필요없게 되고, 비자 발급 쉬워지며, 여권도 불필요해진다. 다른 나라에가서 계좌를 만들어도 KYC 필요없이 앱을 통해 바로 신원인증이 가능해지게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단계에선 3~4개 정도 국가 상대로 얘기하고 있지만, 앞으로 더 많은 국가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면 이제 미국의 DOGE 처럼 각 정부가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인프라를 Sign이 만들 수 있을 것이다.1. TGE 이후에 Sign 팀은 어떤 일들을 하는 중? > 커뮤니티와 Tokentable은 당연하고, 최근엔 3개 국가와 협업을 논의 중에 있다. 어떤 국가인지는 말할 수 없지만, 이와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 Sign 솔루션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백서도 쓰고 있다. 향후 3개월 간 이 나라들을 방문해 더욱 상세한 얘기를 나눌 예정이다. 또한 곧 슈퍼앱이 출시될 것이고, 해당 슈퍼앱이 앞으로의 Sign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2. $SIGN$SIGN 토큰의 유틸리티 > 오렌지 왕조가 한 국가라 생각하고, $SIGN 은 해당 국가에서 사용될 통화가 될 것이다. 또한 슈퍼앱에서 리워드 형태로 사용될 예정이고, 이외에도 SBT도 아직 남아있기에, 커뮤니티 중심으로 리워드 목적으로 계속 사용될 예정이다. 3. 커뮤니티에서 Sign 제품 개발 등에 더 깊이 관여할 수 있도록하는 계획은 없는지? > Sign이 국가들과 일을 하려고 하기 때문에, 다양한 국가의 커뮤니티원이 필요하다. 로컬 측면에서 도움이나 인사이트가 필요한 경우에 커뮤니티원이 굉장히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다양한 아이디어나 피드백이 있으면 언제든지 알려줬으면 좋겠다. 모든 아이디어가 귀중하기에, 최대한 많이 들여다 볼 것이고 그에 대한 보상은 명확히 지급할 예정이다. 4. CTO로서 Sign에 대해 설명해주고 싶은 내용이나, 개발하면서 어려웠던 이야기들이 있는지? > 토큰테이블 서비스 중에 자꾸 마지막에 토큰 분배 관련해서 말을 바꾸는 프로젝트들이 있었다. 약관 상 TGE 48시간 전에는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어쩔 수 없이 팀원과 함께 야근하며 수정하곤 했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똑같은 사람이다. 실수를 할 수 있다. 나 또한 특별한 것 없이 보통 사람1이다. 그래서 그냥 그런 마인드를 가지고 일에 임하고 있다. 과거에 토큰테이블의 언락과 관련해 혼자 컨트랙트를 쓰던게 어려웠다. 유연하고 좋은 코드를 쓰려는 욕심이 있어서 고생했고, 그 과정에 가스비로 돈도 많이 들었다. 정부 차원에서 협업하면서 소통의 어려움이 있지만, Sign 팀은 물론이고 BNB 체인 등 훌륭한 팀들과 협업해 개발을 이어나가고 있어 각 국가와 정부에 맞추어 개발해나가고 있다. 5. 한국 시장에 진출할 계획은 없는지, 있다면 한국에 어떤 맞춤형 확장 전략이 있는지? > 각 국가의 커뮤니티의 역할이 중요할 것 같다. 각 국가마다 기술의 차이도 있고, 문화의 차이도 있기에, 우리는 그런 것들에 대해서 잘 모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각 국가의 커뮤니티원들이 도와준다면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더 나아갈 수 있을 것 같다. 한국 정부와도 같이 일하고 싶다. 삼성과 협력하는 미래가 있다면 좋을 것 같다. 6. 출시를 앞둔 Sign 슈퍼앱에선 어떤 활동을 기대할 수 있는지? > 데일리 체크인이나 미션 등이 있다. SNS에서 Proof of Shilling 활동 시 사인 슈퍼앱에서 이를 감지하고 검증해 보상을 받게 된다. 미래엔 신분증이나 ID를 앱과 바인딩, 국가 차원에서 효력이 있는 앱이 될 것이다. 7. 현 시점에서 유저들이 Sign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 > 이전과 특별히 다른 점은 없다. 8. Sign의 기술들이 일상 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예시를 들어줄 수 있나요? > sign이 국가들에게 웹3 인프라를 만들게 되면, 각 국가마다 스테이블코인 지갑을 만들수 있고 계좌 자체가 하나의 신분증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국가에 가도 환전이 필요없게 되고, 비자 발급 쉬워지며, 여권도 불필요해진다. 