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4
5시간 전
shampoo1004/86787/6159064608514623318
사진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바이낸스(Binance) 공지 Notice of Rem...다음 - 아니 지금 구글에서 외계 침공한다고 하는데 이게 맞는거...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8월 27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분석 BTC 장기 보유자, 이미 대부분 불장 때보다 수익 더 많이 실현] 비트코인 장기 보유 주소들이 이미 과거 대부분의 강세장 사이클보다 더 많은 수익을 실현했다고 글래스노드가 전했다. 현재 사이클보다 수익 실현 규모가 컸던 때는 2016년~2017년 뿐이었다. 글래스노드는 장기 보유 주소들의 수익 실현은 매도 압력 가중을 의미한다. 다른 신호들과 함께 고려한다면 현재 시장이 사이클 후반부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美 투자은행 트럼프 WLFI 고평가 상장, 개미 투자자 울린다] 트럼프 일가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의 자체 토큰이 상장될 경우 개미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디크립트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 컴패스 포인트는 WLFI가 조만간 여러 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다. 상장 이후 WLFI 공급량 중 일부만이 거래 가능하고 나머지는 락업 상태가 유지될 예정이라 유동성은 부족하지만 완전희석시가총액(FDV)는 높은 수준일 것이다. 코인베이스 등의 거래소가 지나치게 높은 FDV를 적용해 WLFI를 상장할 경우, 개미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볼 것이다. 반면 WLFI 공급량의 20% 이상을 보유 중인 트럼프 일가의 자산은 토큰 가치가 오르면서 따라 오를 것이다. 지난 1월 트럼프밈코인(TRUMP) 상장 당시에도 비슷한 이유로 많은 개미들이 손실을 봤다고 설명했다. [분석 이란, 지정학적 갈등·거래소 해킹으로 암호화폐 시장 침체] 지정학적 리스크, 거래소 해킹 등으로 이란의 암호화폐 시장이 침체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분석 회사 TRM랩스는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이란의 암호화폐 거래량은 총 3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다. 특히 6~7월에 낙폭이 두드러졌다. 이스라엘과의 갈등,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노비텍스 해킹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거래소 해킹으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비탈릭 예측 시장 적중률, 전문 매체보다 높아]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가 예측 시장의 적중률이 전문 매체나 소셜 미디어보다 높다고 진단했다. 그는 파캐스터를 통해 토큰 거버넌스 투표에서는 잘못된 선택을 하더라도 별다른 패널티를 받지 않는 반면, 예측 시장에서 틀린 예측을 하면 돈을 잃는다. 예측 시장은 투자자들이 현실에 기반을 두고 특정 사안을 과대평가하지 않도록 돕는다. 개인적으로 주변 분위기에 휩쓸리는 것보다는 예측 시장이 제시하는 확률을 믿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형님 먼저, 아우 먼저’...BTC·ETH 현물 ETF 동시 순유입] 26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와 비트코인 현물 ETF가 동시에 순유입을 기록했다. 트레이더T에 따르면 미국 ETH 현물 ETF에 4억 5003만 달러(6284억원)가 순유입됐다. 4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ETHA가 3.2억 달러로 자금 유입을 주도했으며 피델리티 FETH에 8552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같은날 기준 미국 BTC 현물 ETF도 8816만 달러(1231억원)가 순유입을 기록했다. 블랙록 IBIT에 4530만 달러, 피델리티 FBTC에 1452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토큰화 주식 플랫폼 마이스통크, 일거래량 $2억 돌파] 탈중앙화 토큰화 美 주식 거래 플랫폼 마이스통크(MyStonks)가 공식 채널을 통해 27일(현지시간) 기준 24시간 거래량이 2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전했다. 현재 마이스통크는 토큰화 미 주식을 포함 토큰화 실물자산 179 종의 거래를 지원하고 있으며, 활성 사용자 수는 약 3.7만 명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 마이스통크는 토큰화 미 주식 파생상품 거래를 출시, 최대 20배 레버리지 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 마이스통크 측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토큰화 자산의 거래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전통 자산의 디지털화와 유동성 개선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성인 27%, 노후 대비 암호화폐 투자 고려] 영국 성인 4명 중 1명은 노후 대비책으로 암호화폐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영국 보험사 아비바(Aviva)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 중 27%가 퇴직연금 포트폴리오에 암호화폐를 포함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 중 23%는 기존 퇴직연금 일부 혹은 전부를 암호화폐에 투자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매체는 영국 성인 80% 이상이 퇴직연금을 보유 중이며 그 규모가 5.1조 달러에 달하는 만큼, 암호화폐가 퇴직연금 포트폴리오에 편입될 경우 상당한 자본 유입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분석 BTC 반감기는 옛말…투자자 유입이 사이클 좌우] 비트코인 시장 사이클을 좌우하는 요소가 반감기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글래스노드 수석 애널리스트 제임스 체크는 BTC 가격은 반감기와는 별다른 관련이 없다. BTC 사이클을 좌우하는 것은 투자자들의 유입과 시장 구조다. 지금까지의 사이클은 △1차 사이클(2011~2018년): 개인 투자자의 초기 채택이 주도 △2차 사이클(2018~2022년): 레버리지를 동반한 과감한 투자가 주도 △3차 사이클(2022년~현재): 기관 투자자가 주도 등으로 나뉜다. 특히 지난 2022년 약세장 이후 시장 상황이 변했기 때문에 과거 패턴이 반복될 것이라고 믿는다면 중요한 신호를 놓치게 될 것이라고 분석헀다. [미 검찰, 해시플레어 공동 창업자 솜방망이 판결에 항소] 미국 검찰이 암호화폐 전신사기 혐의로 기소된 해시플레어 공동 창업자들의 구금 기간을 복역 기간으로 인정하는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앞서 검찰은 해시플레어 공동 창업자인 이반 투로긴(Ivan Turogin)과 세르게이 포타펜코(Sergei Potapenko)에 10년형을 구형했지만, 시애틀 연방법원은 이들이 구금됐던 기간을 복역 기간으로 인정하고 벌금 2.5만 달러 및 사회봉사 명령을 내렸다. 해시플레어 사건은 수십만 명의 피해자가 총 5.7억 달러 규모의 피해를 입은 암호화폐 폰지 사기 사건이다. [위불, 호주서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온라인 증권사 위불(WEBULL)이 호주 사용자에게 암호화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위불 호주 지사는 코인베이스 프라임과 파트너십을 통해 240종의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할 예정이다. 위불은 지난 2023년 IPO 과정에서 해당 서비스를 중단했다가 최근 미국인 대상 서비스를 재개한 바 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viewCount4
2시간 전
이더리움, 비트코인 대비 반등… 4700달러 지지 확보가 핵심 https://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796
viewCount5
5시간 전
인간지표 3가지 1.ETF 외치면서 기관이 들어온다는 이야기는 투자하는 사람들이 이젠 거진다 아는 단계 2.문자로 주식 코인투자 권유 스팸 근래 졸라게옴 3.신규 프로젝트들 AMA 홍보 존나 활발함(커피 치킨 뿌리기가 어마어마하게 많음)
viewCount5
6시간 전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