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201
7시간 전
davidanecdotekr/3896/6158824270734673258
메가이더 Bing이 "왜 L1을 런칭하지 않았냐" 라는 질문에 관한 트윗을 남겼습니다. 결론은 결국 "L1 / L2든 간에 어떤 체인 생태계를 만들고 싶은지가 중요하고 이에 맞는 테크 스텍을 고르는 거다" 입니다. L1 프리미엄을 쫓거나 / L2 토큰 가치 캡쳐 안된다의 관점이 아니라 결국 메가이더가 하고 싶었던건 App 중심의 가장 빠른 체인이 이었고 이에 맞는 레이어를 선택한 흐름입니다. 공감이 되는건 체인 = 나라 만드는 거랑 비슷해서 결국에 목적성에 맞는 테크 스텍을 골라서 만들어야지, 오히려 "목적성 없는 기술적 혜자로 인한 프리미엄"은 어차피 유지가 안되기 때문에 비용만 더 나가는 악순환 구조를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비트코인, 다음 사이클 바닥은 어디? 2026년 ...다음 - 🗞 어베일, 체인추상화 프로토콜 아르카나 인수...토...
moneybullkr/6105065466465726923
David's Anecdote
@davidanecdotekr
부에 대한 이야기
최근포스팅
결국 한 나라가 성장하는 과정처럼 체인도 성장해야 합니다. - 인프라 = 체인, 거버넌스, 법 - 경제 = App - 문화 = 경제로부터 탄생 그리고 이 문화가 궁극적으로 다시 인프라에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면 IP 산업이 활발한 나라는 관련 산업이 더 클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주고 무역업이 중요한 나라는 수출 / 수입 규제를 더 빡빡하게 바꾸는 것 처럼, 체인도 그 위에 올라가는 앱들이 문화를 형성하고 이게 인프라에 영향을 끼치는 구조를 뜁니다. 다만 이럴려면 체인이 추구하는 가치가 존재해야 첫 사이클이 기본적으로 돌아가는데, 이걸 딱 한번이라도 돌리는걸 실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개인적으로는 Abstract가 이걸 지금까지는 잘하고 있는 것 같네요.
viewCount532
7시간 전
다음주에 일주일 정도 뉴욕에 가는데 혹시 뉴욕에 사시거나 또는 만나볼만한 팀 / 빌더를 아신다면 연결 대환영입니다🙇‍♂️ 예전예 뉴욕살때는 크립토 일을 안했어서 이번에 갈때는 조금 다른 느낌이지 않을까 싶네요. (그때 뼈저리게 가난했어서 나중에 뉴욕 돌아올때는 부자가 되어서 와야지 했는데 여전히 거지인 상태로 가네요 😱)
viewCount383
1일 전
이 리스크를 어느 정도 덜어주는게 CAP이 아이겐레이어를 쓰는 이유입니다. - 운용에서 손실이 발생 - 이 손실을 아이겐레이어에 담보로 잡혀있던 이더로 대체 - 이 리스크 발생 가능성에 대한 보상을 아이겐레이어 이더 스테이커들에게 Yield로 제공
viewCount1295
5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