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66
2달 전
..
Web4가 금융을 민주화하는 시대를 열 거라는 예측임...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아주 급진적인 발상인데... 모르겠음 이게 가능할지는다음 - 이번 불장 끝자락을 알 수 있는 지표 Linea TG...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최근포스팅
미쳤네...
viewCount297
2일 전
자주했던 말이긴한데... 앞으로 이렇게 갈거라 생각함... 직원 한 명의 역할이 아주 중요해지며, 소수 인원의 프로젝트가 더욱 많아질 듯... 앞으로 능력있는 이들은 더 인정받을 것이고... 능력없는 이들은 확실하게 도태될 듯..
viewCount275
2일 전
참고로 굳이 흑인이라고 얘기하는 이유는 저 흑인도 이런 농담을 좋아하는 것처럼 보임. 재밌는건 본인 블로그에 흑인은 미국에선 이너써클에 들기 어려운 인종차별을 당한다는 하소연을 함... 개인적으로 이 흑인을 주요 행사에 왜 스피커로 초대하는지 모르겠음. 프로덕트를 만드는 빌더도 아니고, bitmex의 영광은 오래전에 끝남. 이 시장에서 어떤 유의미한 역할도 하지 않음. 최근 행세를 보면 미리 매집한 토큰을 본인 유명세로 펌핑시키기만 함. 물론, 매번 바뀌고 틀리는 시장 예측도 있긴함. 이 시장의 주요 인물들 중에 가장 거품이 심한 사람이라 생각함.
viewCount333
3일 전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Web4가 '소셜 머니(Social Money)'의 시대를 열어, 돈의 창조를 민주화할 것

웹의 진화: Web1 ~ Web4
- Web1 (인터넷): 정보 교환 기술 기반 마련했음.
- Web2 (소셜 미디어): 미디어 창작을 민주화함. 누구나 창작자가 됨.
- Web3 (블록체인): 분산 가치 기술(블록체인 등)을 만들었음. 근데 아직은 투기판이고 대중화는 안됐다는 한계가 있음.
- Web4 (소셜 머니): Web2가 미디어 민주화했듯, 이건 돈의 창조를 민주화할 거임. 이제 수십억 유저가 직접 돈을 만드는 시대가 올 것임.

소셜 머니(Social Money)
정부나 은행이 찍는 돈이랑은 근본적으로 다름.
- 커뮤니티 기반: 특정 커뮤니티가 자기들 목적에 맞게 직접 만드는 화폐.
- 사회적 기술: 단순 교환 수단이 아님. 커뮤니티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사회적 기술임. (예: 환경보호 토큰)
- 역사로의 회귀: 옛날 조개껍데기처럼 '사회적 합의'라는 돈의 본질로 돌아가는 것.
- 창의적 표현: 틱톡 영상이 방송이랑 다르듯, 커뮤니티마다 개성 넘치는 돈이 나올 것임.

 '백만 개의 돈'이 공존
- 풍요의 사고방식: 한 돈이 성공하면 다른 돈이 망하는 제로섬이 아님. 오히려 같이 성장함. (비트코인이 뜨니 알트코인 시장도 커진 것처럼)
- 경쟁과 공생: 서로 치열하게 경쟁하지만, 역설적으로 같이 살아남고 생태계를 키우는 공생 관계임.
- 핵심 역설: "돈은 희소해야 하지만, 돈은 무한할 수 있음." 각 돈은 희소성을 갖지
도리의 코인메모
Web4가 '소셜 머니(Social Money)'의 시대를 열어, 돈의 창조를 민주화할 것 웹의 진화: Web1 ~ Web4 - Web1 (인터넷): 정보 교환 기술 기반 마련했음. - Web2 (소셜 미디어): 미디어 창작을 민주화함. 누구나 창작자가 됨. - Web3 (블록체인): 분산 가치 기술(블록체인 등)을 만들었음. 근데 아직은 투기판이고 대중화는 안됐다는 한계가 있음. - Web4 (소셜 머니): Web2가 미디어 민주화했듯, 이건 돈의 창조를 민주화할 거임. 이제 수십억 유저가 직접 돈을 만드는 시대가 올 것임. 소셜 머니(Social Money) 정부나 은행이 찍는 돈이랑은 근본적으로 다름. - 커뮤니티 기반: 특정 커뮤니티가 자기들 목적에 맞게 직접 만드는 화폐. - 사회적 기술: 단순 교환 수단이 아님. 커뮤니티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사회적 기술임. (예: 환경보호 토큰) - 역사로의 회귀: 옛날 조개껍데기처럼 '사회적 합의'라는 돈의 본질로 돌아가는 것. - 창의적 표현: 틱톡 영상이 방송이랑 다르듯, 커뮤니티마다 개성 넘치는 돈이 나올 것임. '백만 개의 돈'이 공존 - 풍요의 사고방식: 한 돈이 성공하면 다른 돈이 망하는 제로섬이 아님. 오히려 같이 성장함. (비트코인이 뜨니 알트코인 시장도 커진 것처럼) - 경쟁과 공생: 서로 치열하게 경쟁하지만, 역설적으로 같이 살아남고 생태계를 키우는 공생 관계임. - 핵심 역설: "돈은 희소해야 하지만, 돈은 무한할 수 있음." 각 돈은 희소성을 갖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