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216
1년 전
Filecoin x DA - DA(Data Availability)는 데이터를 호스팅하지않고 노드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사용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임. - 이를 통해 롤업, 수직 수평 확장(샤딩) 등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 현재 L2의 DA는 이더리움의 blob임 - 사실 블록체인에서 데이터 호스팅은 극도로 비효율적임 - 그래서 Celestia, EigenDA, Avail같은 DA 솔루션이 나타남. 저렴한, Permissionless한 스토리지가 가능한 외부 DA 인프라들임. - 파일코인과 같은 DSN(Distributed Storage Network)이 DA 레이어에 최적임. - 파일코인은 데이터 저장과 스토리지 거래를 가능케하며 현재 1.7EiB active 거래를 포함해 현재 규모가 가장 큰 DSN임 - DSN에 데이터 가용성을 활용하면 데이터 저장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음. 이더리움 1GB calldata를 쓰면 300만 달러(21일)가 필요하지만, 파일코인은 0.02 센트(30일)임 - 더구나 storage collateral, proof of storage, FVM 등 여러 경제적 보안과 얼라인먼트,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함 - 파일코인에 DA 레이어를 구축하는것은 증명 레이턴시를 극복하고, 최소 저장 값과 합의 시간 단축과 같은 문제도 해결해야함. - DSN 기반 DA 레이어는 데이터 저장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 - 파일코인의 DA 레이어의 활용은 새 도구와 어플리케이션이 탄생하게 만들 것임. 출처
Filecoin TL;DR (@FilecoinTLDR) on X
1/ Data availability (DA) has been a core technology in the scaling of Ethereum. Have you ever wondered what it takes to build a DA layer on a decentralized storage network like @Filecoin? @turanzv and @ballsyalchemist from Fenbushi Capital unpack this topic and the…
doriworld/5904/5918862755690034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