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8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샤프링크, ETH 추가 매입 주식 발행 한도 $10억→$60억 상향]
이더리움(ETH)을 전략 비축하는 나스닥 상장사 샤프링크 게이밍(티커 SBET)이 ETH 추가 매입을 위해 보통주 발행 한도를 기존 10억 달러에서 60억 달러로 증액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이 중 50억 달러는 이더리움(ETH) 추가 매입에 활용될 예정이다. 샤프링크는 현재 약 32.1만 ETH(약 11억 달러)를 보유 중이다.
[샤프링크, $5010만 ETH 추매]
이더리움(ETH)을 전략 비축하는 나스닥 상장사 샤프링크 게이밍(티커 SBET)이 30분 전 14,180 ETH(5010만 달러)를 추가 매수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지난 4시간 동안 총 32,892 ETH(1억 1500만 달러)를 매수했다. 앞서 샤프링크는 ETH 추가 매입을 위해 보통주 발행 한도를 기존 10억 달러에서 60억 달러로 증액했다고 밝힌 바 있다.
[ETH 현물 ETF 8344억원 순유입]
트레이더 T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에 6억 달러(8344억원)가 순유입됐다. 10 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ETHA에 5억 4494만 달러, 피델리티 FETH에 1719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ETH에 299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이날 순유출을 기록한 ETF는 없었다.
[BTC 현물 ETF 11거래일 연속 순유입]
트레이더 T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 5억 2329만 달러(7277억원)가 순유입됐다. 11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IBIT에 4억 9799만 달러, 피델리티 FBTC에 783만 달러, 인베스코 BTCO에 712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BTC에 527만 달러, 반에크 HODL에 508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ETH 청산 규모: $2.08억, 청산 비율: 숏 66.16% XRP 청산 규모: $8753만, 청산 비율: 숏 76.88% BTC 청산 규모: $7983만, 청산 비율: 숏 74.26%
[20배 ETH 숏 고래, 청산 피하려 $1700만 추가 투입]
ETH 20배 공매도(숏) 포지션을 갖고 있는 한 하이퍼리퀴드 고래 주소가 청산을 피하기 위해 지난 6일 동안 총 1,704만 USDC를 추가 예치했다고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이 주소의 포지션 규모는 5,676만 달러이며, 현재 미실현 손실은 약 1,000만 달러 수준이다.
[빗썸, 7/21 서비스 점검]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7월 21일 1시부터 7시까지 6시간 동안 내부 시스템 업그레이드 작업으로 전체 서비스가 일시 이용 중단된다고 공지했다.
[BTC 실현 시가총액 $1조 돌파]
올해 들어 BTC 실현 시가총액(RV)이 25% 증가해 사상 최초로 1조 달러를 돌파했다고 글래스노드가 전했다. 실현 시가총액은 BTC가 블록체인 상에서 가장 최근 이동한 가격을 기준으로 총 가치를 매기며, 네트워크 가치를 반영하는 지표다.
[2Q 암호화폐 자금 조달액 $100억...3년래 최고]
지난 2분기 암호화폐 분야 자금 조달액이 100억 달러를 돌파, 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비인크립토가 전했다. 이는 미 정부의 암호화폐 친화적 정책과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 증가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한 초기 단계보다는 후기 단계 프로젝트 투자가 증가하고 기업공개(IPO) 및 M&A 거래가 활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58% / 숏 49.42% 1.바이낸스: 롱 50.79% / 숏 49.21% 2.게이트아이오: 롱 50.02% / 숏 49.98% 3.바이비트: 롱 53.28% / 숏 46.72%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