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25년 8월 6일 간밤의 뉴욕증시
📉 1. 미국 증시 요약
8월 5일(현지 기준) 미국 증시는 전반적인 경기 둔화 우려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압박성 발언이 겹치면서 조정세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AI 관련 기술주는 양호한 실적에 힘입어 상승세를 유지했다.
다만 장후 발표된 AMD, 슈퍼마이크로컴퓨터 등의 부진이 애프터 장에서 반도체를 끌어내렸다.
서비스업 지표 부진: 미국 ISM 비제조업 PMI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를 재차 자극하며 채권금리는 약세를 보였다.
🗣 2. 트럼프 대통령 주요 발언 요약
트럼프 대통령은 8월 5일 다양한 경제 및 외교 관련 이슈에 대해 강도 높은 발언을 쏟아냈다. 전반적으로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와 강경한 에너지·금융 이슈 주장이 부각됐다.
🇪🇺 유럽연합(EU) 관세 위협
트럼프는 “EU가 약속한 미국 내 $6000억 투자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 최대 35%의 관세를 재도입할 수 있다”고 경고함.
특히 반도체, 정밀화학, 방산 등 전략 산업군은 예외 처리 가능성 언급.
🇮🇳 인도에 대한 무역 경고
“인도는 좋은 무역 파트너가 아니다”라는 직설적 표현과 함께, 24시간 내 25% 이상의 대폭적인 관세 인상을 예고.
인도 루피 약세 및 원유 수입 구조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가능.
🧪 제약·반도체 산업에 대한 압박
일부 국가(스위스 등)의 제약·반도체 수입에 대해 최대 250%까지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이라는 강경 노선 시사.
🛢 러시아 관련 제재 발언
푸틴의 행동을 저지하기 위해 “국제 유가를 배럴당 –10달러 수준까지 낮춰야 한다”고 발언, 에너지 시장 압박 지속 의지 피력.
🏦 연준(Fed) 의장 후보군
현 Bessent 인선을 배제했으며, Kevin Hassett, Kevin Warsh 등을 유력 후보로 언급.
✍️정리
관세가 끝난 줄 알았는데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을 재부각 시키고 있다.
#국제

2667
4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