다른 나라에가서 계좌를 만들어도 KYC 필요없이 앱을 통해 바로 신원인증이 가능해지게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현재 단계에선 3~4개 정도 국가 상대로 얘기하고 있지만, 앞으로 더 많은 국가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면 이제 미국의 DOGE 처럼 각 정부가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인프라를 Sign이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어제 AMA에 제가 볼 때 Jack이 공개하면 안되는 내용을 은근슬쩍 많이 노출해준 것 같슴다😂 최근 국가 차원에서도 크립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기에 Sign이 시기적으로 적절한 때에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고 느꼈네요. 또 여전히 30%나 되는 커뮤니티 리워드와 에어드랍이 남아있는 Sign인데, TGE 전이랑 비교해서 국내 화력이 많이 죽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SBT도 시즌제로 나눠주고 있으니 다시 갈아넣기에 전혀 늦지 않았다고 생각! #Sign #AMA #리캡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비트코인 현물 ETF 보유량 , 사상 최고치 갱신" ...다음 - ✖️ 참고로 높은 확률로 $KAITO 스테이커나 NFT...
marshallog/6122887459030282317
마샬 공유방 2.0
@marshallog
리딩방 아닙니다. 경제, 금융, 크립토, 시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공유하며 같이 공부하는 방입니다. 🙏 협업/광고 문의 @korea_duck
최근포스팅
📈 물가보다 더 뛴 최저임금 Source 「최근 10년간 최저임금의 누적 인상률은 89.3%로, 같은 기간 물가상승률의 4.2배, 명목임금의 2.3배 올랐다.」 ❓상승폭 비교(2014vs2024) 1. 최저임금: 89.3% 2. 명목임금: 38.3% 3. 물가: 21.2% ✍️ 이런 통계 보고나면 최저임금을 무작정 많이 올리는게 좋은게 아니란 생각이 드는... 최저임금을 올리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올리는 폭과 타이밍, 물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는 말임 #최저임금
viewCount1432
5시간 전
📔 월요일 화요일 맞이 에드작 점검 에드작 10선 · Humanity - 출첵 Link · Openledger - 출첵, 크롬 확장, 소셜 Link · Irys - Faucet 출첵, 게임, 소셜 Link · Myriad - ABS 폴리마켓, 출첵, 베팅 Link · Newton - 출첵 Link · Orochi - Onprover 가동, 출첵 Link · Huma - 예치(캡 Full), 소셜 Link · Backpack - 트레이딩 Link · Perennial - 베이스 Perp DEX, 트레이딩 Link · Aster - 트레이딩, 예치 Link · Camp - 퀘스트 (무브먼트 느낌) Link ✍️ 요즘 하는거 10개만 추려봤습니다. 출석체크가 많긴한데 전부 다 해도 10분도 안 걸림 * 알잘딱으로 사진 만들어 달랬더니 그냥 알잘딱을 넣어버린 AI 😂 #에드작
viewCount1781
9시간 전
☕️ 스타벅스 밤 10시 연장영업 결정 「스타벅스는 “이달 중순까지 순차적으로 전체 매장의 80%가 운영 시간을 오후 10시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도 10시까지 아님? 스타벅스의 매장별 폐점 시간은 오후 7~8시 또는 오후 10시로 제각각이다. ✍️ 솔직히 메가나 컴포즈같은 저가 브랜드랑 비교하면 비싸긴 한데, 일반 개인 카페들이랑 비교해보면 스벅이 혜자인 느낌도 확실히 있긴함.. #스타벅스
viewCount3950
10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