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3
10시간 전
7월 15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1 BTC 미만 보유 지갑, 한 달 만에 다시 매수 모드 전환] 글래스노드는 1 BTC 미만 보유 지갑들이 한 달 만에 다시 매수 모드로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1천~1만 BTC 보유 지갑은 여전히 강한 매집세를 보이며 시장의 주요 매수 세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1만 BTC 이상을 보유한 슈퍼 고래들은 매도 쪽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00~1000 BTC 보유 지갑들이 가장 공격적으로 매도에 나서고 있다. [BofA 이더리움, 스테이블코인 수혜 종목]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주간 온체인 보고서에서 이더리움이 스테이블코인 수혜 종목이라고 진단했다.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BofA는 이번 주 미국 크립토위크(스테이블코인 법안 등 심의)를 언급하며 스트라이프(Stripe)와 이더리움 같은 인프라 제공업체가 신흥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하려는 사람들에게 좋은 투자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1경원 이상 운용 뱅가드, 스트래티지 최대 주주] 10조 달러 자산을 운용하는 뱅가드 그룹은 비트코인을 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미성숙한 자산군으로 분류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트래티지의 최대 주주가 됐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7월 13일 기준 스트래티지는 평단가 71,268달러에 총 601,550 BTC를 보유하고 있다. [연준 등 미 3대 금융규제기관, 암호화폐 수탁 서비스 관련 공동 성명 발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통화감독청(OCC) 등 3대 금융 규제 기관이 암호화폐 수탁(커스터디) 서비스와 관련한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거나 취급하려는 은행들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 지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PUMP 유동성 대부분 개인투자자 물량] 온체인 분석가 ai_9684xtpa가 펌프닷펀(PUMP) 상장 이후 시장 상황을 정리했다. -프로젝트 측 초기 유동성은 단 400만 달러. 이마저도 여러 차례에 나눠서 투입됨 -현재 총 유동성은 5000만 달러. 대부분이 개인투자자 물량 -커뮤니티 및 생태계 24% 에어드롭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음 -현물 시세는 약 0.0055달러로, 퍼블릭 세일가(0.004달러) 여전히 상회 -바이낸스 선물 마켓 기준 펀딩비는 플러스 상태, 롱포지션이 크게 늘어나는 중 -상장 이후 PUMP 선물 미결제약정 증가 [TD코웬 12월까지 BTC 15.5만 예상] 미국 투자은행 TD코웬은 12월까지 비트코인이 15.5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스트래티지 목표주가를 590달러에서 680달러로 상향했다. 약 60만 BTC를 보유 중인 스트래티지는 2027년까지 90만 BTC를 보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인베이스 시총 $1000억 돌파] 코인베이스가 사상 최고 주가를 기록하면서 시가총액이 1,000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코인베이스는 전장 대비 1.8% 상승한 394.01 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으며 이는 지난 2021년 4월 상장한 이후 최고 종가다. 코인베이스는 장중 한때 398.50 달러에 거래되기도 했다.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1,003억 6,000만 달러다. [디지털자산 혁신법 발의 9월로 연기] 이달 예정이었던 더불어민주당의 ‘디지털자산 혁신법’의 발의가 지연됐다고 디지털타임스가 보도했다. 매체는 “지난달 설명회 이후 금융당국, 업계 등의 의견수렴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 발의 시기를 1~2개월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진행된 법안 설명회 이후 금융당국과 업계 등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자산 혁신법에는 디지털자산과 스테이블코인, 디지털자산 사업자에 대한 정의와 함께 발행과 유통, 업계 시장참여자의 지배구조나 영업행위에 대한 규율체계가 포함됐다. [테오, SC 산하 리베라·펀드브릿지와 협력] 풀스택 토큰화 플랫폼 테오(Theo)가 스탠다드차타드(SC)의 실물자산(RWA) 토큰화 플랫폼 리베라(Libeara), 펀드브릿지 캐피털과 전략적 협력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적 협력은 적격 투자자들이 기관처럼 암호화폐 거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를 시험 운영하기 위한 플랫폼 출시의 일환이다. 테오는 토큰 네이티브 펀드 울트라(ULTRA) 인프라 지원을 위해 리베라의 기술 스택을 활용할 예정이다. 테오의 풀스택 토큰화 플랫폼은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토큰 발행 및 기관급 토큰화 실물 자산(RWA)에 대한 인프라 지원을 제공한다. 앞서 테오는 핵VC와 앤토스 캐피털의 주도로 2000만 달러 상당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스테이블코인 상표 출원…카드사 중 세번째 진입] 우리카드가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출원했다고 디지털애셋이 전했다. 카드사 중 세 번째고, 우리금융 자회사 중 두 번째다. 7월 15일 특허청 지식재산정보검색 서비스를 보면, 우리카드는 7월 10일 WCKRW, WCWON, WONWC 등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다수 출원했다. 지정상품은 스테이블코인에 사용되는 내려받기 가능한 소프트웨어 등이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빗썸, FLZ 상장 폐지 🚩 #빗썸 #상장다음 - 코인원(Coinone) 공지 거래지원 종료 안내: CE...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양자컴퓨터 위협 대비 비트코인 개선 제안 공개] 카사(Casa) 공동 설립자 제임슨 롭(Jameson Lopp)이 비트코인 생태계를 양자컴퓨터 위협에 대비해 양자내성 암호 체계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한 인센티브 구조 및 보안 문제를 해결하고자 BIP(비트코인개선제안)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BIP는 양자컴퓨터가 실질적인 위협이 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이후 어떤 전환 시나리오가 합리적이고 안전한지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고, 자산 보호 메커니즘을 다루고 있다. coinness
viewCount2
1시간 전
하방압력
viewCount2
1시간 전
[미국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 6월 이후 첫 5% 넘어서] 미국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6월 이후 처음으로 5%를 넘어섰다. 암호화폐 등 위험자산 시장에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coinness
viewCount2
1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