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432
6일 전
..
- 물론 ZK의 비용이 감소되고 있음. 결국, 다양한 체인에서 Optimisic 검증과 ZK 검증 매커니즘에 혼합하는 단계에 접어들 것같음. - 그러나, ZK 비용이 현재보다 더 낮아져야함. - 아비트럼은 향후 두 매커니즘 모두 지원할 예정임. 이를 통해 유저는 비용과 요인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가능할 것임. - AI가 블록체인과 상호 작용하는 두 가지 매우 다른 방식이 있음. 1) 유저를 대신하거나, 체인의 유저인 AI 에이전트 2) 온체인 AI 에이전트 - 1)은 더 저렴하고 안정적인 블록체인 시스템이 필요하며, 응답시간도 더 중요할 것임. 2)는 더 높은 연산 능력과 데이터 처리 능력이 필요함. - 아비트럼은 이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체인의 capacity를 확장하는 작업, AI 모델의 훈련 검증, 평가하는 지원 매커니즘도 개발 중임. 출처
Gate.com
https://www.gate.com/learn/articles/interview-with-offchain-labs-co-founder-ed-felten-from-academia-and-the-white-house-to-shaping-arbitrum-s-future-with-a-long-term-vision/8811
doriworld/7659/5968907718917994881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코인 회계처리 자동화…업무시간 10분의 1로 뚝...다음 - 🗞 [코인 테마 랭킹] 24개 섹터 중 6개만 상승…...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최근포스팅
noya와 warden의 비슷하면서도 다른, 재밌는 차이. noya가 팀에서 자체적으로 구현한 agent를 제공하는 DeFAI 라면, wardenprotocol 은 누구나 만든 agent를 리스팅하는 마켓플레이스임. 더 재밌는 것은 warden에 리스팅된 agent는 유저가 요청한 문제를(여기서 intent라고 함) 확인하고 마치 경매처럼 더 좋은 방법을 제시함. 그리고, 선택받은 agent는 그 문제를 해결해주고 보상을 받는 것임. 예를 들면, 유저가 "내 100 SOL 을 USDC로 스왑해줘. 대신 가장 저렴하게 해줘" 라고 요청했을 때, 가장 저렴한 수수료로 스왑할 DEX와 유동성 풀을 찾아낸 agent가 돈을 버는 것임. 여기서 agent를 solver라고 불리는데... 이제 누구나 agent 하나 잘 만들면, 알아서 돈벌어오는 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임... 마치 개발한 app을 앱스토어에 등록해서 광고비 따박따박 받듯이... 재밌다.. (캡처는 실제 warden에서 준비중인 agent hub임)
viewCount85
4시간 전
재밌는 관점이네요 ㅎㅎ..
viewCount233
11시간 전
Bitcoin, Ethereum, Cardano, Solana 심층 분석 by Jonathan Strange - 이는 Ryan S. Adams의 '뱅크리스 네이션' 개념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각 블록체인을 '디지털 국가'로 보고 그 구조와 원칙, 안정성을 평가함. - 비트코인은 채굴 독과점의 영향을 받는 분산형 모델로 '중세 아이슬란드'에, 이더리움은 상향식 개발이 주도하지만 분산된 견제가 있는 '싱가포르'에 비유됨. - 반면 솔라나는 중앙화된 리더십으로 권위주의적 경향으로 UAE를, 카르다노는 온체인 투표를 기반으로 한 직접 민주주의 모델로 '스위스'와 같다고 평가함. - 민주주의와 안정성 측면에서 블록체인들을 비교 평가함. 특히 카르다노는 유일하게 온체인 투표를 지원하며 '민주주의 점수'에서 가장 앞서 나감. - 가동 시간 및 신뢰성 면에서도 카르다노와 비트코인은 출시 이후 주요 장애가 없었던 반면, 솔라나는 잦은 다운타임으로 안정성에 의문을 제기. - 다운타임은 '계엄령 기간'임. 즉, 국가가 며칠 동안 기능하지 않은 것을 의미. 다운타임이 길수록 체인의 규모와 대중화에 불리한데, 이는 신뢰할 수 없는 디지털 국가로 간주되기 때문임. - 미래 'Block War'의 승자는 결국 가장 분산되고 민주적이며 높은 유틸리티를 갖춘 체인이 될 것임. 이더리움과 카르다노를 핵심 경쟁자로 지목하며, 솔라나의 중앙화와 비트코인의 프로그래밍 불가능성은 한계가 있음. - 비트코인은 국가보다는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이 더 적합함. 출처
viewCount303
11시간 전
Arbitrum의 Offchainlabs 창립자, Ed felton의 인터뷰 중요 부분 요약

