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8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9월 둘째 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9월 둘째 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9/10 2130 미국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9/11 2130 미국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145 유럽중앙은행(ECB) 기자회견
[타이코, 더 문 파티 서울서 럭셔리 아이템 토큰화 구현]
홍콩 기반 비영리 예술 재단 K11 아트 재단이 지난주 서울에서 개최한 더 문파티 서울 2025에서 이더리움 레이어2 타이코(TAIKO)가 럭셔리 아이템 실물자산(RWA) 토큰화 구현 경험을 제공했다. 타이코는 이번 행사에서 K11 아트재단과 파트너십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럭셔리 문화 환경에서 RWA 토큰화를 어떻게 구현하는지 소개했다. 행사에는 800명 이상의 크리에이티브 업계 인사들과 이민호, 박보검, BTS 지민 등 유명 인사들이 참석했으며, 마세라티, 하입비스트, 헬리녹스 등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가 협업 파트너로 함께 했다. 타이코는 행사에서 1만 달러 상당의 한정판 아이템을 토큰화해 제공했다. 타이코 측은 이번 행사가 럭셔리 시장에서 RWA 토큰화를 도입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시켰다. 블록체인이 금융을 넘어 문화, 럭셔리 라이프스타일 영역으로 확장되는 흐름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중국 ICBC 홍콩 자회사, 스테이블코인 발행 라이선스 신청]
중국공상은행(ICBC)의 홍콩 자회사가 홍콩통화관리국(HKMA)에 스테이블코인 발행 라이선스 신청 의사를 전달했다고 홍콩 현지매체 이코노믹저널(hkej)이 보도했다. 글로벌 대형 은행 HSBC(홍콩·상하이은행)도 라이선스 신청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지만, 공식 신청서 제출 여부는 공개되지 않았다.
[체인링크 설립자 “미 SEC 위원장, 실물자산 토큰화에 지대한 관심”]
체인링크(LINK) 설립자 세르게이 나자로프(Sergey Nazarov)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최근 회의를 가졌는데, SEC 위원장 폴 앳킨스는 증권법을 준수하면서 온체인 자산을 구축하는 방법에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금융 시스템에 블록체인 토큰화 기술을 허용해야 하느냐는 문제를 떠나, 당국의 수장이 시장 안정성과 효율성을 모두 모색하려는 태도가 매우 인상깊었다. 또 지난주 백악관의 암호화폐 담당자도 만났는데 SEC와 백악관 모두 토큰화 분야에 있어 매우 속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하는 분위기였다”고 설명했다.
[스탠다드차타드 “미 연준 9월 기준금리 0.5% 인하할 수도”]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영국 스탠다드차타드가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8월 비농업 고용 및 실업률 지표를 고려했을 때 미국 연준이 9월 기준금리를 0.50% 인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초 예상은 이달 금리를 0.25% 인하였으나 고용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고 있어 인하 폭을 키울 가능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ETH 현물 ETF 지난주 사상 최대 순유출 ‘1조원 규모’]
지난주(9/2~9/5) 미국 ETH 현물 ETF가 7.88억 달러(1조 976억원) 규모의 순유출을 기록했다고 우블록체인이 소소밸류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주간 기준 역대 최대 규모 순유출이다. 각 ETF 중 이 기간 순유입을 기록한 상품도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BTC 현물 ETF는 같은 기간 2.46억 달러 규모가 유입됐다. 2주 연속 순유입이다.
[분석 “미 금리 인하해도 BTC $12만 회복 힘들듯”]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비트코인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더블록에 따르면 BTC 마켓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레이첼 루카스는 “부진한 고용 지표가 연준의 비둘기파적 태도를 이끌어 위험자산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지만, 시장은 이미 금리 인하 재료를 상당 부분 반영했다. 기관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과 ETF 자금 유입 정체가 비트코인 상승 동력을 제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크로노스 리서치 CIO 빈센트 리우는 “연준이 금리를 인하한다면 경기 둔화 신호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인플레이션 우려와 위축된 투자 심리가 위험자산에 대한 수요를 억누를 수 있다. ETF 유입 확대나 뚜렷한 유동성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12만 달러는 여전히 강한 저항선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신한금융 회장 만난 테더 원화 스테이블코인 규제 상황 주시]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가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8일 만나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 관련 한국 시장 분위기와 규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테더 관계자는 뉴스1과 인터뷰를 통해 규제 상황을 지켜보고 있어 사업적 확답을 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번 만남이 구체적인 협업보다는 정보 교류와 네트워킹 성격이 강할 것으로 보고 있었다.
[아스터, 토크노믹스 공개...에어드롭에 53.5% 할당]
탈중앙화 무기한 선물 거래소 아스터(ASTER)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ASTER 토크노믹스를 공개했다. 총 발행량은 80억 개이며, 이중 53.5%가 에어드롭에 할당됐다. 생태계 및 커뮤니티에 30%, 트레저리에 7%, 팀에 5%, 유동성에 4.5% 배분된다.
[분석 옵션 트레이더, XRP·SOL 강세 BTC·ETH 약세 전망]
옵션 트레이더들이 XRP와 SOL의 강세를 점치고 있는 반면, BTC와 ETH에 대해서는 약세를 전망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코인데스크는 앰버 데이터를 인용, XRP 콜옵션은 모든 만기에 걸쳐 풋옵션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특히 12월 만기 콜옵션은 풋옵션 대비 변동성 지표에서 가장 높은 프리미엄이 붙은 채 거래되고 있다. 연말 XRP 랠리를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높다는 의미다. SOL 역시 12월 콜옵션이 풋옵션 대비 높은 가격에서 거래되고 있다. 반면 BTC와 ETH 옵션 시장에서는 풋옵션이 콜옵션 대비 높은 가격에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1
1시간 전