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02
8시간 전
..
쉽게 말하면, 예비용 시퀀서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한 것임... 사실 체인 자체에 대한 문제라기보다, 체인 운영에 사용되는 장치(op-conductor)의 문제라고 봐도 될듯. 솔라나처럼 긴급 패치로 체인을 재부팅하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임..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바이낸스(Binance) 공지 Binance Users...다음 - 아 나 아직도 헬스비용 환불 못받음 미친새뀥ㅋㅋ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최근포스팅
에드펠턴도 얼마전까지 옵티미스틱이 아직 비용효율적이고 간단하기 때문에 더 긍정적으로 본다고 했던 인터뷰를 봤는데... 요즘 zk 프로젝트들의 Prover market까지 나오는걸 보면, 예상보다 레이어2의 ZK 도입이 코앞으로 온듯...
viewCount98
7시간 전
요즘 집단지성이 얼마나 강력한지 이더리움 생태계 보면서 많이 느낌... 너무 빠르고, 너무 광범위하며 뛰어나기까지함... 이런 열성적인 생태계를 만들고 현명한 방향을 제시하는 비탈릭이 정말 대단하다고 느낌...
viewCount110
7시간 전
https://ethproofs.org/ ZK-EVM Proof 상황을 확인하기 좋은 페이지임. zk 섹터의 L2beat라고 봐도 될 듯함. 여러 zkVM과 Prover, 등 모든 정보가 있으니 참고하면 좋음.
viewCount112
8시간 전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Base 메인넷 중단에 대한 포스트모템]

어제 Base 메인넷에서 약 30분 정도 블록 생성이 되지 않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Base 팀 측에서 이에 대한 포스트모템을 공유해, 정리해보았습니다.

OP Stack에는 op-conductor라는 컴포넌트가 있습니다. 단일 시퀀서 하에서 뭔가 문제가 생기면 체인이 멈추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개의 시퀀서를 둘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입니다. 

op-conductor는 Raft라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동작하며, 한 명의 리더가 블록 생성을 하고 문제가 생기면 다른 노드에게 리더를 넘길 수 있도록 짜여져 있습니다. Web3 식으로는 permissioned sequencer set, Web2 식으로는 HA cluster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어제 Base 메인넷에서 일어난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너무 많은 트랜잭션으로 인해 리더가 정상 동작을 하지 못했고, 다른 노드에 리더를 넘겼습니다.
2. 그러나 넘긴 노드는 이제 막 시작된 노드였고, 정상적인 시퀀싱이 불가능한 상태였습니다.
3. 해당 노드에는 Conductor도 켜져 있지 않아, 다른 노드로 리더를 넘길 수도 없었습니다.
4. 결국 Base 팀은 Conductor를 끄고, 수동으로 리더를 정상 노드로 넘겼습니다.

즉, 높은 트랜잭션 로드로 인해 시퀀서 셋 중 하나에 문제가 생겼고, 이를 다루는 과정에서의 버그로 올바르지 않은 노드가 시퀀싱을 맡게 되어 블록 생성이 중단된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
도리의 코인메모
[Base 메인넷 중단에 대한 포스트모템] 어제 Base 메인넷에서 약 30분 정도 블록 생성이 되지 않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Base 팀 측에서 이에 대한 포스트모템을 공유해, 정리해보았습니다. OP Stack에는 op-conductor라는 컴포넌트가 있습니다. 단일 시퀀서 하에서 뭔가 문제가 생기면 체인이 멈추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개의 시퀀서를 둘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입니다. op-conductor는 Raft라는 합의 알고리즘으로 동작하며, 한 명의 리더가 블록 생성을 하고 문제가 생기면 다른 노드에게 리더를 넘길 수 있도록 짜여져 있습니다. Web3 식으로는 permissioned sequencer set, Web2 식으로는 HA cluster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어제 Base 메인넷에서 일어난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너무 많은 트랜잭션으로 인해 리더가 정상 동작을 하지 못했고, 다른 노드에 리더를 넘겼습니다. 2. 그러나 넘긴 노드는 이제 막 시작된 노드였고, 정상적인 시퀀싱이 불가능한 상태였습니다. 3. 해당 노드에는 Conductor도 켜져 있지 않아, 다른 노드로 리더를 넘길 수도 없었습니다. 4. 결국 Base 팀은 Conductor를 끄고, 수동으로 리더를 정상 노드로 넘겼습니다. 즉, 높은 트랜잭션 로드로 인해 시퀀서 셋 중 하나에 문제가 생겼고, 이를 다루는 과정에서의 버그로 올바르지 않은 노드가 시퀀싱을 맡게 되어 블록 생성이 중단된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