-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하면서 기술적 문제와 사회 또는 공공 정책 문제를 결합한 연구 방향을 항상 모색했는데, 비트코인의 블록체인은 그가 찾던 완벽한 사례였음.

- 스마트 컨트랙트를 접하고 인터넷 초기 성장기의 변화가 또 중요할 것임을 직감함. 그때 Arbitrum을 시작하게됨.

- Layer2는 'extractive'적인 경향이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음. Layer2는 더 많은 유저와 거래, 트래픽을 유입함. 만약 Layer2가 없었다면 이더리움이 아닌 다른 Layer1으로 이전되었을 것임.

- 또한, 이더리움 커뮤니티가 현재의 규모를 달성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도 Layer2 덕분임. Layer2는 이더리움 기술 스택의 일부이며 경쟁자가 아님.

- 유저가 원하는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핵심 프로토콜 지원에 대한 뛰어난 디자인이 필요함. 이는 더 원활한 인터체인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확신함. 

- 이더리움 메인넷의 수익을 극대화하려면 네트워크 capacity를 줄이면됨. 유저는 부족한 블록 공간을 차지하려고 입찰하여 네트워크의 수익은 늘어날 것임.

- 반면에 유저의 어돕션과 커뮤니티를 극대화하고 싶다면 Layer2가 탁월한 선택임. 두가지 모두를 차지하는 것은 어려움.

- Optimistic 롤업은 ZK에 비해 두가지 장점이 있음. 1) 간단함 2) 비용 효율성이 높음.
도리의 코인메모
Arbitrum의 Offchainlabs 창립자, Ed felton의 인터뷰 중요 부분 요약 -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하면서 기술적 문제와 사회 또는 공공 정책 문제를 결합한 연구 방향을 항상 모색했는데, 비트코인의 블록체인은 그가 찾던 완벽한 사례였음. - 스마트 컨트랙트를 접하고 인터넷 초기 성장기의 변화가 또 중요할 것임을 직감함. 그때 Arbitrum을 시작하게됨. - Layer2는 'extractive'적인 경향이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지 않음. Layer2는 더 많은 유저와 거래, 트래픽을 유입함. 만약 Layer2가 없었다면 이더리움이 아닌 다른 Layer1으로 이전되었을 것임. - 또한, 이더리움 커뮤니티가 현재의 규모를 달성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도 Layer2 덕분임. Layer2는 이더리움 기술 스택의 일부이며 경쟁자가 아님. - 유저가 원하는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핵심 프로토콜 지원에 대한 뛰어난 디자인이 필요함. 이는 더 원활한 인터체인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확신함. - 이더리움 메인넷의 수익을 극대화하려면 네트워크 capacity를 줄이면됨. 유저는 부족한 블록 공간을 차지하려고 입찰하여 네트워크의 수익은 늘어날 것임. - 반면에 유저의 어돕션과 커뮤니티를 극대화하고 싶다면 Layer2가 탁월한 선택임. 두가지 모두를 차지하는 것은 어려움. - Optimistic 롤업은 ZK에 비해 두가지 장점이 있음. 1) 간단함 2) 비용 효율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