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미국의 달러 패권은 유지될 수 있을까?(2)
만일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결국 인플레이션으로 국가부채를 녹이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 이어진다는 이야기. 지금 진행하는 트럼프의 관세 법안과 감세 법안도 이와 같은 미국의 부채를 타 국가에 떠넘기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다.
누누히 이야기했던 증시에서 크립토로 자금 이동을 할 것이다 또한 국가 부채의 토큰화(RWA)로 인한 부채를 국가 단위, 기관 및 지역단위로 떠 넘기던 걸 '민간'에 쉽게 떠 넘기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것.
테슬라는 1분기 실적에서 자동차 부문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약 20% 감소했고 순이익은 71% 급감.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수요 호조로 1분기(24월) 매출 전망을 430억 달러로 제시해 월가 예측(약 418억 달러)을 웃돔.
애플은 2분기(13월) 매출 953.6억 달러, 주당순이익 $1.65을 기록해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다. 다만, 애플은 관세 비용 증가로 연간 자사주 매입을 100억 달러 감축하겠다고 발표.
어쨋든 여기에 덧붙여 각 기업들의 가이던스가 하락하고 해고율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지만, 현재 시장의 포커스가 '관세'에 맞춰져 있다가 국채금리로 옮겨가고 있는 모양새이다.
📘정리
그럼에도 텍사스 주는 미국의 비트코인 비축 법안을 통과시켰고, 미국에서 자금 이탈이 조금씩 확대되고 있다.
올랐는데도 던졌다. 미장 떠나는 서학개미
2008년 이후 세계 경제가 주춤할때마다 미국이 계속 앞서갈 수 있었던 것은, 딱히 미국의 대체제가 없었던 이유가 가장 큰데 현재 대체제로 거론되고 있는 것들은
1.비트코인
2.중국(?)
3.브릭스
정도이다.
미국의 패권이 예전같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도 딱히 대체제가 있어보이지 않는다
#국제

2804
3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