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827
4시간 전
minchoisfuture/29906/6134064162230355313
아직 못받은 숫자가 0이랑 9로 알고 있는데 이거랑 메이플이랑 희비가 교차할수도 있겠네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코인셰어즈, 2025년 1분기 순이익 42% 감소...다음 - 내 차례에 좋은거 주려고 이렇게 미뤘구나 하면서 벌써부...
minchoisfuture/6222198987088311224
㈜ 청년열정마라과즙벌꿀집민트초코손맛푸드
@minchoisfuture
본인의 개인적인 취향을 큐레이팅하는 채널. 꼭 필요한 연락 : @flarrs
최근포스팅
월렛커넥트, 스마트 세션(Smart Sessions) 기능 출시예정 ✔️ 월렛커넥트란? 월렉커넥트는 지갑과 웹3 디앱 간의 안전한 통신을 돕는 개방형 프로토콜로, 2018년 서비스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600개 이상의 지갑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하며 큰 사고없이 꾸준히 사용되어 온 바 있으며 최근 토큰인 $WCT이 발행되기도 했습니다. ✔️스마트 세션(Smart Sessions) 기존에 웹3 상 활동에서 지갑관련 불편점으로 자주 꼽히는건 보안 부분과 서명 부분. 매번 넣어야 하는 서명이 생각보다 번거롭고, 이 과정에서 서명탈취등의 보안취약점에 노출되기도 쉬웠는데 스마트 세션은 그에 대한 솔루션으로 보입니다. 월렛커넥트의 스마트세션을 사용하면 매번 거래를 승인할 필요가 없어져서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도는 줄어들고, 보안도 향상된다고 합니다. AI 에이전트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한번 지갑에 연결할 때에 AI에게 권한을 위임하면 설정된 규칙 내에서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끔 하는 방식. 참고로 이 스마트 세션이 활성화되며 생기는 수수료로 월렛커넥트의 토큰인 $WCT가 사용되어, 추후 WCT의 가격을 부양시키는 핵심이 될 예정. 관련 기사 :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06016 ✔️$WCT 스테이킹 & 이벤트 안내 한편, $WCT에는 스테이킹 기능이 존재합니다. 현재 스테이킹을 독려하기 위해 한국 커뮤니티에서 독점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벤트 기간:  5월 13일 (화) ~ 5월 23일 (금) - 이벤트 설명 : https://t.me/WalletConnectAnnKR/32 스테이킹을 선뜻 권하긴 쉽지 않지만.. 월렛커넥트의 장기적 비전을 믿고, 장기 홀드할 예정이라면 겸사겸사 이벤트에도 참여해보세요. #WCT #KOL
viewCount758
1시간 전
업빗썸 분위기 갑자기 불장 뭐지요...
viewCount1046
2시간 전
🐙 오픈렛저 - "앞으로 AI 블록체인이 불가피한 이유는?" 1. 코어 일반 블록체인 - 일반적으로 다양한 앱들을 위해 빌딩됨 AI 블록체인 (OpenLedger) - AI만을 위해 디자인됨. 데이터 추가, 트레이닝, AI 툴 다 한 곳에서 진행 가능 2. 데이터 귀속성 일반 블록체인 - 각 데이터에 누가 기여했는지 표기 및 기여 인식 능력 부족 AI 블록체인 (OpenLedger) - 각 데이터와 모델에 누가 기여했는지 알아보기 쉽고 확실한 기록 유지 3. 인센티브 디자인 일반적인 블록체인 - 채굴자나 벨리들 보상 줌 AI 블록체인 (OpenLedger) - 데이터나 모델이 사용되면 그 사람에게 보상이 지급됨 4. 보안 구조 일반적인 블록체인 - 이중 지불, 권한 없는 트잭 등 막음 AI 블록체인 (OpenLedger) - AI 관련 일은 모두 락되고 기여자를 침해하거나 모델을 훔치기 불가능 5. 데이터 추적 일반적인 블록체인 - 컨트랙에 사용된 데이터등을 추적하지 않음 AI 블록체인 (OpenLedger) - 모든 데이터와 모델 그리고 변경 사항까지 트래킹됨 6. 경제 모델 일반적인 블록체인 - 트잭 수수료와 토큰 유틸리티에 기댐 AI 블록체인 (OpenLedger) - 유용한 AI 활동은 토큰으로 전환, 벌거나 사용 가능 7. 거버넌스 일반적인 블록체인 - 토큰 홀더가 투표해서 다 조정함 AI 블록체인 (OpenLedger) - 커뮤니티가 어떤 모델이 가장 합리적인지 투표하고 개선안 정함 (누르면 펼쳐짐) 오픈렛저를 리서치하다보면 아무래도 TGE전에 꽤 찾아봤던 VANA 혹은 스토리 프로토콜등이 연상되는데, 얼핏 받는 인상이 비슷해도 다 디테일이 조금씩 다른 느낌. 바야흐로 구글이나 네이버대신 챗GPT나 퍼플렉시티를 검색용으로 더 많이 쓰는 시대가 되었는데, 너무너무 편하다고 느끼면서도 가끔 여러가지가 우려스러울 때가 있어요. 이렇게 편하지만, 인공지능이 잘못된 학습이나 오염된 정보 출처로 인해서 가끔씩 오류를 거하게 내뱉을 때가 많습니다. 적어도 사용자가 그걸 감별할 정도의 수준은 갖춰야하는데.. 문제는 AI쓰면 이렇게 편한데 나중가면 누가 시간내서 공부를 하고, 직접 팔걷어붙이고 무언가를 열심히 알아보지? 같은 단계의 걱정? 그런데 사실 명확하고 정돈된 정보출처를 통한다면 적어도 출처오염으로 인한 오류정도는 상당 부분 방지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고, '추적-보안-기여-보상'같은 구조를 짜서 이에 대해 솔루션을 만들겠다는 오픈렛저같은 프로젝트는 이런 시점에서 반드시 나오긴 해야하는 프로젝트란 생각이 들어요. 이 역시 인프라 사업이니만큼 잘되면 크게 가지 않을까?
viewCount1133
3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